Aesthetic Phronesis
Sherman J. Clark
미적 프로네시스
셔먼 J. 클라크
In a previous essay, Beatrice 2.0, I argued that a love of beauty can guide our desires and help us flourish amid distraction and commodification. But what hinders us from letting beauty lead us in those ways? Beauty abounds—if we can see it. Not only in art, but in sports and music, in craftsmanship and science, in mathematics and everyday life. The trouble is not scarcity—or not merely scarcity—but our own habits of mind.
이전 에세이 ‘베아트리체 2.0’에서 나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이 우리의 욕망을 가이드하고 산만함과 상품화 한가운데서 우리가 번성하도록 도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아름다움이 그런 방식으로 우리를 이끌게 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무엇인가? 아름다움은 넘쳐난다—우리가 그것을 볼 수만 있다면. 예술뿐만 아니라 스포츠와 음악, 공예와 과학, 수학과 일상생활에서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희소성이 아니라—또는 희소성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바로 우리 자신의 사고 습관이다.
What hides beauty
아름다움을 가리는 것들
We may be able to develop the capacity to see and cherish beauty. But that may first require us to confront a set of obstacles—internal obstacles, patterns of thought and feeling that make it hard to direct our desires where they would most nourish us. Some are what contemporary philosophers call intellectual vices—things that cloud our thinking. Some mirror what older traditions call sins or moral vices: habits of thought and action that mark us for judgment. We can think of these as barriers to flourishing, vices in the eudaimonist rather than moral sense. These are attitudes that keep us from attending to beauty. If we want a label for this sort of inquiry, it would be “neo-Aristotelian eudaimonist virtue ethics.” But elaborate philosophical labels won’t make us happy or guard us against exploitation and commodification. Beauty, however, might—if we can let it.
우리는 아름다움을 보고 소중히 여기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 전에 먼저 일련의 장애물—내적 장애물, 즉 우리의 욕망을 가장 풍요롭게 할 방향으로 이끌기 어렵게 만드는 사고와 감정의 패턴—과 마주해야 할 수도 있다. 그중 일부는 현대 철학자들이 지적 악덕이라 부르는 것들—우리의 사고를 흐리게 하는 것들—이다. 또 일부는 오래된 전통에서 죄악이나 도덕적 악덕이라 부르는 것들을 반영한다: 우리를 심판받게 하는 사고와 행동의 습관들이다. 우리는 이것들을 번영을 가로막는 장벽, 도덕적 의미보다는 행복론적 의미에서의 악덕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것들은 우리가 아름다움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게 하는 태도들이다. 이런 탐구에 이름을 붙인다면 ‘신아리스토텔레스적 행복론적 덕 윤리학’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정교한 철학적 명칭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거나 착취와 상품화로부터 지켜주지는 못한다. 그러나 아름다움은 그럴 수 있다—우리가 그 아름다움을 받아들일 수만 있다면.
To that end, we can tentatively identify four internal obstacles—vices, if you will—that can prevent us from nurturing a love of beauty and letting that love help us thrive: impatience, laziness, arrogance, and, more obscure-sounding but perhaps most destructive of beauty, what Aristotle called micropsychia, which we can translate as smallness of soul.
이를 위해 우리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을 키우고 그 사랑이 우리의 번영을 돕도록 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네 가지 내적 장애물—또는 악덕이라 부를 수 있는 것들—을 잠정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조급함, 게으름, 오만함, 그리고 더 모호하게 들리지만 아마도 아름다움에 가장 파괴적인, 아리스토텔레스가 ‘마이크로프시키아’라고 부른 것, 즉 ‘영혼의 왜소함’으로 번역할 수 있는 것이다.
Our impatience is profitable to those who want to keep us grasping at the next thing they can sell us; but it can prevent us from attending to what might matter most. The first few moments of a Bach fugue are lovely, but the transcendent order emerges when we hear it through, and then again, and begin to catch the patterns. Shakespeare’s language can seem strange and off-putting at first, but rereading can reward us with nearly shocking depth and beauty—if our impatience and lack of attention didn’t prevent us from making that effort.
우리의 조급함은 다음에 우리에게 팔 물건을 우리가 계속해서 움켜쥐기를 원하는 자들에게 이익이 되지만, 가장 중요한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바흐 푸가의 첫 몇 소절은 아름답지만, 그 초월적 질서는 우리가 끝까지 듣고, 다시 듣고, 패턴을 포착하기 시작할 때 비로소 드러난다. 셰익스피어의 언어는 처음에는 낯설고 거부감을 줄 수 있지만, 우리의 참을성 부족과 주의력 결여가 그 노력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다시 읽음으로써 거의 충격적인 깊이와 아름다움을 선사할 수 있다.
Good and beautiful things often take not just time but also effort. Laziness, what Dante and other called sloth, what some call a lack of persistence or work ethic, can prevent us from seeing through on potentially promising efforts to see and appreciate beauty. The internet is full of pitches that promise inspiration without effort; most do not deliver. Many good and beautiful things take some work to do well or even appreciate.
좋고 아름다운 것들은 종종 시간뿐만 아니라 노력도 요구한다. 단테 등이 ‘나무늘보’라 불렀고, 어떤 이들은 ‘끈기나 직업 윤리의 부족’이라 부르는 게으름은 아름다움을 보고 감상하려는 잠재적으로 유망한 노력을 끝까지 이어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인터넷은 노력이 필요하지 않은 영감을 약속하는 광고로 가득하지만, 대부분은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한다. 많은 좋고 아름다운 것들은 제대로 하거나 심지어 감상하기 위해서도 어느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Arrogance—not in the sense of pride alone, but in the conviction that we already know what counts as beautiful—can block our appreciation for what might inspire us or help us ward of exploitation. Self-satisfied arrogance can make us smug curators of our own narrow taste. Algorithms reward it, feeding us more of what we already like, assuring us that our playlists, our aesthetics, are the best. But we don’t know what we are missing.
오만함—단순한 자만심이 아니라, 우리가 이미 무엇이 아름다운지 안다는 확신—은 우리를 고무하거나 착취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는 것에 대한 감상을 가로막을 수 있다. 자기만족적인 오만함은 우리를 좁은 취향의 자만하는 큐레이터로 만들 수 있다. 알고리즘은 그것을 보상하며, 우리가 이미 좋아하는 것을 더 많이 제공함으로써 우리의 플레이리스트들과 미적 감각이 최고라고 확신시킨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을 모른다.
Smallness of soul, what Aristotle called micropsychia may sound like an obscure vice, but a version of it is perhaps the most emblematic of our age. Aristotle described the person afflicted by micropsychia is one who, although actually worthy of great honors and capable of noble deeds, fails to claim or accept the honors that are truly due. They undervalue themselves and shrink from the scope of action that their abilities merit.
영혼의 왜소함, 아리스토텔레스가 ‘마이크로프시키아’라 부른 것은 생소한 악덕처럼 들릴 수 있지만, 그 변형된 형태가 아마도 우리 시대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일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마이이크로프시키아에 시달리는 사람을, 실제로 큰 영예를 받을 만하고 고귀한 일을 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마땅한 영예를 주장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그들은 자신을 과소평가하며 자신의 능력에 걸맞은 행동의 범위를 회피한다.
The version of micropsychia that now plagues us most is the insistence on emphasizing goods that can be counted and measured—a narrow emphasis on the bottom line, sometimes manifested as cynical sneering at what aspires to elevate. We need food and drink, and we can benefit from money and prestige; Aristotle recognized that. But he recognized also that we are worthy of more, that more is our due as human beings, and we need more truly to thrive. Only small souls sneer at beauty and that to which it can help us aspire.
현재 우리를 가장 괴롭히는 마이크로프시키아의 형태는 계량될 수 있는 좋은 것들의 고집스러운 강조이다—때로는 고양을 열망하는 것에 대한 냉소적인 비웃음으로 표출되기도 하는, 최종 결산 결과의 편협한 강조. 우리는 음식과 음료가 필요하며, 돈과 명성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도 그것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또한 우리가 더 많은 것을 받을 자격이 있으며, 인간으로서 더 많은 것이 마땅하며, 진정으로 번영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것이 필요하다는 점도 인식했다. 오직 왜소한 영혼만이 아름다움과 그것이 우리로 하여금 열망하게 하는 것들을 비웃는다.
These are examples, but cultivating philokalia—a love of beauty—cannot be reduced to lists or rules. It is nuanced and challenging. As Aristotle understood, virtues can slide into vices, and what appears as a weakness might sometimes prove a strength. Take impatience, for example. On the one hand, it can prevent us from sticking with things that might reveal beauty. But a restless unwillingness to be satisfied with the empty goods of our world can also drive us to seek something better. Or pride. Yes, it can ossify into smugness, but it can also manifest as the necessary confidence to trust one’s aesthetic judgment when it goes against the crowd. Even what looks like sloth might sometimes be necessary receptivity. We don’t need Walt Whitman to tell us that someone seemingly just loafing, as he put it, might be more available to beauty than someone frantically photographing every sunset for Instagram.
이것들은 예시일 뿐, 필로칼리아—아름다움에 대한 사랑—를 기르는 일은 목록이나 규칙으로 축소될 수 없다. 그것은 미묘하고 도전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이해했듯이, 미덕은 악덕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며, 약점으로 보이는 것이 때로는 강점으로 드러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바심을 보자. 한편으로는 그것이 아름다움을 드러낼 수 있는 것들에 매달리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세상의 공허한 것들에 만족하기를 꺼리는 불안한 마음은 또한 더 나은 것을 추구하도록 우리를 이끌 수도 있다. 또는 자부심. 물론 오만함으로 굳어질 수 있지만, 군중과 반대되는 자신의 미적 판단을 신뢰하는 데 필요한 자신감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게으름처럼 보이는 것조차 때로는 필요한 수용성일 수 있다. 월트 휘트먼이 말해주지 않아도 우리는 인스타그램에 올릴 일몰 사진을 미친 듯이 찍는 사람보다 그가 말한 겉보기엔 그냥 빈둥대는 사람이 아름다움에 더 열려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안다.
This challenging complexity means we need what we might call aesthetic phronesis: practical wisdom about beauty. Phronesis is judgment, balance, good sense about what capacities to nurture and how to put them to work in a good life. And this means not just countering vices but cultivating virtues—again in the eudaimonist rather than necessarily moral sense.
이 도전적인 복잡성은 우리가 ‘미적 프로네시스’라 부를 수 있는 것, 즉 아름다움에 관한 실천적 지혜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프로네시스는 판단력, 균형감, 어떤 능력들을 기르고 그것들을 어떻게 좋은 삶에 활용할지에 대한 양식(良識)이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히 악덕을 막는 것뿐만 아니라 미덕을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다시 말하지만, 반드시 도덕적 의미에서보다는 행복론적 의미에서 말이다.
What reveals beauty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것
If we aspire to thrive, and we believe a love of beauty can help, we need not just overcome internal obstacle. We also need to ask the affirmative question: what capacities are useful? What virtues help us see and appreciate beauty? Four seem essential: attention, resilience, humility, and a form of courage corresponding to what Aristotle called macropsychia, greatness of soul.
우리가 번영을 갈망하고,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면, 내적 장애물만 극복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긍정적인 질문도 던져야 한다: 어떤 능력이 유용한가? 어떤 미덕이 아름다움을 보고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네 가지가 필수적으로 보인다: 주의력, 회복탄력성, 겸손,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마크로프시키아’, 즉 위대한 영혼이라고 부른 것에 상응하는 형태의 용기.
Attention may be the most vital—and among the hardest to nurture in our contemporary aesthetic environment. The attention economy profits from our scattered focus, but beauty requires something else—a quality of presence that resists being harvested. Beauty often unfolds over time, in Bach fugues that reveal their architecture only to those who stay with them, in novels whose depths emerge on second reading, in friendships that deepen from surface charm to soul-sustaining connection. Beauty asks us to focus, listen, and attend.
주의력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우리의 동시대 미적 환경에서 기르기 가장 어려운 능력일 수 있다. 주의력 경제는 우리의 산만한 집중에서 이익을 얻지만, 아름다움은 다른 것을 요구한다—수확당하기를 거부하는 참여의 질이다. 아름다움은 종종 시간이 흐르며 드러난다. 바흐의 푸가처럼 끝까지 함께한 이에게만 구조가 드러나고, 소설처럼 두 번째 읽을 때 깊이가 나타나며, 우정처럼 표면적 매력에서 영혼을 지탱하는 연결로 깊어진다. 아름다움은 우리에게 집중하고, 귀 기울이고, 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구한다.
And resilience—the ability to keep at it, even after disappointment. Beauty is elusive, and so it often eludes. Instead of the joy of surfing, we may find the frustrating exhaustion of being unable to catch a wave. The math in which we sought order may offer instead the insurmountable challenge of concepts we cannot grasp. Without resilience, these experiences can make us cynical, tempted to turn to easier and seemingly more solid pleasures on sale in our feeds. But resilience is memory—remembering the times beauty did arrive, trusting it will come again, staying available to wonder.
그리고 회복탄력성—실망 이후에도 계속해 나아갈 수 있는 능력. 아름다움은 붙잡기 어려워서 종종 우리를 피해간다. 우리는 서핑의 기쁨 대신, 파도를 타지 못하는 데서 오는 좌절스러운 탈진감만을 느낄 수도 있다. 질서를 찾으려고 수학에 매진했지만 수학은 오히려 파악할 수 없는 개념들이라는 극복 불가능한 도전으로 다가올 수 있다. 회복탄력성이 없다면, 이런 경험들은 우리를 냉소적으로 만들 수 있다. 우리에게 계속해서 자동으로 제공되는 피드들에서 광고되는 더 쉽고 겉보기엔 더 확실한 쾌락으로 돌아서고 싶은 유혹에 빠지게 한한. 그러나 회복탄력성은 기억이다—아름다움이 찾아왔던 순간들을 기억하고, 다시 올 것임을 믿으며, 경이로움에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
‘피드’는 ‘먹이’나 ‘여물’을 뜻하는 원래 의미 외에, 컴퓨터 분야에서는 새로운 정보나 콘텐츠가 시간 순서대로 계속해서 나타나는 목록 또는 스트림을 의미한다. 주로 소셜 미디어의 게시물, 뉴스 목록 등에서 볼 수 있다.
――
And humility. Aesthetic humility means accepting that our taste is not exhaustive, that beauty exists in forms we don’t yet recognize. Think about the first time you heard opera—or perhaps hip hop, depending on the trajectory of your own musical journey. Or the first time you saw a hockey game, or a new and different sort of film.
그리고 겸손함. 미적 겸손함은 우리의 취향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 우리가 아직 인지하지 못하는 형태로 아름다움이 존재한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오페라를 처음 들었을 때를 떠올려 보라—또는 각자의 음악적 여정에 따라 힙합일 수도 있다. 또는 하키 경기를 처음 봤을 때, 또는 새롭고 색다른 영화 한 편을 보았을 때 일 수도 있다.
A crucial aspect of this aesthetic humility is a tolerance for incompleteness and ambiguity. Beauty often arrives in fragments, glimpses, moments that don’t resolve into neat meaning. The sunset that moves us can’t be fully captured or explained. The poem that haunts us resists paraphrase. Walking through a cathedral, we might be moved in ways we cannot fully understand, let alone explain. In a culture that seems to demand that everything be quantifiable and PowerPoint-able, this openness allows us what may be the core experience of philokalia—being moved by glimpses of beauty beyond our present ken.
이 미적 겸손의 핵심은 불완전함과 모호함에 대한 관용이다. 아름다움은 종종 파편들로, 일별들로, 깔끔한 의미로 정리되지 않는 순간들로 다가온다. 우리를 감동시키는 석양은 완전히 포착되거나 설명될 수 없다. 우리를 사로잡는 시는 요약을 거부한다. 대성당을 거닐 때 우리는 완전히 이해하기는커녕 설명조차 할 수 없는 방식으로 감동받을 수 있다. 모든 것이 계량화되고 파워포인트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하는 듯한 문화 속에서, 이 열려 있는 마음가짐은 필로칼리아의 핵심 경험—우리의 현재의 이해를 넘어선 아름다움을 일별함으로써 감동받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Most challenging might be what we might call greatness of soul, what Aristotle called macropsychia. This is of course the counterpart to micropsychia, smallness of soul; but it is more than that. And at the heart of this form of greatness is a form of courage. To let yourself be moved by beauty requires dropping your guard. We so often feel the need to preface enthusiasm with disclaimers: “I know it’s cheesy, but…” We’ve been trained to mock sincere enthusiasm, to armor ourselves with irony. It may look like sophistication; but it is a form of fear. And it calls for courage—courage against cynicism and smallness of soul.
가장 도전적인 것은 우리가 영혼의 위대함이라 부를 수 있는 것, 아리스토텔레스가 ‘마크로프시키아’라 부른 것일 수 있다. 이것은 물론 영혼의 왜소함인 ‘마이크로프시키아’의 반대 개념이지만, 그 이상이다. 그리고 이 위대함의 핵심에는 일종의 용기가 자리한다. 아름다움에 감동받을 수 있으려면 경계심을 내려놓아야 한다. 우리는 종종 열정에 변명을 덧붙여야 할 필요를 느낀다: “진부하다는 건 알지만…” 우리는 진심 어린 열정을 비웃도록, 아이러니로 무장하도록 훈련받아 왔다. 세련된 척 보일지 모르나, 그것은 일종의 두려움이다. 그리고 그것은 용기를 요구한다—냉소주의와 영혼의 왜소함에 맞서는 용기를.
What beauty builds
아름다움이 쌓아가는 것
Beauty is not only an object toward which our cultivated virtues are directed; it can also be a source of virtue itself. To encounter beauty is often to be changed by it, to find that it leaves us with new habits of heart and mind. This is not automatic, nor the same for everyone, but beauty has the power to shape us as we shape our attention to meet it. Again, we can identify four examples—capacities that a love of beauty can help us nurture: hope, temperance, humility, and a kind of connectedness or fellow-feeling, which we might simply call community.
아름다움은 우리가 길러낸 미덕들이 향하는 대상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미덕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아름다움을 마주한다는 것은 종종 그것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며, 그것이 우리의 마음과 정신에 새로운 습관을 남겼음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동적이지도, 모두에게 동일하지도 않지만, 아름다움은 우리가 그것을 만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는 만큼 우리를 형성하는 힘을 지닌다. 다시 한번,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이 길러줄 수 있는 네 가지 능력—희망, 절제, 겸손, 그리고 단순히 공동체라고 부를 수 있는 일종의 연결감 또는 동료애—을 확인할 수 있다.
Perhaps the most vital capacity that a love of beauty can nurture is hope, or what we might better call the ability aspire rather than reduce. Encounters with beauty open onto horizons larger than our immediate situation. They hint that something more is possible, that the present moment is not all there is. In this way, beauty cultivates a stance of receptivity to possibility.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이 길러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능력은 아마도 희망, 또는 ‘축소하기보다 열망하는 능력’이라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아름다움과의 만남은 우리의 당면한 상황보다 더 넓은 지평을 열어준다. 그것은 더 많은 것이 가능하다는 암시이며, 현재의 순간이 전부가 아니라는 암시이다. 이런 방식으로 아름다움은 가능성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길러낸다.
Beauty can also cultivate temperance. Unlike mere physical pleasure or the ego boost of fame or prestige, it can enrich rather than inflame. Beauty can in this way educate desire, helping us choose sustaining satisfactions over compulsive cravings. A physicist on the verge of a beautiful breakthrough, a surfer watching waves curl in invitation, a craftsperson honing skills and sensing something emerging. It is harder to sell hollow nonsense to folks like that—at least in those moments. This is temperance not as repression but as liberation: the ability to locate and delight in what endures rather than chase what evaporates.
아름다움은 절제심도 길러줄 수 있다. 단순한 육체적 쾌락이나 명성 또는 지위에서 오는 자아도취와 달리, 아름다움은 욕망을 부추기기보다 풍요롭게 한다. 이처럼 아름다움은 욕망을 교화하여, 강박적인 갈망보다 지속 가능한 만족을 선택하도록 돕는다. 아름다운 돌파구를 눈앞에 둔 물리학자, 유혹하듯 휘감는 파도를 바라보는 서퍼, 기술을 갈고닦으며 무언가 탄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장인. 그런 사람들에게는—적어도 그 순간만큼은—텅 빈 허튼소리를 팔기 어렵다. 이것은 억압이 아닌 해방으로서의 절제다: 증발하는 것을 좇기보다 지속되는 것을 찾아 기쁨을 누리는 능력.
And humility. If humility is already among the virtues that enable us to perceive beauty—an openness to what we do not yet recognize—then beauty itself can amplify that quality. Awe, as psychologists note, makes us feel small but expanded, both less central and more connected. The stars remind us of our insignificance, yet in the same glance we feel drawn into their vastness. Beauty can unsettle our ego and situate us in a larger whole.
그리고 겸손함. 겸손함이 아름다움을 지각할 수 있게 하는 미덕 중 하나—아직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열린 마음—라면 아름다움 그 자체가 그 특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심리학자들이 지적하듯, 경외감은 우리 자신에 대해 작지만 확장되어 있다고, 덜 중심적지만 더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게 한다. 별들은 우리의 하찮음을 상기시키지만, 동시에 우리는 그것들의 광대함에 끌려 들어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아름다움은 우리의 자아를 뒤흔들고 더 큰 전체 속에 우리를 위치시킨다.
And that larger whole can mean community; beauty can call us to fellowship. We point out a sunset, send a poem to a friend, nudge the person next to us when a player makes an impossible shot. The impulse to share is almost as strong as the experience itself. Beauty shows us that aspiration expands when it circulates, that wonder connects as it inspires.
그리고 그 더 큰 전체는 공동체를 의미할 수 있다; 아름다움은 우리를 동료애로 이끌 수 있다. 우리는 석양을 가리켜 보이고, 친구에게 시를 보내고, 선수가 불가능한 슛을 성공시키면 옆사람을 살짝 건드린다. 아름다움을 공유하려는 충동은 거의 아름다움의 경험 자체만큼이나 강렬하다. 아름다움은 열망이 퍼질 때 열망이 확장되고, 경이감이 영감을 불어넣을 때 경이감이 연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se dispositions can be cultivated by other means—by philosophy, faith, mindfulness, or even force of will. But beauty offers a uniquely immediate teacher. It can call us to hope, reorient our appetites, remind us of our place, and bring us together. Beauty is not only what we perceive through cultivated habits of mind; it is also what helps make us more fully capable of thriving. Aesthetic phronesis is thus not about becoming refined or cultured in any precious sense. It is about developing the capacities that let beauty enrich our lives. Or so we can hope.
이 성향은 다른 수단—철학, 신앙, 마음챙김, 심지어 의지력—을 통해서도 길러질 수 있다. 그러나 아름다움은 독특하게 즉각적인 스승을 제공한다. 그것은 우리에게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우리의 욕구를 재조정하며, 우리의 자리를 상기시키고, 우리를 하나로 모을 수 있다. 아름다움은 길러진 마음의 습관을 통해 지각하는 것만이 아니다; 그것은 또한 우리가 더 풍요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따라서 미적 프로네시스는 어떤 귀족적인 의미에서 세련되거나 교양 있게 되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아름다움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우리는 그렇게 희망할 수 있다.
What about justice?
그렇다면 정의는?
This hope ought also to generate a concern. Many of those capacities that might help us nurture this potentially enriching love of beauty require conditions that not everyone enjoys. Time to linger, safety to drop our guard, exposure to beauty in its various forms, communities that model aesthetic attention—these are not equally distributed. A parent working three jobs has little time for patient attention. A student in an underfunded school may never encounter the beauties that would teach these virtues. This is why the question of aesthetic phronesis leads inevitably to questions of justice. We cannot simply exhort people to develop these capacities while accepting a world that denies them the conditions to do so. Thus the task ahead, and the subject of my next essay, is not just personal but political: how to democratize not just beauty itself but the very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capacities to receive it.
이 희망은 또한 우려를 불러일으켜야 한다. 아름다움에 대한 이 잠재적으로 풍요로운 사랑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많은 능력들은 모두가 누리지는 못하고 있는 조건을 필요로 한다. 머무를 시간, 경계를 풀 수 있는 안전함, 다양한 형태의 아름다움에 대한 노출, 미적 관심을 모델로 삼는 공동체—이것들은 평등하게 분배되지 않는다. 세 가지 일을 하는 부모는 자녀에게 인내심 있는 관심을 기울일 시간이 거의 없다. 재정이 부족한 학교의 학생은 이 미덕들을 가르쳐 줄 아름다움을 결코 접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미적 프로네시스의 문제는 필연적으로 정의의 문제로 이어진다. 우리는 사람들에게 이 능력들을 개발하라고 권고하면서, 그들에게 그렇게 하는 데 필요한 조건을 제공하지 않는 세상을 절대 용인할 수는 없다. 따라서 앞으로의 과제이자 내 다음 글의 주제는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정치적인 차원이다: 아름다움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일 능력을 개발할 가능성 자체를 어떻게 민주화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