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trice 2.0

Sherman J. Clark

베아트리체 2.0

셔먼 J. 클라크

출처: 3 Quarks Daily / 2025년 9월 30일

원문 보기

번역: 정성철 cittaa@gmail.com

Dante begins The Divine Comedy in a dark wood, lost. He cannot see the way forward. His journey out of confusion and despair depends on a guide—not just Virgil, who leads him through Hell and Purgatory, but ultimately Beatrice, whose beauty awakens in him a love that points beyond itself. Beatrice is not simply an object of desire. She is a source of orientation, a reminder that desire itself can be educated, elevated, and directed toward what is most real and most nourishing.

단테는 <신곡>을 어두운 숲속에서 길을 잃은 채 시작한다. 그는 앞으로 나아갈 길을 볼 수 없다. 혼란과 절망에서 벗어나는 그의 여정은 안내자에 달려 있다—지옥과 연옥을 안내하는 버질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그에게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사랑을 일깨워주는 아름다움의 화신 베아트리체에게도. 베아트리체는 단순히 욕망의 대상이 아니다. 그녀는 방향을 알려주는 등불이며, 욕망 그 자체가 교육받고 향상되어 가장 실질적이고 가장 영양가 있는 것을 향해 이끌릴 수 있음을 상기시키는 존재다.

 

We too are often in a kind of dark wood—a thicket of distractions, manipulations, and half-truths. And we are surrounded by guides of a sort—marketers, algorithms, prosperity preachers, podcasters and influencers of every sort, all competing for our attention and trying to shape our desires. But unlike Beatrice, they do not aim to elevate or orient us toward what nourishes. Their purpose is to capture and monetize our attention, to keep us scrolling and buying and craving.

우리 역시 종종 일종의 어두운 숲—산만함, 조작, 반쪽 진실의 덤불—에 놓인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는 일종의 안내자들이 도사리고 있다—마케팅 담당자, 알고리즘, 번영 설교자, 팟캐스터, 온갖 종류의 인플루언서들이 우리의 관심을 두고 경쟁하며 우리의 욕망을 형성하려 한다. 그러나 베아트리체와 달리 그들은 우리를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 쪽으로 끌어 올리거나 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그들의 목적은 우리의 주의를 포착해 수익화하고, 우리가 계속 스크롤하고 구매하고 갈망하게 만드는 것이다.

 

This is not just an annoyance. It is a crisis of desire. Our wants—so deeply bound up with our hopes, our fears, our sense of meaning—are increasingly manufactured to serve others’ ends. If desire is the engine of our striving, we are in danger of running on fuel that corrodes us.

이것은 성가신 것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욕망의 위기다. 우리가 원하는 것—희망, 두려움, 의미 감각과 깊이 얽힌—은 점점 타인의 목적에 봉사하도록 조작되고 있다. 욕망이 우리의 노력에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이라면, 우리는 우리를 부식시키는 연료로 달리는 위험에 처해 있다.

 

This is particularly evident online, where so many of us spend so much time. We wake to notifications designed to trigger immediate engagement. We descend through our feeds, each swipe taking us deeper into a carefully engineered maze of want. One video leads to another, as the algorithm serves up exactly the right mix of outrage and affirmation to keep us clicking. Leaving us not satisfied but rather vaguely anxious, as if we have eaten something that looked like food but contained no nutrition.

이것은 특히 많은 시간을 보내는 온라인에서 두드러진다. 우리는 즉각적인 참여를 유발하도록 설계된 알림과 함께 깨어난다. 피드를 내려가며, 매번 스와이프할 때마다 정교하게 설계된 욕망의 미로 속으로 더 깊이 빠져든다. 하나의 영상이 다른 영상으로 이어지며, 알고리즘은 우리가 계속 클릭하도록 분노와 확신을 정확히 적절히 섞어 차려준다. 결국 우리는 만족스럽지 않고 오히려 막연한 불안감에 사로잡힌다. 마치 음식처럼 보이지만 영양분은 전혀 없는 것을 먹은 듯한 기분이다.

 

It’s a hedonic treadmill with an algorithm for a trainer—one that studies our every response, learns our weaknesses, and adjusts its pace to keep us running but never arriving. The feeds are infinite, bottomless—there is no final satisfaction, no moment of completion, only the promise of one more thing that might finally be enough. The more sophisticated these systems become, the more precisely they can trigger our ancient reward circuits, hijacking desires that once helped us survive and turning them into vectors for profit.

그것은 알고리즘이 트레이너 역할을 하는 쾌락의 러닝머신이다. 우리의 모든 반응을 연구하고, 약점을 파악하며, 속도를 조절해 계속 달리게 하지만 결코 도착하지 못하게 한다. 피드는 무한하고 끝이 없다. 최종적인 만족도, 완결의 순간도 없다. 오직 ‘다음번에는 충분할지도 모른다’는 약속만이 존재할 뿐이다. 이 시스템은 더 정교해질 수록 우리의 원초적 보상 회로를 더 정밀하게 자극한다. 생존에 도움이 되던 욕망을 탈취해 이윤 창출의 매개체로 전락시키는 것이다.

 

We feel the effects in our own lives: the anxiety of endless comparison, the hollowness after another binge of content or consumption, the sense that we’re always behind, always lacking. We feel it in our communities too: conversations fractured by outrage, attention siphoned from the slow work of democracy, shared projects abandoned for private pleasures that don’t quite satisfy.

우리는 일상에서 그 영향을 느낀다: 끝없는 비교의 불안, 콘텐츠나 소비의 또 다른 폭식 후 찾아오는 공허함, 항상 뒤처지고 부족하다는 감각. 우리 공동체에서도 그것을 느낀다: 분노로 갈라진 대화, 민주주의의 느린 작동으로부터 빠져나간 관심,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사적인 쾌락을 위해 버려진 공동 프로젝트들.

 

Without something like Beatrice 2.0, we risk becoming exactly what the attention merchants hope: perpetually dissatisfied consumers, refreshing our feeds in search of something we can’t quite name, having forgotten that what we’re seeking can’t be delivered by any algorithm.

베아트리체 2.0 같은 것이 없다면, 우리는 주의력 상인들이 바라는 바로 그 존재가 될 위험을 무릅쓴다: 영원히 불만족스러운 소비자로서, 정확히 무엇인지 말할 수 없는 무언가를 찾아 피드를 새로고침하며, 어떤 알고리즘도 우리가 찾는 것을 제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잊어버린 채.

 

Some traditions would advise us to suppress desire altogether—to mistrust it, to renounce it. There is wisdom in temperance, and a certain freedom in stoic restraint. But I do not think most of us want merely to want less. I for one don’t wish to deaden desire. I want to want well—to long for things that, when pursued, become part of a good life with good friends. The challenge, then, is not to escape desire but to educate it.

어떤 전통은 욕망을 완전히 억누르라고 조언할 것이다—신뢰하지 말라고, 포기하라고. 절제에는 지혜가 있고, 금욕적 제한에는 특유의 자유가 있다. 하지만 우리 대부분이 단순히 덜 원하기만을 바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적어도 나는 욕망을 무디게 하고 싶지 않다. 나는 잘 원하고 싶다—추구될 때 좋은 친구들과 함께하는 좋은 삶의 일부가 되는 것들을 갈망하고 싶다. 따라서 과제는 욕망에서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교육하는 것이다.

 

Some will say the answer is to unplug, to flee the digital thicket altogether. And it is true: most of us would do well to step away from our screens more often. Yet the modern reality is that much of our lives will remain online. These tools are not going away, and they can even serve as vessels of wonder if we learn to use them rightly. The task, then, is not only to limit exposure but to cultivate habits of mind that let us thrive while plugged in—to educate our desires so that even in digital spaces we can seek what nourishes rather than what corrodes.

어떤 이들은 해답이 디지털 덤불에서 완전히 벗어나 플러그를 뽑는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진실이다: 우리 대부분은 화면에서 더 자주 떨어져 있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현실은 우리 삶의 상당 부분이 온라인에 머무를 것이라는 점이다. 이 도구들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우리가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을 배운다면 경이로움의 그릇으로 봉사할 수조차 있다. 따라서 과제는 단순히 노출을 한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결된 상태에서도 번성할 수 있게 하는 사고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즉, 우리의 욕망을 교육하여 디지털 공간에서조차도도 부식시키는 것이 아니라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re Dante’s image of Beatrice still matters. Not because we need a literal heavenly muse, but because we need something like what she embodied: a love that draws us upward, that directs our attention to what is noble and beautiful, that keeps us from mistaking momentary stimulation for real nourishment. In our own age, we might call this a Beatrice 2.0: a cultivated love of beauty that can resist exploitation and reorient desire toward flourishing.

바로 여기서 단테의 베아트리체 이미지가 여전히 중요하다. 문자 그대로 천상의 뮤즈가 필요해서가 아니라, 그녀가 구현한 것과 유사한 무엇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리를 위로 끌어올리는 사랑, 고귀하고 아름다운 것에 우리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사랑, 순간적인 자극을 실질적인 영양 공급으로 오해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사랑. 우리 시대에, 우리는 이것을 베아트리체 2.0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착취에 저항하고 욕망을 번영쪽으로 방향조정할 수 있는 아름다움에 대한 길러진 사랑.

 

By “beauty,” I do not mean prettiness or decoration, much less the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that marks one as refined. I mean something far more democratic and capacious. Beauty is what awakens awe, what points beyond itself to deeper meaning, what invites us into shared wonder. It is found in music and mathematics, in basketball as well as ballet, in the sight of a baby smiling or a sunset over water. Three qualities distinguish the kind of beauty I mean from mere stimulation or entertainment:

“아름다움”으로 나는 단순히 예쁨이나 장식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교양 있는 사람의 표식인 문화 자본의 소유는 더더구나 의미하지 않는다. 내가 말하는 아름다움은 훨씬 더 민주적이고 포용적인 것이다. 아름다움은 경외심을 불러일으키고, 그 너머에 있는 더 깊은 의미를 가리키며, 우리를 공유되는 경이로움 속으로 초대하는 것이다. 음악과 수학에서, 농구와 발레에서, 미소짓는 아기나 물 위에 지는 석양의 모습에서 발견된다. 내가 의미하는 아름다움은 단순한 자극이나 오락과 구별되는 세 가지 특성을 지닌다:

 

First, it evokes awe—that distinctive mix of vastness and accommodation that makes us feel both small and expanded. When we encounter genuine beauty, we don’t just consume it; we’re arrested by it, changed by it.

첫째, 그것은 경외감을 불러일으킨다—광활함과 수용이 독특하게 혼합되어 우리에게 작음과 확장됨의 느낌 둘 다 준다. 진정한 아름다움을 마주할 때, 우리는 그것을 그저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우리는 그것에 사로잡히고, 그것에 의해 변화된다.

 

Second, it points beyond itself. A beautiful mathematical proof doesn’t just solve a problem; it reveals an underlying order. A beautiful piece of music doesn’t just please the ear; it expresses something otherwise inexpressible. Beauty is not self-contained but indexical—it points to meaning.

둘째, 그것은 자신 너머를 가리킨다. 아름다운 수학적 증명은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질서를 드러낸다. 아름다운 음악은 단순히 귀를 즐겁게 할 뿐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무언가를 표현한다. 아름다움은 자족적이지 않고 지시적이다—그것은 의미를 가리킨다.

 

Third, beauty creates fellowship. When we’re moved by beauty together—watching a sunset, listening to music, witnessing athletic grace—we’re bound not by agreement or contract but by shared wonder. Beauty can invite, create, and sustain community.

셋째, 그것은 유대감을 창조한다. 우리가 함께 아름다움에 감동받을 때—일몰을 바라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운동선수의 우아함을 목격할 때—우리는 합의나 계약이 아니라 공유된 경이로움으로 묶인다. 아름다움은 공동체를 초대하고, 창조하며, 유지할 수 있다.

 

Can’t social media itself be a source of beauty? Yes, it can. I once had TikTok post about a Sappho poem once reached 16,000 people—16,000 souls the algorithm somehow thought might to hear a bit of Ancient Greek verse. The tools aren’t inherently evil; the question is who guides us in using them. When we approach these platforms with a cultivated love of beauty—we can use them to share wonder rather than manufacture envy. We can let Beatrice, not Elon or Mark, be our guide through the digital realm. The algorithm will still try to hijack our attention, but we can learn to direct that attention toward what nourishes rather than what merely stimulates.

소셜 미디어 자체가 아름다움의 원천이 될 수 있을까? 네, 될 수 있다. 언젠가 내가 올린 사포의 시 한편에 관한 틱톡 게시물이 16,000명에게 도달한 적이 있다—어떻게든 알고리즘이 고대 그리스 시에 조금이라도 귀기울일 거라고 생각한 16,000명이었다. 도구 자체가 악한 것은 아니다. 문제는 그것들을 사용할 때 누가 우리를 안내하는가이다. 우리가 아름다움에 대한 길러진 사랑을 품고 이 플랫폼들에 접근할 때—우리는 그것들을 이용해 질투를 조장하기보다는 경이로움을 공유할 수 있다. 우리는 엘론 머스크나 마크 주커버그가 아니라 베아트리체가 우리의 디지털 세계 안내자가 되게 할 수 있다. 알고리즘은 여전히 우리의 주의를 탈취하려 할 것이지만, 우리는 그 주의가 한낱 자극하는 것보다는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 쪽으로 향하게 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The love of beauty—what the Greeks called philokalia—is not a luxury for peaceful times. It is urgently practical. When our desires are under constant manipulation, beauty offers a different orientation. When we’re told that value means market value, beauty insists otherwise. When we’re isolated in our private feeds, beauty creates genuine connection.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그리스인들이 필로칼리아라 불렀던 것—은 평화로운 시대의 사치가 아니다. 그것은 긴급히 실천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욕망이 끊임없이 조작당할 때, 아름다움은 다른 방향을 제시한다. 가치가 시장 가치만을 의미한다고 말해질 때, 아름다움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사적인 피드들 속에 고립될 때, 아름다움은 진정한 연결을 창조한다.

 

Nor is this an elitist or ivory tower idea. What is elitist is the implicit claim that only rich folks need or can benefit from the orientation and elevation that a love of varied forms of beauty might offer. What is the elitist is the idea that the highest human goods and aspirations are only for some, while the rest should content themselves with being efficient units of production.

이것은 엘리트주의적이거나 상아탑적 사상이 아니다. 엘리트주의적인 것은 다양한 형태의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이 제공할 수 있는 방향과 향상을 오직 부자들만이 필요로 하거나 오직 부자들만이 그것들로부터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암묵적 주장이다. 엘리트주의적인 것은 최고의 인간적 좋음들과 열망들이 일부만을 위한 것이며, 나머지는 효율적인 생산 단위가 되는 데 만족해야 한다는 사상이다.

 

Philosophical reflection on beauty rarely finds its way into public policy debates. Yet it can and should. Nicolas Cornell, for example, has argued that even well-intentioned government nudges, meant to guide our choices, should be judged partly by their aesthetic costs. His claim is that when our perceptual environment is cluttered, polluted, or manipulated, our very capacity for beauty—and with it our freedom of thought—can be diminished. To take aesthetics seriously in law and regulation is to recognize that beauty sustains us not only in private life but in public life as well, and that its preservation belongs within the domain of justice

아름다움에 대한 철학적 성찰은 공공 정책 논쟁에 거의 반영되지 않는다. 그러나 반영될 수 있고, 그래야 한다. 예를 들어, 니콜라스 코넬은 우리의 선택을 안내하려는 선의의 정부 개입조차 부분적으로 미적 비용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은 우리의 지각 환경이 어지럽거나 오염되거나 조작될 때,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능력 그 자체와 함께 사고의 자유마저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법과 규제에서 미학을 진지하게 고려한다는 것은 아름다움이 사생활뿐만 아니라 공적 삶에서도 우리를 지탱하며, 그 보존이 정의의 영역에 속한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다.

 

There is another gift that a cultivated love of beauty can offer. Beauty not only directs our desires toward what nourishes; it steadies us when we must face what is not beautiful. As I’ve noted in recent essays, we should face rather than hide from the cruelties and injustices of our world, especially those in which we are indirectly complicit. But that can be it is as difficult as it is vital. And philokalia can help. A life open to awe is a life better able to endure dismay. To glimpse something beautiful—whether in music, mathematics, sports, craft, or even in museum—is to be reminded that the world holds more than its cruelties. The sight does not erase the horrors, but it helps us face them without despair. In this way, beauty becomes not a form of escape but a source of courage. By learning to see and love beauty we might cultivate a reservoir of strength to draw upon when we would otherwise be tempted to look away from what must be seen.

아름다움에 대한 길러진 사랑이 선사하는 또 다른 선물이 있다. 아름다움은 우리의 욕망을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 쪽으로 이끌 뿐만 아니라, 아름답지 않은 것을 마주해야 할 때 우리를 안정시킨다. 최근 글에서 언급했듯이, 우리는 세상의 잔혹함들과 불의들, 특히 우리가 간접적으로 연루되어 있는 것들을 멀리하기보다는 마주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중요한만큼이나 어렵다. 그리고 필로칼리아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경외심에 열린 삶은 실망에 더 잘 견딜 수 있는 삶이다. 음악, 수학, 스포츠, 공예, 심지어 박물관에서조차 아름다운 것을 엿보는 것은 세상이 잔혹한 것들 이상의 것을 품고 있음을 상기시키는 일이다. 그 모습이 끔찍한 것들을 지우지는 않지만, 우리가 절망 없이 그것들을 마주하도록 돕는다. 이 방식으로, 아름다움은 도피의 형태가 아니라 용기의 원천이 된다. 아름다움을 보고 사랑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우리는 마주해야 할 현실에서 눈을 돌리고 싶은 유혹에 빠질 때 의지할 수 있는 힘의 저장소를 기를 수 있을 것이이다.

 

This would not be the first time beauty has been enlisted against dehumanization. The enslaved people who created spirituals, the workers who built libraries and concert halls even while struggling to survive, the civil rights marchers who sang as they faced violence—all understood that beauty is not separate from justice but essential to it. It insists on our full humanity when others would reduce us to mere labor or mere appetite.

아름다움이 비인간화에 맞서 동원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닐 것이다. [흑인] 영가를 창조한 노예들,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면서도 도서관과 콘서트홀을 지은 노동자들, 폭력에 맞섰을 때 노래했던 민권 운동 행진자들—그들은 모두 아름다움이 정의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정의에 필수적임을 이해했다. 아름다움은 타인들이 우리를 한갓된 노동이나 한갓된 식욕으로 축소하려 할 때 우리의 온전한 인간성을 고집한다.

 

Recent research in neuroscience and psychology confirms what poets have long known: encounters with beauty—whether in nature, art, or mathematics—produce measurable benefits. They reduce stress and inflammation, increase generosity and cooperation,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People who regularly experience awe show less materialism, less narcissism, more concern for others and for the common good.

신경과학과 심리학의 최근 연구는 시인들이 오래전부터 알고 있던 사실을 확인해준다: 자연, 예술에서든, 수학에서든 아름다움과의 만남은 측정 가능한 이점을 가져다준다. 스트레스와 염증을 줄이고, 관대함과 협력을 증진시키며, 창의적 문제 해결을 촉진한다.

 

And beyond these individual benefits is a public one. A democracy whose citizens love beauty may be harder to manipulate than one whose citizens merely chase pleasure or flee from fear. A community bound by shared wonder may stronger than one held together only by economic exchange or shared xenophobia.

그리고 이 개인적 이득 너머에는 공공적 이득이 있다. 아름다움을 사랑하는 시민들로 이루어진 민주주의는 한갓 쾌락을 좇거나 두려운 것들 앞에서 도망치는 시민들로 이루어진 민주주의보다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공유된 경이로움으로 묶인 공동체는 경제적 교환이나 공유된 외국인 혐오만으로 뭉친 공동체보다 더 강할 수 있다.

 

At least three questions follow from this diagnosis, all of which will await future essays: First, what hinders us? In particular, what habits of mind prevent us from being guided and enriched by beauty. Second, how can cultivate a responsible love of beauty—an aesthetic phronesis that will allow us to be inspired but remain grounded. And finally, if beauty is key to human thriving, how do we ensure everyone has access to it?

이 진단에서 최소한 세 가지 질문이 도출되며, 그것들 모두 향후의 에세이들에서 다루게 될 것이다: 첫째, 무엇이 우리를 방해하는가? 특히, 어떤 사고 습관이 우리가 아름다움에 이끌리고 풍요로워지는 것을 막는가. 둘째, 어떻게 책임감 있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영감을 받을 수 있게 하면서도 현실에 발을 딛고 있을 수 있게 해줄 미적 프론네시스—를 기를 수 있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름다움이 인간의 번영에 핵심이라면, 어떻게 모두가 그것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인가?

 

But before we can address either the practical or political dimensions, we should at least recognize the possibility—the hope. We can continue to let our desires be shaped by those who profit from our dissatisfaction. Or we can seek out different guides—not to escape desire but to educate it, not to want less but to want better. The image of Beatrice reminds us that desire can be a teacher if we let it point us toward what truly nourishes. In our age of algorithmic manipulation, we need our own Beatrice—not a person but a practice, not a muse but a method. There may be a way out of our dark wood, if we can together cultivate a love of beauty strong enough to resist exploitation, deep enough to satisfy our hunger for meaning, and wide enough to include us all.

그러나 실천적 또는 정치적 차원을 다루기 전에, 우리는 적어도 가능성—희망—을 인정해야 한다. 우리는 계속해서 우리의 욕망을 우리의 불만족에서 이익을 취하는 자들에 의해 형성되게 놓아둘 수 있다. 또는 다른 안내자를 찾을 수도 있다—욕망에서 도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것을 교육하기 위해, 덜 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더 나은 것을 원하기 위해서. 베아트리체의 이미지는 진정으로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 쪽으로 우리를 지시하는 것이 되게 한다면, 욕망이 스승이 될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알고리즘적 조작의 시대에, 우리는 우리 자신의 베아트리체가 필요하다—사람이 아닌 실천, 뮤즈가 아닌 방법인 베아트리체 말이다. 착취에 저항할 만큼 강하고, 의미에 대한 갈망을 채울 만큼 깊으며, 우리 모두를 포용할 만큼 넓은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을 함께 기를 수 있다면, 어둠의 숲에서 벗어날 길이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