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stern Ignorance: Failure to See China Beyond the Party

Mao Keji, Thomas des Garets Geddes

서방의 무지: 당 너머의 중국을 못 보는 서방

마오케지, 토마스 데 가렛 게데스

출처: The China Academy / 2025년 3월 7일

원문 보기

번역: 정성철 cittaa@gmail.com

――

Mao Keji

Visiting Scholar at Harvard; Phd student at the School of Social Science, Tsinghua University

마오케지

하버드 방문 연구원, 칭화대학교 사회과학부 박사과정 학생

 

Thomas des Garets Geddes

Founder and editor of Sinification. Associate fellow at the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RUSI). Former analyst at MERICS. BA at SOAS and MSc at Oxford.

토마스 데 가렛 게데스

Sinification의 설립자 겸 편집자. 왕립 연합 서비스 연구소(RUSI) 부연구원. MERICS의 전 애널리스트. SOAS에서 학사, 옥스퍼드에서 석사 학위 취득.

――

Mao Keji is a rising star among China’s new generation of scholars. He has worked as an analyst at China’s influential 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and is now on leave as a visiting fellow at Harvard University. Mao is also a prolific commentator and the founder of the popular South Asia Research Brief, which tracks developments in South Asia and has around one million followers.

마오케지는 중국의 신세대 학자 중 떠오르는 스타이다. 그는 중국의 영향력 있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에서 분석가로 일했으며 현재는 휴가를 얻어 하버드 대학교 객원 연구원으로 있다. 그는 또한 다작의 논평가이자 남아시아의 발전 상황을 추적하는 인기 있는 남아시아 리서치 브리핑의 창시자로 약 10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

 

1. A Worldview Shaped by Scarcity

1. 희소성에 의해 형성된 세계관

 

Question 1: When we met last year in Beijing, you told me a little about your personal journey—where you come from, your family background and what inspired your interest in international relations. Would you be willing to share some of this with Sinification’s readers?

질문 1: 작년에 베이징에서 만났을 때 고향과 가족 배경, 국제 관계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등 개인적인 여정에 대해 조금 말씀해 주셨어요. 이 이야기 중 일부를 시니피케이션 독자들과 공유해 주시겠습니까?

 

Mao Keji: My hometown is in the southeast of China, in the county town of Jingning She Autonomous County. It is the poorest county in Zhejiang Province and, for a long time, has had the lowest economic output in the region. Living in a poor county within a wealthy province was a rather unique [奇妙] experience. Some people [of my generation] enjoyed the comforts of modern life [享受现代化生活] from the moment they were born, whereas I experienced dramatic changes in my living conditions as I grew up. This made me realise that modern life cannot be taken for granted [理所当然]. Although economic development may come at a cost [付出代价], the cost of failing to develop is far greater.

마오케지: 제 고향은 중국 남동부에 있는 징닝쉐 자치현의 현급 도시입니다. 저장성에서 가장 가난한 현으로, 오랫동안 이 지역에서 경제 생산량이 가장 낮았습니다. 부유한 지방의 가난한 현에서 사는 것은 다소 독특한[奇妙] 경험이었습니다. 제 세대의 어떤 사람들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현대 생활의 안락함[享受现代化生活]을 누린 반면, 저는 자라면서 생활 환경의 극적인 변화를 경험했습니다. 이것을 통해 현대 생활이 당연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理所当然]. 경제 발전에는 대가[付出代价]가 따르지만, 발전하지 못했을 때의 대가는 훨씬 더 큽니다.

 

Here’s an example that might seem hard to believe. I was studying at Tsinghua University in 2012-3 when Beijing’s smog problem was at its worst. I’m not at all championing air pollution, but I must say, I didn’t find it particularly unpleasant breathing in the smoggy air. Why was that? I had lived most of my childhood in a poor county on the rural-urban fringe, where every day you would smell the [strong smell of] manure used as fertiliser. It was not exactly bucolic [田园牧歌].

믿기 어려운 예가 하나 있습니다. 저는 베이징의 스모그 문제가 최악이었던 2012~3년에 칭화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대기 오염을 옹호하는 편은 아니지만, 스모그가 낀 공기를 마시는 것이 특별히 불쾌하지는 않았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저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시골과 도시 경계에 있는 가난한 현에서 살았는데, 그곳에서는 매일 비료로 사용되는 거름 냄새가 심하게 났기 때문입니다. 목가적[田園牧歌]인 분위기는 아니었죠.

 

At that time, my parents would occasionally take me on business trips to the provincial capital, Hangzhou. One of my most vivid memories there [最深刻的记忆是] was its mixed scent of car fumes and coal smoke—the very smell of smog. So even now, whenever I catch the scent of smog, it brings back those childhood memories: the dazzling displays [琳琅满目] in Hangzhou’s department stores, the taste of KFC and the vibrancy and prosperity of the big city [繁荣的大城市]. This mental association is so powerful that it makes me less averse to the smell of smog. In my mind, it represents a good life, one worth aspiring to [值得向往的美好生活]. Fortunately (or unfortunately for me), it is hard to encounter that smell in Beijing these days. If I wanted to experience it again, I would probably have to go to Karachi or New Delhi to experience it again.

당시 부모님은 가끔 저를 데리고 지방의 수도인 항저우로 출장을 가곤 하셨죠. 그곳에서의 가장 생생한 기억 중 하나는 자동차 매연과 석탄 연기가 뒤섞인 스모그 냄새였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스모그 냄새를 맡을 때마다 항저우 백화점의 화려한 디스플레이[琳琅满目], KFC의 맛, 대도시의 활기와 번영[繁荣的大城市]과 같은 어린 시절의 기억이 떠오르곤 합니다. 이러한 정신적 연상이 너무 강력해서 스모그 냄새를 덜 싫어하게 됩니다. 제 마음속에서 그것은 좋은 삶, 열망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삶[值得向往的美好生活]을 상징합니다. 다행히도 (혹은 불행히도) 요즘 베이징에서는 그런 냄새를 맡기 어렵습니다. 다시 경험하고 싶다면 아마 카라치나 뉴델리에 가서 다시 경험해야 할 것 같습니다.

 

Growing up in a poor county tow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e. Now, whenever I encounter controversial issues in society, I always ask myself: is this a problem caused by development or a lack thereof? Only those who have themselves experienced material scarcity [过物质匮乏], sluggish development [发展缓慢], and the pain of being left behind [被遗忘在角落的痛苦] can truly understand this point: problems caused by development can only be solved through further development. If we insist on going backwards [走回头路], we will only prolong that suffering. My experiences have profoundly shaped my worldview, making me focus more on the “economic foundations” of how the world works [世界运行的“经济基础”], rather than on any default set of values imposed from outside of China [外部预设的价值判断]. This is why, at times, I come across as extremely pragmatic [实用主义].

가난한 시골 마을에서 자란 것은 저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제 저는 사회에서 논란이 되는 이슈를 접할 때마다 이것이 개발로 인한 문제인가, 아니면 개발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인가를 항상 자문합니다. 물질적 부족[过物质匮乏], 더딘 발전[发展缓慢], 낙후의 고통[被遗忘在角落的痛苦]을 직접 경험한 사람만이 이 점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개발로 인한 문제는 더 발전해야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거꾸로 가는 것[走回头路]을 고집한다면 그 고통만 연장될 뿐입니다. 저의 경험은 저의 세계관을 깊이 형성했고, 외부에서 부과된 기본 가치관[外部预设的价值判断]보다는 세계가 작동하는 방식[世界运行的“经济基础”]에 더 집중하게 만들었습니다. 이것이 제가 때때로 지극히 실용주의적인[实用主义] 사람으로 보이는 이유입니다.

 

2. Debating China: A Perspective Shaped Abroad

2. 중국에 대한 토론: 해외에서 형성된 관점

 

Question 2: As an undergraduate in the early 2010s, you studied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and were a staunch defender of your country in online debates. You have referred to yourself jokingly as a 50-center “wumao” (五毛)—perhaps as a playful nod to your surname Mao (毛). Could you tell us a bit more about that period in your life? What motivated you to speak up back then?

[Note: A “50-center” (五毛, wumao) refers to an internet commentator reportedly paid by the CCP to promote pro-government narratives and suppress dissent online, allegedly earning 0.50 RMB per post.]

질문 2: 2010년대 초 학부생 시절 토론토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를 공부하면서 온라인 토론에서 중국을 옹호하는 입장을 견지하신 것으로 압니다. 농담 삼아 자신을 50센터 “우마오”(五毛)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아마도 성이 마오(毛)인 것을 장난스럽게 표현한 것 같습니다. 그 시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씀해 주시겠어요? 그 당시 발언을 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요?

[주: “50센터”(五毛, 우마오)는 중국 공산당이 온라인에서 친정부 서사를 홍보하고 반대 의견을 억압하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인터넷 논객을 말하며, 게시물당 0.50위안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o Keji: Actually, I don’t fit the definition of a “wumao” because no one has ever given me 50 cents for my views, haha. In 2009, I went to the University of Toronto for my undergraduate studies. This was just after the 2008 financial crisis and the Beijing Olympics. At that time, there were many academic seminars in Toronto that doubted the West and praised China [质疑西方、吹捧中国]. As an international relations student, I often attended these as an observer. This was a strange and new [新奇] kind of experience for me. Growing up in China, I had always been taught that “the West is advanced, China is backward” [西方先进、中国落后] and that “only by working hard can we change China’s poverty and backwardness” [要努力学习才能改变中国的贫弱落后].

마오케지: 사실 저는 “우마오”의 정의에 맞지 않는데, 제 의견에 대해 50위안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이죠. 2009년에 저는 학부 과정을 위해 토론토대학교에 진학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와 베이징 올림픽 직후였죠. 당시 토론토에는 서방을 의심하고 중국을 찬양하는 학술 세미나가 많았습니다[质疑西方、吹捧中国]. 국제관계학과 학생이었던 저는 종종 참관인 자격으로 이런 세미나에 참석했습니다. 이것은 저에게 이상하고 새로운[新奇] 경험이었습니다. 중국에서 자라면서 저는 항상 “서방은 선진적이다, 중국은 후진적이다”[西方先进、中国落后], “열심히 노력해야만 중국의 가난과 후진성을 바꿀 수 있다”[要努力学习才能改变中国的贫弱落后]라고 배웠습니다.

 

But after arriving in Toronto, I was surprised to find that many people were actually discussing the rise of China, backed up by arguments from economics,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course, there were also many proponents of the “China threat theory” too, but that also indirectly reinforced the narrative of China’s powerful ascent. In any case, this was the first time I realised that China was not actually as backward as I had thought. I learnt to be more optimistic about China’s future and to avoid being unduly humble about my country and talking it down too much [妄自菲薄].

하지만 토론토에 도착한 후 저는 많은 사람들이 경제학, 정치학, 국제 관계의 논거를 바탕으로 실제로 중국의 부상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물론 “중국 위협론”을 지지하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그 역시 중국의 강력한 부상에 대한 이야기를 간접적으로 뒷받침하고 있었습니다. 어쨌든 중국이 제가 생각했던 것만큼 후진적이지 않다는 것을 처음으로 깨달은 것은 그때가 처음이었습니다. 저는 중국의 미래에 대해 좀 더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중국에 대해 지나치게 겸손하고 지나치게 비하(妄自菲薄)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At the same time, my academic training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included development economics, modern glob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American foreign relations, which together gave m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China. For example, I remember the advice of my economics professor, Michael Hare, from our very first class with him: “Don’t let yourself get bamboozled [迷惑] by all the short-term economic indicators. In the long run, technological progress is the key variable, because that is the driver of productivity growth [生产力发展].” Similarly, in my global modern history class, our teacher explained that the West also faced serious problems in its modern history. Much of what the West now takes pride in was actually the result of historical struggles [历史斗争的结果]. It cannot be taken for granted: the US had its “Gilded Age”; and London was once enveloped in smog.

동시에 토론토대학교에서 개발 경제학, 현대 세계사, 미국 대외 관계사를 공부하면서 세계와 중국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 교수님이셨던 마이클 헤어 교수님이 첫 수업에서 했던 조언이 기억에 남습니다: “단기적인 경제 지표에 현혹되어 미혹(迷惑)되지 마세요. 장기적으로는 기술 발전이 생산성 성장[生产力发展]의 원동력이기 때문에 기술 발전이 핵심 변수입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마찬가지로 세계 현대사 수업 선생님은 서방도 현대사에서 심각한 문제에 직면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서방이 자부심을 갖고 있는 것 중 많은 것들이 사실은 역사적 투쟁의 결과[历史斗争的结果]이니 당연시해서는 안 된다, 미국에는 “도금(鍍金) 시대”가 있었고 런던은 한때 스모그에 휩싸여 있었다고요.

 

This professor also recommended two historians to me: the American scholar Howard Zinn and the British historian Eric Hobsbawm. They were the two intellectuals who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me, and their works laid the foundation of my worldview [奠定了我的认知基础]. If you’re familiar with them, you’ll understand the roots of how I look at the world [思想底色]. What was particularly ironic was that when I returned to Tsinghua University as an exchange student, many of my classmates had taken compulsory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like “The Theory and Practic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nd “Introduction to Mao, Deng, the Three Represents and the Scientific Outlook on Development”. But to my surprise, they had not learnt anywhere near as much as I had in my classes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The contrast was really quite striking [强烈].

그 선생님은 저에게 미국 학자 하워드 진과 영국 역사가 에릭 홉스봄이라는 두 명의 역사가도 추천해 주셨습니다. 두 사람은 저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두 지식인이었고, 그들의 저작은 제 세계관[奠定了我的认知基础]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이 두 분을 잘 아신다면 제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뿌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思想底色]. 특히 아이러니했던 것은 제가 교환학생으로 칭화대학교에 돌아왔을 때 많은 동기들이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이론과 실천”이나 “마오쩌둥, 덩샤오핑, 삼대표와 과학적 발전 전망”과 같은 필수 이념 및 정치 과목을 수강하고 있었다는 사실이었어요. 하지만 놀랍게도 그들은 제가 토론토대학교에서 들었던 수업들에서 배운 만큼 많이 배우지 못했습니다. 그 대조는 정말 놀라웠습니다[强烈].

 

When it comes to online debates [论战], I’ve always been against labelling others as “pro-American shills [美分]”, “public intellectuals [公知; in the pejorative sense]”, or “50-centers [五毛]”. I believe that any argument that holds water can be discussed. Many issues are inherently complicated [内在逻辑是非常复杂的]. You should actually engage with the complexity of the issue, rather than just sticking to your ideological position [搞立场先行]. Looking back at the online debates [论战] from that time, most of what I did was just use the new knowledge I had learned in class to engage in these discussions. It was pretty much just revising what I had studied.

저는 온라인 토론[论战]에서 다른 사람을 “친미 매국노[美分]”, “대중 지식인[公知; 경멸적인 의미로]”, “50센터[五毛]”로 분류하는 것에 항상 반대해왔습니다. 저는 나름의 논거가 있는 모든 주장이 논의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이슈는 본질적으로 복잡합니다[内在逻辑是非常复杂的]. 이념적 입장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이슈의 복잡성과 실제로 대결해야 합니다[搞立场先行]. 당시 온라인 토론을 돌이켜보면 제가 한 일은 대부분 수업 시간에 배운 새로운 지식을 활용해 토론에 참여한 것이었습니다. 거의 제가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는 정도였죠.

 

For example, many people at the time criticised Beijing’s smog and argued that in order to reduce pollution, economic growth should be slowed down. In response, I introduced them to the concept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the idea that up to a certain threshold, economic development leads to worse environmental conditions, but after that point, further economic growth can actually improve them. Therefore, I argued that the only way to solve Beijing’s smog problem was to accelerate development.

예를 들어, 당시 많은 사람들이 베이징의 스모그를 비판하며 오염을 줄이기 위해 경제 성장 속도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저는 환경 쿠즈네츠 곡선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는데, 특정 임계치까지는 경제 성장이 환경 상태를 악화시키지만 그 이후에는 경제 성장이 오히려 환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저는 베이징의 스모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Similarly, many people at the time claimed that “state-owned enterprises distort China’s economy” and believed that China must sell off its state-owned enterprises to increase its economic competitiveness. To me, this view seemed overly simplistic, so I used French state-owned enterprises as a counterexample. After all, some of the most globally competitive products the French economy produces (like nuclear power, high-speed rail and aviation) come from state-owned companies.

마찬가지로 당시 많은 사람들이 “국유기업이 중국 경제를 왜곡한다”고 주장하며 중국이 경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국유기업을 매각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저는 이 견해가 지나치게 단순해 보였기 때문에 프랑스 국유 기업을 반례로 사용했습니다. 원자력, 고속철도, 항공 등 프랑스 경제가 생산하는 가장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제품 중 일부는 국유 기업에서 생산됩니다.

 

Additionally, for many years, I have consistently criticised China’s one-child policy in online discussions, because historical data clearly shows that industrialisation and urbanisation inevitably lead to lower birth rates. Given China’s stage of industrialisation, adding a strict birth control policy on top of this was an excessive intervention bound to have negative consequences.

또한, 저는 수년 동안 온라인 토론에서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을 꾸준히 비판해왔는데, 역사적 데이터가 산업화와 도시화는 필연적으로 출산율 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산업화 단계를 고려할 때, 여기에 엄격한 산아제한 정책을 추가하는 것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는 과도한 개입입니다.

 

3. Chinese Nationalism: Disillusionment with the West

3. 중국 민족주의: 서방에 대한 환멸

 

Question 3: How do today’s “50-centers” (五毛), “little pinks” (小粉红) and “angry youths” (愤青) differ from those of a decade or two ago? How do you feel that nationalism among China’s younger generations has been evolving in recent years?

질문 3: 오늘날의 “우마오”(五毛), “샤오펀훙”(小粉红), “성난 청년”(愤青)은 10년 전이나 20년 전의 우마오와 어떻게 다른가요?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젊은 세대의 민족주의가 어떻게 진화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Mao Keji: This is a difficult question to answer as I have not participated in online discussions for many years, so I can only share what I have observed as an outsider. Before delving into this, I must point out that grouping “50-centers”, “little pinks” and “angry youths” together may not be appropriate. A large portion of 50-centers are actually [faux-patriotic] “low-level reds [低级红]”, who blindly offer indiscriminate praise [for China] [不分青红皂白瞎吹捧] and are not a group to be taken seriously. Therefore, if a classification must be made, we should perhaps make the comparison with [the self-funded] “ziganwu” (自干五), as they are 50-centers who “bring their own rations” [自带干粮; i.e. they do not need to be paid to express their support for the Chinese government, contrary to the 50-centers who do get paid]. They are likely the main force that defends [Beijing] spontaneously whenever necessary [自发辩护].

마오케지: 저는 오랫동안 온라인 토론에 참여하지 않아서 외부인으로서 관찰한 것만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우마오”, “샤오펀훙”, “성난 청년”을 한데 묶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우마오의 상당수는 사실 [가짜 애국주의] “저급 빨갱이[低级红]”로, [중국에 대한] 무차별적인 찬양[不分青红皂白瞎吹捧]을 맹목적으로 제공하는 집단이며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할 집단이 아닙니다. 따라서 굳이 분류를 해야 한다면 [자비를 들이는] “쯔깐우”(自干五)와 비교해야 하는데, 이들은 “스스로 식량을 가져오는” 우마오이기 때문입니다[自带干粮; 즉, 돈을 받는 우마오와 달리, 이들은 돈을 받지 않고 중국 정부에 대한 지지를 표현합니다]. 이들은 필요할 때마다 자발적으로 [베이징]을 방어하는 주요 세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自发辩护].

 

Additionally, there are definitional issues with using the term “angry youths”. These ultra-nationalists may well be intensely hostile toward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ut at the same time, they might well hate the Chinese authorities even more, viewing them as weak, ineffective [软弱无力] and detrimental to China’s national interests. As such, these three groups [the 50-centers, little pinks and angry youths] may not be aligned at all [可能完全不是一路人] and should not be discussed as a single category.

또한 “성난 청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데에는 정의상의 이슈가 있습니다. 이 극단적 민족주의자들은 일본과 미국에 대해 극도로 적대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중국 당국을 약하고 무능하며[软弱无力] 중국의 국익에 해를 끼친다고 생각하면서 중국 당국을 더 증오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 그룹[우마오, 샤오펀훙, 성난 청년]은 전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可能完全不是一路人], 하나의 범주로 논의해서는 안 됩니다.

 

The biggest difference in today’s online discussions compared with the past is that [Chinese] netizens as a whole [网民整体] have become disillusioned with the West. Back then, a self-reflective mindset [反思情绪] dominated public discourse, where people instinctively criticised China first, believing that solutions to China’s problems could be found in the West. I have a vivid memory of one incident when all someone did was voice opposition to the US invasion of Afghanistan and he was immediately criticised for “opposing the progressive forces of the United States in liberating Afghanistan from terrorist rule.” This illustrates how, back then, many people genuinely believed that Western criticism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China’s political system [体制] was to some extent speaking [and made out of concern] for the Chinese people [为中国人民说话]. They saw [these voices] as well-intentioned “progressive forces” spurring on a “backward country”.

과거와 비교했을 때 오늘날 온라인 토론의 가장 큰 차이점은 [중국] 네티즌 전체[网民整体]가 서방에 환멸을 느낀다는 점입니다. 당시에는 자기 반성적 사고방식[反思情绪]이 대중 담론을 지배했고,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중국을 먼저 비판하며 중국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서방에서 찾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저는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반대의 목소리를 냈다가 “미국의 진보 세력이 아프가니스탄을 테러리스트 통치로부터 해방시키는 데 반대한다”는 비난을 받았던 한 사건을 생생히 기억합니다. 이것은 당시 많은 사람들이 중국 정부와 중국 정치 체제[体制]에 대한 서방의 비판이 어느 정도는 중국 인민[为中国人民说话]을 위한 [우려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진정으로 믿었음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이 목소리를] “후진국”에 박차를 가하는 선의의 “진보 세력”으로 여겼습니다.

 

However, nowadays, far fewer people hold such views in online discussions. On the one hand, this is because China has grown stronger. China has caught up with and surpassed [完成赶超] other countries in terms of industr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 more people now regard the West with a level-headed attitude rather than expecting “foreigners to speak on their behalf”. On the other hand, the United States has waged an intense trade and tech war against China since Trump’s first term, which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everyday lives [日常生活] of many Chinese people. It has been a harsh reality check [被现实教育] for those who once placed their hopes in the US. It has made them realise that American criticism is purely about suppressing China rather than an expression of genuine goodwill.

그러나 요즘에는 온라인 토론에서 이러한 견해를 가진 사람이 훨씬 적습니다. 한편으로는 중국이 더 강해졌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산업 및 경제 발전 측면에서 다른 나라들을 따라잡고 [完成赶超] 넘어섰습니다. 그 결과 이제 더 많은 사람들이 “외국인이 자신을 대변해 줄 것”을 기대하기보다는 냉정한 태도로 서방을 대하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부터 중국과 치열한 무역 및 기술 전쟁을 벌여왔고, 이것은 많은 중국인의 일상 생활[日常生活]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때 미국에 희망을 걸었던 사람들에게는 가혹한 현실 점검[被现实教育]이 되었습니다. 미국의 비판이 진정한 선의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순전히 중국을 억압하기 위한 것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The [2018] incident involving Meng Wanzhou [i.e. the Huawei executive who was arrested in Canada for fraud and conspiracy to commit fraud] may have been the example that stirred [触动] ordinary Chinese people the most. After this, even people with absolutely no awareness of international politics [对国际政治毫无知觉的人], like my parents, began to wake up to the reality that the US was prepared to resort to totally immoral behaviour, fabricate absurd excuses, and stage underhanded tactics to suppress China. This is actually a major public relations debacle for the US in China. Ever since, even when the US makes constructive and reasonable criticisms [建设性合理批评] of China, it has become difficult for Chinese people to see them as criticisms made in good faith.

멍완저우 [사기 및 사기 공모 혐의로 캐나다에서 체포된 화웨이 임원] 와 관련된 [2018년] 사건은 평범한 중국인들을 가장 크게 자극[触动]한 사례일 수 있습니다. 그 후 제 부모님처럼 국제 정치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들[对国际政治毫无知觉的人]도 미국이 중국을 억압하기 위해 완전히 부도덕한 행동을 하고 터무니없는 변명을 조작하고 교묘한 전술을 펼칠 준비가 되어 있다는 현실에 눈을 뜨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은 실제로 중국에서 미국의 주요 홍보 실패입니다. 그 이후로 미국이 중국에 대해 건설적이고 합리적인 비판[建设性合理批评]을 해도 중국인들은 그것을 선의의 비판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졌습니다.

 

Of course, this has also led to a deeply concerning side effect [非常令人担忧的副作用]. It has led to the rise of a large group of anti-Western conspiracy theorists and anti-intellectuals [反智论者]. They tend to interpret Western motives in the worst possible light, discarding any basic critical thinking [认知素养] or scientific reasoning [科学精神]. The most typical examples include the claim that Covid-19 was artificially engineered, the theory that Jews control the world, the belief that GM foods are deliberately made to be toxic, or that the moon landing was faked. Ironically, this group often finds common ground with the far-right in the West, which it copies many of its views from. The whole thing is most unexpected and deeply alarming.

물론 이것으로 인해 매우 우려스러운 부작용[非常令人担忧的副作用]도 발생했습니다. 반서방 음모론자와 반지식인[反智论者]이 대거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그들은 기본적인 비판적 사고[认知素养]나 과학적 추론[科学精神]을 무시한 채 서방의 동기를 최악의 시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코로나19가 인위적으로 조작되었다는 주장, 유대인이 세계를 지배한다는 이론, GM 식품이 의도적으로 독성을 갖도록 만들어졌다는 믿음, 달 착륙이 조작되었다는 주장 등이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그룹은 종종 서방의 극우 세력과 공통점을 발견하며, 그것의 많은 견해를 베낍니다. 이 모든 것이 가장 예상치 못한 일이며 매우 놀랍습니다.

 

4. Western Ignorance: China Beyond the Party

4. 서방의 무지: 당 너머의 중국

 

Question 4: As your recent rebuke of Jude Blanchette and Ryan Hass’s opinion piece for Foreign Affairs shows, you remain critical of the way Western—particularly US—analysts, policymakers, and journalists portray your country. What do you feel the West is getting wrong about China?

질문 4: 주드 블란쳇과 라이언 하스의 포린 어페어스 오피니언 기고문에 대한 당신의 최근 비판에서 볼 수 있듯이, 서방, 특히 미국의 분석가, 정책 입안자, 언론인들이 중국을 묘사하는 방식에 대해 여전히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계십니다. 서방이 중국에 대해 무엇을 잘못 알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

주드 블란쳇과 라이언 하스의 포린 어페어스 오피니언 기고문에 대한 당신의 최근 비판

https://thechinaacademy.org/save-two-authoritative-american-scholars-on-china-studies-theyre-about-to-cry/

――

 

Mao Keji: Yes you’re quite right. I do think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Western commentators, policymakers and journalists exhibit an astonishing level of ignorance when it comes to issues related to China. Some may be genuinely uninformed, but many others are just feigning ignorance [揣着明白装糊涂]. That being said, I am always happy to engage in discussions whenever I have the opportunity. That is exactly what I am doing now—reducing misunderstandings is always a good thing. I am also particularly grateful to you for providing this platform for dialogue.

마오케지: 네, 맞습니다. 상당수의 서방 논평가, 정책 입안자, 언론인이 중국과 관련된 이슈들에 대해 놀라운 수준의 무지를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부는 진정으로 무지한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그저 무지한 척[揣着明白装糊涂] 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렇지만 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항상 기꺼이 토론에 참여합니다. 오해를 줄이는 것은 언제나 좋은 일이니까요. 특히 이 대화의 장을 마련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To me, the West’s biggest misunderstanding when it comes to China is its overly rigid and shallow [太僵化浅薄] grasp of China’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I have seen far too many people project their understanding of the Soviet Union directly onto China, applying the Western mainstream definition of “totalitarianism” when looking at China. As a result, they tend to overemphasise the Party and state’s all-pervasive authority and control [无所不在的权威和操控].Meanwhile, they largely neglect the role played by Chinese society, businesses and ordinary citizens. Put simply, the West’s biggest misconception about China may be that it ignores the critical role played by its people [忽视人民].

중국에 대한 서방의 가장 큰 오해는 중국의 정치와 경제 시스템에 대한 지나치게 경직되고 얕은[太僵化浅薄] 이해입니다. 저는 중국을 바라볼 때 “전체주의”라는 서방의 주류 정의를 적용하여 소련에 대한 이해를 중국에 그대로 투영하는 사람들을 너무 많이 보았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당과 국가의 전방위적인 권한과 통제[无所不在的权威和操控]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중국 사회와 기업, 일반 시민의 역할은 거의 무시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중국에 대한 서방의 가장 큰 오해는 중국 국민[忽视人民]의 중요한 역할을 무시한다는 점일 수 있습니다.

 

I can actually understand this Western tendency: not enough time elapsed between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s rise. The academics, journalists and policymakers who helped the West win the Cold War remain highly influential [还没退出历史舞台]. It is only natural for them to use the same strategies against a new rival as they did against the old one. But this kind of intellectual laziness [认知懒惰] is bound to have serious negative consequences [一定会造成严重的不良后果].

소련의 붕괴와 중국의 부상 사이에 충분한 시간이 흐르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서방의 이 경향이 이해는 됩니다. 서방이 냉전에서 승리하는 데 도움을 준 학자, 언론인, 정책 입안자들은 여전히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还没退出历史舞台]. 그들이 새로운 라이벌에 옛 라이벌에 사용했던 전략과 동일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이 종류의 지적 게으름[认知懒惰]은 심각한 부정적 귀결을 초래할 수밖에 없습니다[一定会造成严重的不良后果].

 

Take the rapid rise of China’s EV industry in recent years as an example. There is already a huge amount of commentary on this, but most discussions overemphasise the role of the Chinese government, attributing the industry’s success to factors such as government subsidies, market distortion [扭曲市场] and organised intellectual property theft. However, few mention the brutal, cut-throat competitiveness [九死一生的惨烈竞争] of the Chinese market, the vast supply chain network built by Chinese companies, Chinese engineers’ higher level of technical skills [更高的专业素质], or workers’ disciplined and tireless drive to work hard [勤奋忍耐的作风].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전기차 산업이 급성장한 것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이것에 대해 이미 아주 많은 논평이 있지만, 대부분의 논의는 중국 정부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그 산업의 성공이 정부 보조금, 시장 왜곡[扭曲市场], 조직적인 지적 재산 도용 등의 요인에 기인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반면, 중국 시장의 잔인하고 치열한 경쟁[九死一生的惨烈竞争], 중국 기업이 구축한 방대한 공급망 네트워크, 중국 엔지니어들의 높은 기술력[更高的专业素质], 또는 중국 노동자들의 잘 훈련되어 있고 지칠 줄 모르는 근면성[勤奋忍耐的作风] 을 언급하는 이들은 거의 없습니다.

 

The main reason that Elon Musk chose to build a gigafactory in Shanghai was not because of government subsidies or policy support—after all, many countries can offer similar incentives [这类优惠]. Rather, it was because of China’s large domestic market, supply chain advantages [供应链优势], large pool of engineering talent [工程师红利], and a highly efficient work force [劳动力效率]. Western business leaders have long recognised these characteristics, yet Western journalists, politicians and commentators often choose to ignore them—perhaps because such an explanation seems rather dull [实在太无聊了] and does not open up any space to criticise China [难以体现批判性]. A technical explanation [技术解释] such as the one I just touched upon might appear in a McKinsey consulting report, but it is unlikely to make the editorial pages of The New York Times.

엘론 머스크가 상하이에 기가팩토리를 건설하기로 결정한 주된 이유는 정부 보조금이나 정책 지원 때문이 아닙니다. 많은 국가에서 비슷한 인센티브[这类优惠]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죠. 오히려 중국의 거대한 내수 시장, 공급망 이점[供应链优势], 대규모 엔지니어링 인재 풀[工程师红利], 고효율 노동력[劳动力效率] 때문이었습니다. 서방의 비즈니스 리더들은 오랫동안 이 특성들을 인식해 왔지만 서방의 언론인, 정치인, 논평가들은 이러한 설명이 다소 지루하고[实在太无聊了] 중국을 비판할 여지를 주지 않기 때문인지[难以体现批判性] 종종 그것들을 무시하는 편입니다. 제가 방금 언급한 것과 같은 기술적인 설명[技术解释]은 맥킨지 컨설팅 보고서에 실릴 수는 있지만, 뉴욕 타임스의 사설에 실릴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Whether they are Communist Party cadres, civil servants or PLA officers and soldiers, they are, first and foremost, human beings and, second, a part of the Chinese people [中国人民的组成部分]. They, too, must follow social norms and market rules. They experience pleasure, anger, sorrow and joy [喜怒哀乐] just like everyone else. They are not an abstract ruling group isolated from society[隔绝于社会之外的抽象统治集团].

공산당 간부든, 공무원이든, 인민해방군 장교와 병사든, 그들은 무엇보다도 먼저 인간이고, 둘째로는 중국 인민[中国人民的组成部分]의 일부입니다. 그들도 사회적 규범과 시장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그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즐거움, 분노, 슬픔, 기쁨[喜怒哀乐]을 경험합니다. 그들은 사회와 격리된 추상적인 통치 집단이 아닙니다[隔绝于社会之外的抽象统治集团].

 

Many in the West tend to place the [Chinese] state and the people in opposition to one another [对立起来], often only invoking “the people” (as they define them) when emphasising dissatisfaction with the Party or opposition to their government. This tendency to separate the Party and government from [China’s] broader society and then use them to explain all of China’s successes and challenges is bound to lead to serious misconceptions.

서방의 많은 사람들은 [중국] 국가와 인민을 서로 대척점에 놓는[对立起来] 경향이 있습니다, 당에 대한 불만이나 정부에 대한 반대를 강조할 때만 (그들이 정의한 대로의) “인민”을 언급하면서 말이죠. 당과 정부를 [중국의] 더 넓은 사회와 분리하여 그것들을 중국의 모든 성공과 과제를 설명하는 데 사용하는 이 경향은 심각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