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Where the American Century Began” by Michael Pembroke Review

Glyn Ford

마이클 펨브로크, <한국: 미국의 세기가 시작된 곳> – 리뷰

글린 포드

출처: / 2019년 1월 12일

원문 보기

번역: 정성철 cittaa@gmail.com

――

Glyn Ford is a former Euro-MP and author of North Korea on the Brink. His Talking to North Korea: Ending the Nuclear Standoff was published by Pluto in September.

글린 포드는 전 유럽의회 의원이자 <벼랑 끝의 북한>의 저자이다. 그의 <북한과의 대화: 핵 대치 상황 종결>은 9월에 플루토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

 

 

The hinge around which Michael Pembroke’s Korea: Where the American Century Began turns is Washington and General Douglas MacArthur’s hubris and overreach barely more than three months into the Korean war. After the North’s invasion on 25 June 1950 that threatened to overwhelm the South, the UN had dutifully instructed Pyongyang that it must withdraw its forces back north of the 38th parallel and that any failure to do so would necessitate UN Command intervening to restore the status-quo ante. That was all neatly accomplished by the end of September after the US’s landing at Incheon had ripped the North’s supply lines apart and shattered their troops ability to continue the onslaught. Yet unilaterally without the authority of the UN—or even informing their British Allies, the backbone of the “coalition of the willing”—Washington rewrote the rules and turned the conflict into a surrogate “war of civilizations”. On 30 September, MacArthur’s troops crossed into the North despite the strict limits imposed by the UN mandate. A Korean civil war became an American War with China.

마이클 펨브로크의 <한국: 미국의 세기가 시작된 곳> (2018) 에서 중심축이 되는 것은 한국 전쟁 발발 후 3개월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의 워싱턴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오만과 과도한 개입이다. 1950년 6월 25일 북쪽의 침공이 남쪽을 압도할 위협을 가하자, 유엔은 평양에 38도선 북쪽으로 병력을 철수시키라고 엄숙히 요구했으며 요구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유엔 사령부가 지위를 복원하기 위해 개입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모든 것은 9월 말까지 미국군의 인천 상륙 작전이 북측의 보급선을 파괴하고 그들의 공격 능력을 무력화시키며 순조롭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유엔의 권한 없이, 심지어 “의지의 연합”의 주축인 영연방 동맹국들에게도 통보하지 않은 채 워싱턴은 규칙을 일방적으로 변경하고 이 갈등을 “문명 간의 전쟁”이라는 대리 전쟁으로 전환시켰다. 9월 30일, 맥아더의 부대는 유엔 결의안이 부과한 엄격한 제한을 무시하고 북쪽으로 진격했다. 한국 내전은 미국과 중국의 전쟁으로 변모했다.

 

――

<한국: 미국의 세기가 시작된 곳> (2018)

https://www.amazon.com/Korea-Where-American-Century-Began/dp/1786074737

――

 

As Pembroke explains, Beijing had repeatedly signaled that an invasion of the North would be treated as a threat to China’s integrity and it would have no alternative but to intervene. The US leadership’s cocktail of arrogance and condescension, naivete and racism was lethal, blinding them to an enemy they neither understood nor respected. The result was a debacle. While US forces tried to race each other to the Yalu river along the flanks of the North’s mountainous central spine Beijing was infiltrating 200,000 “volunteers” into the North. When the two sides finally met and clashed the US’s soldiers “bugged out”. To lose Seoul once was unfortunate, to lose Seoul twice was incompetence. Yet on 4 January, Seoul fell to the North again.

펜브로크가 설명하듯, 베이징은 북쪽 침공을 중국의 영토완전성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할 것이며 개입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신호했다. 미국 지도부의 오만과 경멸, 순진함과 인종주의의 혼합은 치명적이었으며, 그들이 이해하지도 존중하지도 않는 적을 보지 못하게 했다. 결과는 참사로 이어졌다. 미국 군대가 북쪽의 산악 지대 중앙 척추를 따라 양측에서 압록강으로 달려가려고 할 때, 베이징은 20만 명의 “자원군”을 북쪽으로 침투시켰다. 양측이 마침내 만나 충돌했을 때, 미국 군대는 “도망쳤다”. 서울을 한 번 잃은 것은 불행이었지만, 두 번 잃은 것은 무능함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월 4일, 서울은 다시 북쪽에 함락되었다.

 

The US fought back and by the end of March to all intents and purposes everyone was back where they started. The Chinese had seen the weaknesses of US troops. In the main they were unmotivated, inexperienced, unimaginative and “soft”. They learnt and hardened over time to the cost of those that died, but their “fifth column” was unmatchable technology and seemingly infinite resources that rebalanced the military equation to put the two on an equal footing.

미국은 반격했고, 3월 말까지 실질적으로 모든 것이 시작점으로 돌아갔다. 중국은 미국 군대의 약점을 파악했다. 주로 그들은 동기부여가 되어있지 않았고 경험이 부족하며 창의성이 없고 “유약”했다. 그들은 시간이 지나며 배웠고 단련되었지만, 그 대가는 죽은 자들의 희생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제5열”은 비교할 수 없는 기술과 무한에 가까운 자원이었으며, 이것은 군사적 균형을 재조정해 양측을 동등한 위치로 만들었다.

 

One consequence was for the people of the South the war was effectively over after nine months but continued for a further long two years in the North. From the first weeks of the war the US had total air superiority, only marginally troubled by Russian piloted MiG-15s protecting the Yalu’s bridges in the North West. Thus there was for Washington the ability to conduct a relentless but leisurely bombing campaign to exert “maximum pressure” in an attempt to force concessions from the North. There is an unconfirmed claim that early in the war Pyongyang launched one abortive bombing raid. In contrast US planes flew over a million sorties dropping 635,000 tonnes of bombs compared to the 503,000 tonnes dropped in the Pacific theatre during the whole of the World War II.

남쪽의 사람들에게는 전쟁이 9개월 만에 사실상 끝났지만, 북쪽에서는 추가로 2년간 계속되었다. 전쟁 초기부터 미국은 완전한 공중 우위를 확보했으며, 북서부 압록강 다리를 지키는 소련 조종사들의 MiG-15 전투기들에 의해 약간 방해받았을 뿐이다. 따라서 워싱턴은 북쪽으로부터 양보를 강요하기 위해 “최대 압력”을 가하기 위해 끊임없지만 여유로운 폭격 캠페인을 수행할 수 있었다. 전쟁 초기에 평양이 한 차례 실패한 폭격 작전을 수행했다는 미확인 주장이 있다. 반면 미국 전투기는 100만 회 이상의 출격을 수행하며 63만 5,000톤의 폭탄을 투하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기간 태평양 전역에서 투하된 50만 3,000톤보다 많은 양이다.

 

Pembroke does a long, ultimately unconvincing, detour exploring the claim that the US used biological weapons against both China and the North. Washington certainly had the capacity and they had sequestered and interrogated Japan’s biological weapons experts from its Unit 731 to benefit from the agonizing deaths of 10,000 victims including some of their own airmen. Nevertheless, my view now is that the case against Washington is unproven and very probably false. Recent Soviet Documents obtained by the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saw Moscow label the Chinese claims fraudulent.

펜브로크는 미국이 중국과 북한에 생물학 무기를 사용했다는 주장을 장시간 탐구하지만, 결국 설득력이 부족하다. 워싱턴은 분명히 그 능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일본 제731부대의 생물학 무기 전문가들을 격리하고 심문해 1만 명의 희생자 (그 중 일부는 자신의 공군 병사들) 의 고통스러운 죽음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 그러나 현재 내 견해는 워싱턴에 대한 혐의가 입증되지 않았으며 매우 가능성이 낮은 거짓 주장이라는 것이다. 냉전 국제 역사 프로젝트가 입수한 최근 소련 문서에 따르면, 모스크바는 중국의 주장을 엉터리라고 규정했다.

 

What Korea does get right is chemical warfare. Napalm developed by the US Chemical Warfare Service and scientists at Harvard University in 1943 was a viscous liquid that burnt slowly at high temperatures adhering to everything it touched. First used towards the end of the Pacific War, in Korea it was poured over its people, splashed over the civilian population at random. On an “average good day”, says Pembroke, pilots dropped 70,000 gallons. By the end of the war bombs—conventional and chemical—hunger and disease had killed between two and four million people, at least 70% of whom were non-combatants.

한국이 정확히 지적한 부분은 화학 전쟁이다. 1943년 미국 화학전 지원국(US Chemical Warfare Service)와 하버드 대학교 과학자들이 개발한 네이팜은 고온에서 천천히 타며 접촉하는 모든 것에 달라붙는 점성 액체였다. 태평양 전쟁 말기에 처음 사용된 네이팜은 한국에서 민간인들에게 무차별적으로 뿌려졌다. 펜브로크에 따르면, “평균적인 좋은 날”에는 조종사들이 7만 갤런을 투하했다. 전쟁 종료 시점까지 (전통적 및 화학) 폭탄, 굶주림, 질병으로 인해 200만에서 400만 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최소 70%는 비전투원이었다.

 

Armistice talks started in July 1951 but didn’t conclude for more than two years. Both sides were obdurate, but only one was racist. General Matthew Ridgway called them “treacherous savages”, while another on the negotiating team Admiral Ruthven Libby said they had “the quality of talking animals”. If Washington couldn’t have a military victory, they wanted a propaganda victory.

휴전 협상은 1951년 7월에 시작되었지만 2년 이상 결론이 나지 않았다. 양측은 완고했지만, 한쪽만 인종차별적이었다. 매슈 리지웨이 장군은 그들을 “믿을 수 없는 야만인들”이라고 불렀고, 협상팀의 루스벤 리비 제독은 그들이 “말하는 동물들의 성질”을 가졌다고 말했다. 워싱턴은 군사적 승리를 얻을 수 없다면 선전적 승리를 원했다.

 

The Geneva Convention, signed by the US, stated that prisoners of war (POWs) were to be promptly returned home after an armistice. Instead Washington wanted them all to be given the option of staying behind. China and the North only finally and reluctantly conceded after Moscow, in the wake of Stalin’s death, signalled enough was enough. Under pressure from camp guards and the US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POWs in the South volunteered to go to Taiwan and a handful to “neutral” Brazil and India. To a lesser extent the same was true of prisoners from the North, particularly those who had been forcefully tattooed in the camps with “Down with Communist Dogs”, “Jesus is my Saviour” or “Fuck Communism”, all laid out so eloquently in Ha Jin’s 2004 novel War Trash. Washington finally got a victory of sorts tainted, much to their chagrin, by the twenty-one American POWs who consequently chose to remain behind in China.

제네바 협약은 미국이 서명한 협약으로, 휴전 후 전쟁 포로(POW)들은 즉시 고향으로 송환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워싱턴은 모든 포로들에게 남아 있을 수 있는 선택권을 주기를 원했다. 중국과 북한은 스탈린의 사망 이후 모스크바가 더 이상 참을 수 없다고 신호한 후에야 마지못해 동의했다. 수용소 경비원과 미국의 압력으로 남쪽에 있던 수만 명의 중국 포로들이 대만으로 가는 것을 자청했으며, 소수는 “중립국” 브라질과 인도로 갔다. 정도가 덜하기는 했지만 북쪽의 포로들도 마찬가지였다[남아 있으라는 압력을 받았다]. 특히 수용소에서 강제로 “공산주의 개들 타도”, “예수는 내 구원자”, “퍽(Fuck) 공산주의”와 같은 문구들이 새겨진 포로들의 경우가 그랬다. 하진의 2004년 소설 <전쟁 쓰레기>에 모두 생생히 묘사되어 있다. 워싱턴은 결국 21명의 미국 포로가 중국에 남아있기로 선택한 것으로 인해 크게 불쾌하게도 오점이 있는 승리를 얻었다.

 

The book is all in all a well-written critical re-assessment of the standard narrative. Where it frustrates is in delivering on the subtitle, “Where the American Century Began”. Certainly the Korean War can be seen as firing the starting pistol for the arms race between the US and USSR and laying the foundations for America’s military-industrial complex, but it has to be intuited rather than read. Even then without MacArthur transforming a police action into superpower stand-off, it’s not clear history would have unreeled very differently. As Michael Pembroke himself points out even before the Incheon landing on 15 September 1950, the first US Military Advisors were already in place in Saigon helping the French fight Communism.

이 책은 전반적으로 표준적인 서사를 비판적으로 재평가한 잘 쓰인 작품이다. 그러나 부제목 “미국의 세기가 시작된 곳”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점이 아쉬운 점이다. 한국 전쟁은 미국과 소련 간의 무기 경쟁의 시작을 알리고 미국의 군사-산업 복합체의 기반을 마련한 사건으로 볼 수 있지만, 그것은 읽히기보다는 직관되어야 한다. 맥아더가 경찰 작전을 초강대국 간의 대결로 전환하지 않았더라도, 역사가 크게 달라졌을지는 불확실하다. 마이클 펜브로크 자신이 지적하듯, 1950년 9월 15일 인천 상륙 작전 이전에도 첫 번째 미국 군사 고문들이 이미 사이공에 배치되어 프랑스가 공산주의와 싸우는 것을 돕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