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1318대학진학연구소에 있으므로 무단 사용 및 전재를 금합니다.
2026학년도 수시 모집 논술 전형,
논술시험일과 수능 최저 기준 정확히 숙지하고 대비하라!
유성룡(입시분석가 / 산에듀진학연구소장 / 1318대학진학연구소장)
성균관대ㆍ연세대ㆍ한양대 등 42개 대학에서 12,811명 선발
2026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논술 전형은 강남대ㆍ국민대ㆍ단국대(천안)가 새롭게 실시하면서 전체 42개 대학에서 실시한다. 그리고 이들 대학이 선발하는 전체 모집 정원은 12,811명으로 집계되었다(《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에서 12,559명이었던 전체 모집 정원보다 252명 증원 선발). 이는 2025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40개 대학이 12,206명을 선발한 것보다 2개 대학 605명을 증원하여 선발하는 것이 된다.
2026학년도 수시 모집 논술 전형에서 선발하게 될 대학별 모집 인원은 가천대가 1,009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고려대 674명(서울 350명, 세종 324명), 연세대 575명(서울 335명, 미래 240명), 경북대 554명, 홍익대 504명(서울 384명, 세종 120명), 경희대 474명(서울 247명, 국제 227명), 중앙대 484명(서울 436명, 다빈치 48명), 한국외대 468명(서울 306명, 글로벌 162명), 인하대 457명, 수원대 441명, 강남대 359명, 성균관대 386명, 세종대 344명, 부산대 341명, 단국대 310명(죽전 299명, 천안 11명), 이화여대 297명 등으로 많이 선발한다.
가장 적은 인원을 선발하는 대학은 서울시립대로 자연계 모집단위에 한해서 76명을 선발한다. 그리고 2026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논술 전형을 새롭게 실시하는 강남대는 359명, 국민대는 226명, 단국대(천안)는 11명을 선발한다.
모집 인원이 대학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2026학년도 수시 모집에서도 논술 전형의 지원 경쟁은 여전히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25학년도 수시 모집부터 고려대(서울)가 논술 전형을 새로 실시함에 따라 연세대(서울)ㆍ고려대(서울)ㆍ성균관대ㆍ서강대ㆍ한양대(서울)ㆍ이화여대ㆍ중앙대(서울)ㆍ경희대(서울)ㆍ한국외대(서울) 등 상위권 대학의 지원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2025학년도 대학입시에서 모집 정원이 크게 증원했다가 2026학년도 대학입시에서 2024학년도에 모집했던 모집 정원으로 다시 감소한 의과대학 논술 전형의 지원 경쟁률은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논술 전형으로 상위권 대학과 의ㆍ약학계열 등 상위권 모집단위로 진학하고자 하는 수험생들은 논술고사를 보다 철저히 계획적으로 꾸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
논술고사 9월 27일 시작하여 11월 30일까지 대학별로 진행
2026학년도 수시 모집 논술 전형 시험일은 9월 27일 서울시립대ㆍ성신여대(자연계)ㆍ연세대(서울-인문ㆍ자연계)를 시작으로 11월 30일 국민대(자연계)ㆍ아주대(인문계ㆍ약학과)ㆍ한신대(인문ㆍ자연계)가 진행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11월 13일 수능시험 이전에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은 9월 27일에 서울시립대ㆍ성신여대(자연계)ㆍ연세대(서울)가 실시하는 것과 함께 9월 28일에는 가톨릭대(의예과ㆍ약학과 제외)와 성신여대(인문계)가 실시하고, 9월 29일에는 서경대, 10월 5일에는 홍익대(서울-자연계), 10월 6일에는 홍익대(서울-인문계), 10월 18일에는 단국대(죽전-인문계)와 홍익대(서울-자연계), 10월 19일에는 단국대(죽전-자연계)와 홍익대(서울-인문계)가 실시한다. 그리고 을지대(인문ㆍ자연계)는 10월 18일과 19일에 실시하고, 10월 31일에는 상명대(서울-인문계), 11월 1일에는 상명대(서울-자연계ㆍ애니메이션전공)가 실시한다. 나머지 대학들은 수능시험 이후에 논술고사를 실시한다. 대학별 논술고사 시험일은 【표 1】과 같다.
논술고사 반영 비율은 가천대ㆍ건국대(서울)ㆍ경희대(서울/국제)ㆍ고려대(서울/세종)ㆍ국민대ㆍ덕성여대ㆍ동덕여대ㆍ삼육대ㆍ서강대ㆍ성균관대ㆍ성신여대ㆍ연세대(서울/미래)ㆍ이화여대ㆍ한국기술교대ㆍ한국외대(서울/글로벌)ㆍ한국항공대 등 16개 대학가 100%로 가장 높게 반영한다.
그 다음으로 경기대(서울/수원)ㆍ상명대(서울)ㆍ서경대ㆍ숙명여대ㆍ신한대ㆍ한양대(서울)ㆍ홍익대(서울/세종) 등 7개 대학이 90% 반영하고, 가톨릭대ㆍ강남대ㆍ광운대ㆍ단국대(죽전/천안)ㆍ서울시립대ㆍ서울여대ㆍ수원대ㆍ숭실대ㆍ아주대ㆍ을지대ㆍ한국공학대ㆍ한신대 등 12개 대학이 80%, 경북대ㆍ동국대(서울)ㆍ부산대ㆍ서울과학기술대ㆍ세종대ㆍ인하대ㆍ중앙대(서울/다빈치) 등 7개 대학이 70%로 반영한다.
따라서 논술 전형은 논술고사 반영 비율이 대학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지만, 합격의 당락은 논술고사가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많은 대학이 수능시험 성적을 최저 학력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능시험 대비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예를 들어 경희대의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을 보면, 의예과ㆍ치의예과ㆍ한의예과ㆍ약학과는 국어ㆍ수학ㆍ영어ㆍ탐구(2과목 평균) 중 3개 영역 등급 합이 4 이내이면서 한국사 5등급 이내이어야 한다. 그리고 나머지 인문ㆍ자연계 모집단위는 국어ㆍ수학ㆍ영어ㆍ탐구(2과목 평균) 중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이면서 한국사 5등급 이내이어야 하고, 체육학과ㆍ스포츠의학과는 국어ㆍ수학ㆍ영어ㆍ탐구(2과목 평균) 중 1개 영역 3등급 이내이면서 한국사 5등급 이내이어야 한다.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 【표 3】참조)
간혹 학생부와 수능시험 성적이 좋지 않아 논술고사로 대학에 진학하겠다는 수험생들이 있는데, 이는 극히 잘못된 지원 전략이 될 수도 있다. 만약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가톨릭대(의예과ㆍ약학과ㆍ간호학과 제외), 강남대, 경기대(서울ㆍ수원), 광운대, 단국대(죽전), 상명대(서울), 서경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수원대, 신한대, 아주대(의학과ㆍ약학과 제외), 연세대(서울), 을지대, 인하대(의예과 제외), 한국공학대, 한국기술교대, 한신대 등으로의 지원을 고려한다면 몰라도.
그러나 이들 대학을 중심으로 논술고사를 대비하여 100% 합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없다면 논술고사와 수능시험은 반드시 함께 대비해야 한다. 이것이 가장 올바른 논술 전형 대비 전략이다. 이 점 잊지 않길 당부한다.
이와 함께 알아둘 것은 비록 반영 비율은 높지 않지만 학생부 반영 교과목과 반영 방법, 등급 간 점수 차 등이다. 왜냐하면 학생부 교과 성적이 4등급 이하이면 등급 간 점수 차로 인해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생부 교과 성적을 30% 반영하는 세종대의 경우 1등급 300점, 2등급 297점, 3등급 294점, 4등급 285점, 5등급 270점, 6등급 240점, 7등급 210점, 8등급 150점, 9등급 0점으로 등급 간 점수 차가 1등급부터 3등급까지는 각각 3점씩이고, 3등급과 4등급 9점, 4등급과 5등급 15점, 5등급과 6등급 30점, 6등급과 7등급은 30점, 7등급과 8등급 60점, 8등급과 9등급 150점 등으로 하위 등급으로 내려갈 등급 간 점수 차를 크게 두고 있다.
아울러 대다수 대학들은 학생부 교과 성적만을 반영하지만, 동국대(서울)ㆍ중앙대(서울/다빈치)ㆍ한양대(서울) 등은 학생부 비교과 영역도 함께 반영한다는 점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동국대(서울)ㆍ중앙대(서울/다빈치)는 교과 성적 66.7%에다 출결상황 33.3%로 반영하고, 한양대(서울)는 학생부 교과 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대신 출결상황, 수상경력, 봉사활동 등을 참조하여 학교생활 성실도를 중심으로 종합평가한다.
한편, 논술 전형을 실시하는 대학 중에는 인문ㆍ자연계 모집단위 전체에서 논술고사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2025학년도 수시 모집부터 논술 전형을 실시한 고려대(서울)는 글로벌한국융합학부ㆍ반도체공학과ㆍ차세대통신학과ㆍ의과대학ㆍ사이버국방학과ㆍ스마트모빌리티학부ㆍ체육교육과ㆍ디자인조형학부를 제외한 모집단위에서 실시하고, 서강대는 유럽문화학과ㆍ중국문화학과ㆍ글로벌한국학부ㆍ게페르트국제학부ㆍ화학과ㆍ생명과학과ㆍAI기반자유전공학부를 제외한 모집단위, 이화여대는 국제학부ㆍ미래산업약학전공ㆍ뇌인지과학부ㆍ인공지능학과ㆍ데이터사이언스학과를 비롯해 사범계와 예체능계 모집단위를 제외한 모집단위에서 논술 전형을 실시한다.
그리고 경기대(서울ㆍ수원)는 자유전공학부, 단국대(천안)는 의예과ㆍ치의예과, 서울과학기술대는 ST자유전공학부, 서울시립대ㆍ중앙대(다빈치)ㆍ홍익대(세종)는 자연계 모집단위에 한해서 논술 전형을 실시한다.
이에 지원 대학이 논술 전형을 어느 모집단위에서 실시하는지와 모집단위별 선발 인원도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