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Consciousness As A Team Sport: From Hegel To Predictive Neuroscience

Herbert Harris

팀 스포츠로서의 자의식: 헤겔로부터 예측적 신경과학으로

허버트 해리스

출처: 3 Quarks Daily / 2025년 7월 15일

원문 보기

번역: 정성철 cittaa@gmail.com

When we say, “I’m feeling self-conscious,” we usually mean we are uncomfortably aware of being the center of other people’s attention. We might worry about how we look, what we wear, or how we act. While we are, to some degree, concerned with aspects of ourselves, our main focus is on others and what they think about us. “Self-conscious” is an interesting choice of words that might reveal something deep about the nature of self and consciousness.

“자의식을 느낀다”는 말은 보통 다른 사람들의 관심의 중심이 되는 것을 불편하게 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외모, 옷차림, 행동 방식[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걱정할 수 있다. 어느 정도는 우리 자신의 측면에 신경을 쓰지만, 우리의 주된 초점은 다른 사람들과 그들이 우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맞춰져 있다. “자의식적”이라는 단어는 자아와 의식의 본성에 대해 깊은 것을 드러낼 수 있는 흥미로운 단어 선택이다.

 

Two hundred years ago, the German philosopher G.W.F. Hegel introduced a groundbreaking idea: self-consciousness does not arise from introspection, but from mutual recognition. We become aware of ourselves as individuals not by looking inward, but by encountering another mind that perceives us as conscious, and by recognizing that mind in return. Hegel argued that this process of reciprocal recognition is the foundation of personhood. It is only through others that we truly understand ourselves. Hegel linked this movement from recognition to a broader concept of freedom. For him, freedom was not just the lack of constraints, but the achievement of autonomy through mutual recognition. According to Hegel, we become free not by turning inward, but by engaging in relationships that acknowledge and affirm our self-consciousness.

200년 전, 독일 철학자 G.W.F. 헤겔은 자의식은 내면 성찰이 아니라 상호 인정에서 비롯된다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도입했다. 우리는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의식적이라고 지각하는 다른 마음을 만나고 호응해 그 마음을 인정함으로써 개인으로서 자신을 인식하게 된다. 헤겔은 이러한 상호 인정의 과정이 인격의 기초라고 주장했다. 타인을 통해서만 우리는 진정으로 자신을 이해할 수 있다. 헤겔은 인정으로부터의 이 운동을 더 넓은 의미의 자유 개념과 연결시켰다. 그에게 자유란 단순히 제약이 없는 것이 아니라 상호 인정을 통한 자율성의 성취였다. 헤겔에 따르면, 우리는 내면으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자의식을 인정하고 긍정하는 관계에 참여함으로써 자유로워진다.

 

This insight has resonated across philosophy, psychology, and social theory. George Herbert Mead viewed the self as emerging from social roles and symbolic interaction. He emphasized how the self develops by internalizing others’ perspectives, especially through language and shared symbols, which create a ‘generalized other’ that shapes individual identity. Sartre described self-consciousness as an unavoidable confrontation with the gaze of the other. His concept of the ‘gaze’ illustrates how we feel exposed under someone else’s scrutiny and how their judgment influences our self-awareness. Frantz Fanon later developed these ideas, showing how the Black subject becomes aware of themselves through the racialized gaze of a white other, illustrating how power dynamics and social identity impact self-consciousness. Each of these thinkers extended Hegel’s idea of the self as socially constructed and relational rather than autonomous or private.

이 통찰은 철학, 심리학, 사회 이론 전반에 걸쳐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조지 허버트 미드는 자아가 사회적 역할과 상징적 상호 작용에서 나온다고 보았다. 그는 특히 언어와 공유된 상징을 통해 타인의 관점을 내면화함으로써 자아가 발달하고, 이를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일반화된 타자’가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사르트르는 자의식을 타자의 시선과의 피할 수 없는 대결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시선’ 개념은 우리가 타인의 감시 아래 노출되었다고 느끼는 방식과 타인의 판단이 우리의 자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한다. 이후 프란츠 파농은 이 아이디어들을 발전시켜 흑인 주체가 백인 타자의 인종차별적인 시선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권력 역학과 사회적 정체성이 자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한다. 이 사상가들 각각은 헤겔의 자아 개념을 자율적이거나 사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관계적인 것으로 확장했다.

 

Although Hegel’s ideas have been highly influential, they would seem to have limited applicability to neuroscience-based explanations of consciousness. The primary explanatory frameworks in neuroscience are bottom-up, beginning with molecules and ending with complex neural network systems. But the Hegelian outside-in, top-down perspective might provide insights that both complement and inform neuroscience.

헤겔의 아이디어들은 큰 영향을 미쳤지만, 신경과학에 기반한 의식 설명에는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신경과학의 주요 설명 프레임워크는 분자에서 시작하여 복잡한 신경망 시스템으로 끝나는 아래에서 위로 관점이다. 그러나 헤겔의 바깥에서 안으로, 위에서 아래로 관점은 신경과학을 보완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Recent work by Karl Friston and colleagues introduces a broader perspective that can be applied to interpersonal interactions. Known as active inference, this approach describes the brain as a prediction machine. It creates internal models of the world, compares these models to sensory data, and updates them to minimize prediction errors. Active inference offers a strong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erception, agency, and even consciousness.

칼 프리스턴과 동료들의 최근 연구는 대인 관계에 적용할 수 있는 더 넓은 관점을 도입한다. 능동적 추론으로 알려진 이 접근 방식은 뇌를 예측 기계로 설명한다. 이 접근법은 세계에 대한 내부 모델을 생성하고, 이 모델을 감각 데이터와 비교하며, 예측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업데이트한다. 능동적 추론은 지각과 행위는 물론이고 의식마저 이해하기 위한 강력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칼 프리스턴

https://aeon.co/essays/consciousness-is-not-a-thing-but-a-process-of-inference

――

 

Anil Seth, for example, has convincingly argued that our sense of being a conscious self comes from the brain’s predictions about internal bodily states. According to this view, consciousness is rooted in interoception—the brain’s ability to interpret signals from the heart, lungs, gut, and skin. This explains why conscious experience feels so immediate and embodied, and why disruptions in interoception are linked to altered states of awareness. Seth refers to this as the ‘beast machine’ theory, emphasizing that we are embodied organisms whose conscious experience arises from the brain’s regulation of bodily states. The theory offers a compelling account of conscious presence, of what it is like to be a body.

예를 들어, 아닐 세스는 우리가 의식적인 자아라는 감각은 내부 신체 상태에 대한 뇌의 예측에서 비롯된다고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의식은 심장, 폐, 장, 피부에서 나오는 신호를 해석하는 뇌의 능력인 인터셉션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것은 의식적 경험이 그토록 즉각적이고 구체화되어 느껴지는 이유와 인터셉션의 장애가 인식 상태의 변화와 연결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세스는 이것을 ‘짐승 기계’ 이론이라고 지칭하며, 우리는 뇌의 신체 상태 조절에 의해 의식적 경험이 발생하는 육체화된 유기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 이론은 의식적 존재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과 육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

아닐 세스

https://www.penguinrandomhouse.com/books/566315/being-you-by-anil-seth/

――

 

But conscious presence is not the same as self-consciousness. We can be consciously present without reflexively knowing ourselves as subjects who are being perceived, evaluated, or judged. We can feel pain without feeling ashamed. We can act without wondering how others will interpret our behavior. Yet many of the most defining moments in human life involve this second layer of awareness. Pride, guilt, embarrassment, envy, admiration, and even love all involve recursive self-modeling in a social space. These are not private phenomena. They are saturated with the imagined perspectives of others.

그러나 의식적인 존재감은 자의식과 동일하지 않다. 우리는 자신을 지각, 평가 또는 판단의 대상으로 의식하지 않고도 의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우리는 부끄러워하지 않고 고통을 느낄 수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행동을 어떻게 해석할지 걱정하지 않고 행동할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의 삶에서 가장 결정적인 순간들 대부분 이 두 번째 인식 층위와 관련이 있다. 자부심, 죄책감, 부끄러움, 시기, 존경, 심지어 사랑까지도 모두 사회적 공간에서의 재귀적인 자기 모델링을 수반한다. 이것들은 사적인 현상들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의 상상된 관점들로 가득 차 있다.

 

How might this happen in the predictive brain? Seeing the brain as a prediction machine operating in social settings by modeling ourselves and others as we interact may explain how self-consciousness emerges. We use language, behavioral cues, attitudes, and gestures to understand and predict each other’s actions. But when people interact, the challenge of prediction grows rapidly. While we are building predictive models of others, they are building predictive models of us. As our interactions become more complex, we need to understand and predict how they see us, how they will treat us, and how they will respond to our actions. To do this, we need predictive models that capture how others are modeling us. This involves a concept that a computer scientist might call recursion. It is something like Douglas Hofstadter’s notion of a “strange loop,” where the self emerges from self-referential feedback loops that loop back on themselves. This dizzying process of modeling models is at the heart of our social interactions and may be key to self-consciousness.

예측하는 뇌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까? 상호 작용 하는 동안의 우리 자신과 타인들을 모델링함으로써 뇌를 사회적 환경에서 작동하는 예측 기계로 보면 자의식이 어떻게 생겨나는지 설명할 수 있다. 우리는 언어, 행동 단서, 태도, 제스처를 사용하여 서로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한다. 그러나 사람들이 상호 작용할 때 예측의 어려움은 급격히 증가한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 대한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동안 상대방은 우리에 대한 예측 모델을 구축한다. 상호 작용이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는지, 우리를 어떻게 대하는지, 우리의 행동에 어떻게 반응할지 이해하고 예측해야 한다. 이것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모델링하는지 파악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이 필요하다. 이것은 컴퓨터 과학자가 재귀라고 부를지도 모를 개념을 수반한다. 그것은 더글러스 호프스태터가 말한 “이상한 고리”라는 개념과 같은 것으로, 자아는 자기로 되돌아가는 자기 참조적 되먹임 고리에서 출현한다. 이 어지러운 모델 모델링 과정은 우리 사회적 상호작용의 핵심이며 자의식의 핵심일 수도 있다.

 

――

자기 참조

정보나 경험을 자신과 관련지어 생각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어떤 자극이나 상황을 접할 때 그것을 자신과 연관시켜 해석하거나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사건을 경험할 때 “이게 나한테 어떤 의미가 있지?” 혹은 “이게 나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자기 참조적 처리이다. 이 과정은 우리의 자아 개념(자신에 대한 생각)과 관련이 깊다. 사회불안장애(SAD) 환자들의 경우, 예를 들어 사람들이 자신을 평가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자기 참조적 처리가 과도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평가를 지나치게 의식하면서 불안감을 느끼고, 이를 자신과 연결 지어 부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

 

Developmental psychology provides strong support for this view. Infants develop a sense of self through social interaction: through joint attention and attunement with caregivers. Starting with the social smile, caregivers act as psychological mirrors that reflect and validate the child’s feelings. For example, when a six-month-old infant smiles and observes their caregiver’s delighted response, they begin to form a mental image of themselves as a happy person. This is more than just a reflective image created by a mirror. Caregivers are constructing models of the child as another mind, and they communicate aspects of these models through actions, gestures, and eventually, language. The child uses this information to develop a self-image. Unlike self-modeling based only on interoceptive data, this social feedback enables the child to create recursive models of how others see themselves. This shift—from embodied awareness to socially mediated self-awareness—may mark the true start of self-consciousness. Theory of mind—the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beliefs and perspectives—develops alongside this recursive self-modeling. Self-consciousness, therefore, is not just a result of brain development but a product of social experience.

발달 심리학은 이 견해를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유아는 사회적 상호작용, 즉 보호자와의 공동 관심 및 조율을 통해 자아감을 발달시킨다. 사회적 미소부터 시작하여 보호자는 아이의 감정을 반영하고 검증하는 심리적 거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생후 6개월 된 영아가 미소를 지으며 보호자의 기뻐하는 반응을 관찰하면, 아이는 자신이 행복한 사람이라는 정신적 이미지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거울이 만들어내는 단순한 반사 이미지 그 이상이다. 보호자는 또 다른 마음으로서의 아이의 모델을 구성하고 행동, 제스처, 그리고 결국에는 언어를 통해 이 모델의 측면들을 전달한다. 아이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자아 이미지를 개발한다. 이 사회적 되먹임을 통해 아이는 내부감각수용 데이터에만 기반하는 자기 모델링과는 달리 것과 달리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재귀적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신체화된 인식에서 사회적으로 매개된 자기 인식으로의 이 전환은 자의식의 진정한 시작일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신념과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인 마음 이론은 이 재귀적 자기 모델링과 함께 발달한다. 따라서 자의식은 단순히 두뇌 발달의 결과물이 아니라 사회적 경험의 산물이다.

 

A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actions has started to influence neuroscience through new fields like second-person neuroscience and multi-agent modeling. Instead of studying brains in isolation, researchers now focus on brains in interaction: parent and infant, therapist and patient, teacher and student. These studies show that shared brain rhythms accompany mutual understanding, emotional connec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For example, work by Uri Hasson and colleagues at Princeton has demonstrated that during storytelling, the neural activity of speakers and listeners becomes closely linked, effectively aligning their mental representations. In another area, Ruth Feldman and her team have shown that synchronized brain activity between mothers and infants predicts the development of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hared consciousness is not just a metaphor.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2인칭 신경과학 및 다중 에이전트 모델링과 같은 새로운 분야들이 신경과학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제 연구자들은 고립된 뇌를 연구하는 대신 부모와 유아, 치료사와 환자, 교사와 학생 등 상호 작용하는 뇌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는 공유된 뇌 리듬은 상호 이해, 정서적 연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동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프린스턴 대학교의 우리 하슨과 동료들은 스토리텔링을 하는 동안 화자와 청자의 신경 활동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그들의 심적 표상들을 효과적으로 일치시킨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 다른 분야에서 루스 펠드만과 그녀의 팀은 엄마와 영아 사이의 동기화된 뇌 활동이 공감과 감정 조절의 발달을 예측한다는 것을 [야기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 결과는 공유되는 의식이 은유에 불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Computer simulations of interacting active inference systems are known as multi-agent active inference models. They demonstrate how prediction-based brains might adapt to one another. In these frameworks, two agents do not just predict their environments; they also predict each other’s predictions. This recursive entanglement is similar to the mutual recognition Hegel described. Self-consciousness, in this view, may not only be a property of individual brains but also an emergent feature of coupled systems.

상호 작용하는 능동 추론 시스템들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다중 에이전트 능동 추론 모델이라고 한다. 이 모델은 예측 기반 두뇌들이 서로에게 어떻게 적응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프레임워크에서 두 에이전트는 자신의 환경만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예측도 예측한다. 이 재귀적 얽힘은 헤겔이 기술한 상호 인정과 유사하다. 이 견해에서 자의식은 개별 두뇌의 특성일 뿐만 아니라 결합된 시스템들의 출현적 특징일 수도 있다.

 

Some might argue that self-consciousness can develop in isolation, such as during extreme solitude or sensory deprivation. However, even solitary reflection depends on internalized social norms and imagined others. The dialogues we have in our minds are often with figures we’ve known, voices we have heard, and expectations we have absorbed. The nature of selfhood may be social, even when no one else is around.

어떤 사람들은 극도의 고독이나 감각 박탈과 같은 고립된 상황에서 자의식이 발달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고독한 성찰조차도 내면화된 사회적 규범과 상상 속의 타인에 의존한다. 우리가 마음속에서 하는 대화는 종종 우리가 알고 있는 인물, 우리가 들어본 목소리, 우리가 흡수한 기대와 관련되어 있다. 자아의 본성은 주변에 아무도 없을 때에도 사회적일 수 있다.

 

This idea opens up new possibilities across various fields. In psychiatry, phenomena like projection and conditions ranging from dissociation to personality disorders could be understood not only in terms of disordered internal models but also as disruptions in the loops of recognition that sustain selfhood. For example, psychoanalyst Heinz Kohut proposed that individual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fail to develop stable self-esteem because early caregivers did not adequately serve as ‘selfobjects’—figures who provide mirroring and empathy necessary for healthy self-development. Without these relational functions, the self becomes fragmented and dependent on external validation.

이 아이디어는 다양한 분야들에 걸쳐 새로운 가능성들을 열어준다. 정신의학에서, 투사와 같은 현상들과 해리에서 성격 장애에 이르는 다양한 상태들은 장애가 있는 내부 모델이라는 견지에서만 아니라 자아를 유지하는 인정 고리들의 붕괴라는 견지에서도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신분석학자 하인츠 코훗은 자기애성 인격 장애를 가진 개인이 안정적인 자존감을 발달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초기 양육자가가 적절하게 ‘자기대상’ — 건강한 자아 발달에 필요한 미러링과 공감을 제공하는 인물 —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적 기능이 없으면 자아는 파편화되고 외부의 검증에 의존하게 된다.

 

――

자기대상

정신분석학의 자기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한 개인이 자신의 자존감을 유지하고 발달시키기 위해 필요로 하는 타인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자신의 일부처럼 느껴지며, 자신의 가치나 존재감을 인정해주고 지지해주는 대상이다.

 

자기대상은 유아기에 특히 중요하며, 부모나 양육자가 아이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아이의 자존감을 키워주는 역할을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기대상은 친구, 연인, 멘토 등 다양한 사람으로 확장될 수 있다.

 

자기대상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미러링 자기대상:

아이의 긍정적인 면을 비춰주고 인정해 줌으로써 자존감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상화 자기대상:

아이에게 안전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의지할 수 있는 대상이 되어준다.

 

쌍둥이 자기대상:

아이와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고 공감하며 소속감을 느끼게 해준다.

 

자기대상은 개인의 심리적 건강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좋은 자기대상을 통해 건강한 자아를 형성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맺을 수 있다.

――

 

In artificial intelligence, building ethics into AI applications is an urgent problem. Current approaches include rule-based programming for moral decision-mak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guided by ethical constraints. For instance, some systems are trained to avoid bias in hiring algorithms, while others aim to align chatbot behavior with human norms through supervised learning. However, the kind of empathic understanding required for flexible ethical action may require recursive self-modeling.

인공지능 분야에서,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에 윤리를 구축해 넣는 것은 시급한 문제이다. 현재의 접근 방식에는 도덕적 의사 결정을 위한 규칙 기반 프로그래밍과 윤리적 제약에 의해 유도되는 강화 학습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시스템은 채용 알고리즘에서 편견을 피하도록 훈련되고, 다른 시스템은 지도 학습을 통해 챗봇의 행동을 인간의 규범에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렇지만, 유연한 윤리적 행동에 필요한 종류의 공감적 이해에는 재귀적 자기 모델링이 필요할 수도 있다.

 

Hegel developed his ideas to answer questions that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modern neuroscience. However, this major difference in perspective might give us a new way to understand consciousness. The self is not something we are born with, and self-consciousness does not exist in isolation. Both may develop through social interactions. The explanatory gap might not be between brain and mind, but between the individual and others. The next time you feel self-conscious, ask yourself: Through whose eyes are you seeing yourself? The answer could reveal that even your most personal self is deeply connected to those around you.

헤겔은 현대 신경과학의 질문과는 매우 다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자신의 아이디어들을 발전시켰켰다. 그렇지만, 관점상의 이 주요 차이는 의식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자아는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며, 자의식은 고립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아마 둘 다 사회적 상호작용들을 통해 발전할 것이다. 설명해주는 역할을 하는 갭은 뇌와 마음 사이가 아니라 개인과 타인들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다음에 자의식이 느껴질 때는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누구의 눈으로 자신을 바라보고 있나? 그 대답을 통해 당신의 가장 사적인 자아도 주변 사람들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