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mits of Liberalism as a Way of Life
Tim Sommers
삶의 방식으로서의 자유주의의 한계
팀 소머스
By all accounts, Alexandre Lefebvre’s new book, Liberalism as a Way of Life, is odd. For one thing, as Stephen Holmes points out, Lefebvre oscillates between saying that liberalism is so pervasive and all-encompassing that “Love it or hate it, we all swim…in liberal waters” – and emphasizing the need to evangelize and perform spiritual exercises to grasp the real meaning of deep liberalism. But as Holmes memorably puts it, “Fish do not aspire to wetness.”
알렉상드르 르페브르의 새 책 <삶의 방식으로서의 자유주의>는 모든 면에서 이상하다. 우선, 스티븐 홈즈가 지적한 것처럼, 르페브르는 자유주의가 구석구석 배어 있고 모든 것을 포괄하기 때문에 “좋든 싫든 우리는 모두 자유주의의 물에서 헤엄치고 있다”는 말과 깊은 자유주의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복음 전도와 영적 수행의 필요성 강조 사이를 오가고 있다. 하지만 홈즈의 기억에 남는 말처럼, “[이미 물 속에서 살고있는] 물고기라면 물기를 갈망하지 않는다.”
――
<삶의 방식으로서의 자유주의>
스티븐 홈즈
https://theideasletter.substack.com/p/fish-do-not-aspire-to-wetness
――
Here’s another bit of oddness. Lefebvre calls a spin-off article advertising the book “Rawls the Redeemer.” This is a bit like calling the Pope a secularist.
또 다른 이상한 점이 있다. 르페브르는 그 책을 광고하는 스핀오프 기사를 “구세주 롤스”라고 부른다. 이것은 교황을 세속주의자라고 부르는 것과 다소간 비슷하다.
The thrust of Lefebvre’s argument seems to be this:
르페브르의 주장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Liberals too quickly adopt [a] narrow institutionalist definition [of liberalism] and assume that liberalism is an exclusively legal and political doctrine. Liberals, in other words, fail to recognize not just what liberalism has become today (a worldview and comprehensive value system) but who they are as well: living and breathing incarnations of it.”
“자유주의자들은 [자유주의에 대한] 좁은 제도주의적 정의를 너무 빨리 채택하고 자유주의가 오로지 법적 및 정치적 독트린이라고 가정한다. 달리 말해, 자유주의자들은 오늘날 자유주의가 무엇(세계관이자 포괄적인 가치 체계)이 되었는지 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누구(자유주의의 살아 숨쉬는 화신들)인지도 인식하지 못 한다.
This is not a book review, but to the extent that this adequately captures Lefebvre’s project, I am going to explain what I think is wrong with it and what the limit is on liberalism as a way of life. Let me start with what Lefebvre would no doubt describe as a narrow institutionalist definition of liberalism.
이 글은 서평이 아니다, 그러나 이 글이 르페브르의 기획을 적절히 포착하는 한, 나는 내가 자유주의의 문제점과 삶의 방식으로서의 자유주의의 한계라고 생각하는 것을 설명해 보려고 한다. 먼저 르페브르가 틀림없이 자유주의에 대한 좁은 제도주의적 정의라고 기술할 것에서 시작하겠다.
Liberalism is the view that the first principle of justice is that everyone is entitled to certain basic rights, liberties, and freedoms – such as freedom of religion, of conscience, of speech, assembly, the rule of law,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as an equal in political and social life. People are not entitled to quantitatively “the most liberty possible” – or even “the most liberty compatible with like liberty for others.” It’s not clear what that could even mean. How do you quantify, or weigh, the freedom to swing your arms against the freedom to publish attacks on the government or the freedom to hang out with whoever you want? What people are entitled to as a matter of justice is a set of liberties adequate to allow them to develop, revise, and pursue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good life, the good, and justice. Roughly, liberalism is about, as Mill put it, everyone having liberties adequate to ensure their own right to pursue their own good in their own way.
자유주의는 정의의 첫 번째 원칙이 모든 사람이 특정한 기본권들, 리버티들 및 자유들을 누릴 자격이 있다는 것이라는 견해이다 – 종교의, 양심의, 발언의, 결사의 자유, 법치, 그리고 정치 및 사회 생활에 평등하게 참여할 권리. 사람들은 양적으로 “가능한 한 최대의 리버티”를 누릴 자격이 없으며, 심지어 “다른 사람들의 같은 리버티와 양립할 수 있는 최대의 리버티”를 누릴 자격도 없다. 그것이 [그 리버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조차 명확하지 않다. 어떻게 팔을 휘두를 자유를 정부에 대한 공격[글]을 게시할 자유 또는 원하는 사람과 어울릴 자유와 견주어 정량화하거나 계량화할 수 있을까? 정의의 사안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사람들이 누릴 수 있는 것은 그들이 좋은 삶, 좋은 것, 그리고 정의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를 발전시키고 수정하고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일단의 리버티들이다. 대략적으로, 자유주의는, 밀이 말한 것첨, 모든 사람이 자신의 방식으로 자신의 좋음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는 데 적절한 리버티들을 갖는 것에 관한 것이다.
――
정의의 첫 번째 원칙
https://www.amazon.com/Theory-Justice-John-Rawls/dp/0674000781
특정한 기본권들
https://plato.stanford.edu/entries/locke-political/
“가능한 한 최대의 리버티”, “다른 사람들의 같은 리버티와 양립할 수 있는 최대의 리버티”
https://chicagounbound.uchicago.edu/uclrev/vol40/iss3/5/
좋은 삶, 좋은 것, 그리고 정의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를 발전시키고 수정하고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일단의 리버티들
https://www.amazon.com/Political-Liberalism-Columbia-Classics-Philosophy/dp/0231130899
밀
https://home.csulb.edu/~jvancamp/Odyssey/Mill_Liberty.html
――
Here’s a tempting, but mistaken way to justify liberal basic liberties. Call it the autonomy argument. The liberal liberties are the liberties required for people to be free and autonomous. We prioritize them because we prioritize freedom and autonomy. They reflect our political judgment that autonomy is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value.
자유주의적 기본 리버티들을 정당화하는 유혹적이지만 오인에서 비롯된 방식이 있다. 그것을 자율성 논증이라고 부르자. 자유주의적 리버티들은 사람들이 자유롭고 자율적이 되는 데 필요한 리버티들이다. 우리는 자유와 자율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그것들을 우선시한다. 그것들은 자율성이 가장 중요한 정치적 가치라는 우리의 정치적 판단을 반영한다.
――
그것을 자율성 논증이라고 부르자
――
This won’t do, of course, since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that autonomy or freedom is the highest good. In fact, I suspect that the majority of people in the United States today do not think that the freedom to choose is of higher value than securing what they choose. For example, religious people committed to a particular faith do not value being able to choose any faith whatsoever more than they value practicing the particular religion of their choice. A liberalism that depended on everyone agreeing ahead of time that liber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would be a nonstarter.
자율성이나 자유가 최고로 좋은 것이라는 일반적인 동의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정치적 판단은 물론 통하지 않는다. 사실, 나는 오늘날 미국의 대다수 사람들은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자신들이 선택한 것을 확보하는 것보다 더 가치있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 예를 들어, 특정 신앙에 헌신하는 종교인들은 자신들이 선택한 그 특정 종교를 실천하는 것보다 어떤 종교든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더 가치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모든 사람이 리버티가 다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미리 동의하는 데 의존하는 자유주의는 시작도 하지 못할 것이다.
Here’s another way to make the same mistake. The basic liberties are required to protect tolerance and diversity. That’s true enough. But it doesn’t follow that the highest good of any political community is its promotion of diversity and tolerance. If, for example, one values the political liberties above all others, one need not value them because they value political tolerance so highly. More likely, a person will value most the political ends they want to, and are able to, pursue because of their political freedoms. (This is how liberalism ends up tolerating, at least up to a point, the intolerant.)
같은 오인을 범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이 있다. 관용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기본적인 리버티들이 요구된다. 그것은 충분히 참이다. 하지만 그로부터 어떤 정치 공동체에서도 최고로 좋은 것은 다양성과 관용의 증진이라는 결론이 따라 나오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정치적 리버티들을 다른 모든 것보다 더 중요하게 여긴다면, 그 사람이 그러는 것은 그 사람이 정치적 관용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 아닐 수도 있다. 오히려 그 사람은 추구하고 싶고 정치적 자유들 덕분에 추구할 수 있는 정치적 목적을 가장 중요하게 여길 가능성이 높다. (이것이 자유주의가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는 관용적이지 않은 사람들을 관용하는 것으로 귀착되는 방식이다.)
――
관용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기본적인 리버티들이 요구된다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3698230.2019.1616878
――
Put another way, liberals defend tolerance not because tolerance is, in and of itself, the most important thing. They defend tolerance as necessary to protect their own interests.
다시 말해, 자유주의자들은 관용이 그 자체로 가장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관용을 옹호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는 데 관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용을 옹호한다.
Liberalism prioritizes tolerance and autonomy, then, precisely because it recognizes deep and irresolvable disagreements between people over fundamental matters – like what is most important? Autonomy or tolerance or something else? It recognizes that for a variety of reasons – epistemic and otherwise – reasonable disagreement is likely to persist and even widen. Since there is no agreement on the good and justice overall, liberalism says, we look for enough overlap to agree on basic principles that will allow for everyone to pursue their own good in their own way while preserving a fair social order.
그렇다면 자유주의가 관용과 자율성을 우선시하는 것은 다름 아니라 그것이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같은 근본적인 사안들에 대해 사람들 사이에 깊고 해소될 수 없는 의견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자율성인가 아니면 관용인가 아니면 다른 무엇인가? 그것은 [자유주의는] 인식적 이유 등 다양한 이유들로 합리적인 의견 차이가 지속될 수 있고 심지어 확대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자유주의는 좋은 것과 정의에 대한 전반적인 동의가 없기 때문에 공정한 사회 질서를 유지하면서 모든 사람이 각자의 방식으로 자신의 좋음을 추구할 수 있게 해주는 기본 원칙들에 동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중첩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In A Theory of Justice, for example, Rawls argued for a particular view of justice – “Justice as Fairness” – which (to slightly oversimplify) is that everyone should have certain basic rights, liberties, and freedoms, fair equality of opportunity, and a certain share of income and wealth. Some people believe, mistakenly, that Rawls changed his overall view in his last major work, Political Liberalism. For the most part, this second book just had a different subject matter. It was about political legitimacy and not justice. (It’s a pretty standard to view legitimacy as related to, but less demanding than, justice.) Political Liberalism did fix up Rawls’ initial “quantitative” account of the basic liberties in response to criticisms by Hart, among others. However, for our purposes, the most important thing Political Liberalism did is defend Rawls’s conception of liberalism as a freestanding view.
예를 들어, 롤스는 <정의론>에서 정의에 대한 특정 견해인 “공정성으로서의 정의”를 주장했는데, 그것은 (약간 지나치게 단순화하자면) 모든 사람이 일정한 기본권들, 리버티들, 자유들, 기회의 공정한 평등, 소득과 부의 일정 몫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롤스가 자신의 마지막 주요 저작인 <정치적 자유주의>에서 자신의 전반적인 견해를 바꿨다고 믿고 있는데, 오인이다. 하지만 이 두 번째 책은 대체로 주제가 조금 달랐을 뿐이다. 그것은 정의가 아닌 정치적 정당성에 관한 것이었다. (정당성을 정의와 관련이 있지만 정의보다 덜 까다로운 것으로 보는 것은 꽤 표준적이다.) <정치적 자유주의>는 하트 등의 비판에 대응하여 기본적 리버티들에 대한 롤스 초기의 “정량적” 설명을 수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의 목적상 <정치적 자유주의>가 한 가장 중요한 것은 롤스의 자유주의 개념을 독립적 견해로 옹호한 것이다.
――
오인이다
https://www.jstor.org/stable/2998399
표준적이다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jopp.12272
――
Rawls thought that one of the defects of A Theory of Justice is that it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political theories of justice which remain neutral about questions about what makes for a good human life and comprehensive views that revolved around what makes for a good human life.
롤스는 <정의론>의 결함 중 하나는 무엇이 좋은 인간적 삶을 구성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정치적 정의론과 무엇이 좋은 인간적 삶을 구성하는가를 중심으로 하는 포괄적인 견해를 구분하지 못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In Political Liberalism, Rawls wrote “…that the history of religion and philosophy shows that there are many reasonable ways in which the wider realm of values can be understood so as to be either congruent with, or supportive of, or else not in conflict with, the values appropriate to the special domain of the political as specified by a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롤스는 <정치적 자유주의>에서 “…종교와 철학의 역사는 가치들의 더 넓은 영역이 정의의 정치적 개념에 의해 명시된 정치적인 것의 특수 영역에 적합한 가치들과 일치하거나 그 가치들을 지지하거나 그 가치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이해될 수 있는 합리적인 방도들이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썼다.
“Political liberalism,” he wrote, “aims for a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as a freestanding view…[which] does not deny there being other values that apply, say, to the personal, the familial, and the associational; nor does it say that political values are separate from, or discontinuous with, other values. One aim, as I have said, is to specify the political domain and its conception of justice in such a way that its institutions can gain the support of an overlapping [moral] consensus.”
그는 “정치적 자유주의는 독립적인 견해로서 정의에 대한 정치적 개념을 지향한다…[이것은] 개인, 가족, 단체에 적용되는 다른 가치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으며, 정치적 가치가 다른 가치들과 분리되어 있거나 그 가치들과 불연속적이라고도 말하지 않는다”고 썼다. 내가 말했듯이, 한 가지 목표는 정치적 영역과 그것의 정의 개념을 구체화해서 그것의 제도들이 중첩적인 [도덕적] 합의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One of Rawls’ great regrets was that he never had time to work on what he thought came next, which was writing more substantively about moral psychology and the good life. It might seem hard to believe, but Rawls said that he thought people would just agree with his theory of justice – and then he could move on to the next thing. Instead, he spent the rest of his life improving his theory of justice and explaining why it must be political to be liberal in the right way.
롤스의 가장 유감스러운 점 중 하나는 도덕심리와 좋은 삶에 대해 보다 실질적으로 글을 쓰는 다음 단계의 작업을 할 시간이 없었다는 것이다. 믿기 어렵겠지만 롤스는 사람들이 자신의 <정의론>에 동의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대신 그는 남은 생애를 자신의 <정의론>을 개선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리버럴한 것이 왜 정치적으로 리버럴한 것이어야 하는지 설명하는 데 보냈다.
――
도덕심리와 좋은 삶에 대해 보다 실질적으로 글을 쓰는
https://www-users.york.ac.uk/~trb2/Questions%20of%20Justice/Rawls%20and%20Moral%20Psychology.pdf
――
Rawls acknowledged in a couple of places that you could adopt liberal values as part of a more comprehensive moral view; i.e. liberalism as part of a way of life. But it’s hard to see how liberalism alone gives us much to go on. Especially since, as I’ve argued, you don’t even get arguments for autonomy or tolerance out of liberalism itself. And even if you could, a focus on autonomy and tolerance for their own sake would leave us with a donut theory of what is valuable. No matter how good the rest of it is there’s always a hole in the middle. I mean, we want to be free, but free to do some things not specified by the mere admonition to be free. And we should tolerate the views and beliefs of others (up to a point), but we should also have views and beliefs of our own.
롤스는 몇 군데에서 자유주의적 가치를 보다 포괄적인 도덕관의 일부로 채택할 수 있다고 인정했다: 즉 삶의 방식의 일부로서의 자유주의. 하지만 자유주의만으로는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여지가 많지 않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특히, 내가 주장했듯이, 자유주의 자체에서 자율성이나 관용에 대한 논거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설사 얻을 수 있다고 해도 자율성과 관용을 그것들 자체를 위해 강조하면 무엇이 가치 있는지에 대한 도넛 이론에 머물게 될 것이다. 나머지 부분이 아무리 훌륭해도 중간에 항상 구멍이 있기 마련이다. 즉, 우리는 자유를 원하지만, 자유로워라는 훈계만으로는 특정되지 않는 어떤 것들을 할 수 있는 자유를 원한다. 그리고 우리는 다른 사람의 견해와 신념을 어느 정도까지 용인해야 하지만, 우리 자신의 견해와 신념도 가져야 한다.
Liberalism is no substitute for a comprehensive view of justice and our own good. It’s not a way of life.
자유주의는 정의와 우리 자신의 좋음에 대한 포괄적인 견해를 대신할 수 없다. 자유주의는 삶의 방식이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