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The Purpose of the Universe by Philip Goff review – a real poser
Galen Strawson
필립 고프의 <왜? 우주의 목적> 리뷰 – 지독히 어려운 질문
갤런 스토로슨
An ingenious and accessible discussion of a big question we’ll never answer – the reason for our existence
우리가 결코 답할 수 없는 엄청난 질문, 즉 우리 존재의 이유에 대한 독창적이고 접근하기 쉬운 논의
――
Galen Strawson is a philosopher and author of Freedom and Belief (Oxford). Why? The Purpose of the Universe by Philip Goff is published by Oxford (£14.99).
갤런 스트로슨은 철학자이자 <자유와 신념> (옥스퍼드)의 저자이다. 필립 고프의 <왜? 우주의 목적>은 옥스퍼드에서 출간되었다 (14.99 파운드).
――
Why is there something rather than nothing? It’s meant to be the great unanswerable question. It’s certainly a poser. It would have been simpler if there’d been nothing: there wouldn’t be anything to explain.
왜 아무것도 없지 않고 무엇인가가 있을까? 이 질문은 답할 수 없는 엄청난 질문으로 여겨진다. 분명 곤란한 질문이다. 아무것도 없었다면 더 간단했을 것이다. 설명할 것도 없었을 테니까.
Some people think that if we knew more, we’d see that there couldn’t have been nothing. That wouldn’t surprise me. Others go further: they think we’d see that there couldn’t have been anything other than just what there is: this very universe, containing just the kind of stuff and laws of nature it does contain. That wouldn’t surprise me either, nor – I suspect – Einstein: “What really interests me,” he said, “is whether God had any choice in the creation of the world.” (Einstein’s God is a metaphorical device: “The word God is for me nothing more than the expression and product of human weaknesses.”)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더 많이 알면 아무것도 있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놀랍지 않다. 다른 사람들은 더 나아가 우주에 있는 것과 같은 종류의 물질과 자연 법칙을 포함하는 바로 이 우주 외에는 아무것도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나를 놀라게 하지 않을 것이고 – 내 생각에는 – 아인슈타인도 놀라게 하지 않을 것이다: “내가 정말 관심 있는 것은 신이 세상을 창조할 때 선택권이 있었는지 여부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아인슈타인의 신은 은유적 장치이다: “나에게 신이라는 단어는 인간의 나약함의 표현이자 산물에 지나지 않는다.”)
Most people who ponder these things take a different view. They think the universe could in fact have been different. They think it’s puzzling that it turned out the way it did, with creatures like us in it. They are tempted by the idea that the universe has some point, some goal or meaning. In Why?, Philip Goff, professor of philosophy at Durham, argues for “cosmic purpose, the idea that the universe is directed towards certain goals, such as the emergence of life” and the existence of value.
이것들을 깊이 생각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우주가 실제로는 다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우주가 우리 같은 생명체와 함께 이런 식으로 생겨났다는 것이 의아하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우주에 어떤 포인트, 어떤 목표 또는 의미가 있다는 생각에 유혹을 받는다. 더럼의 철학 교수인 필립 고프는 <왜? 우주의 목적>에서 “우주는 생명의 출현과 같은 특정 목표를 향해 있다는 생각, 즉 우주의 목적”과 가치의 존재를 주장한다.
I’m not convinced, but I’m impressed. Why? is direct, clear, open, acute, honest, companionable. It manages to stay down to earth even in its most abstract passages. I’m tempted to say, by way of praise, that it’s Liverpudlian, like its author.
확신이 들지는 않지만 인상적이다. 왜? 직설적이고, 명확하고, 개방적이고, 예리하고, 정직하고, 동반자적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가장 추상적인 구절에서도 현실에 충실하다. 저자처럼 리버풀 사람같다고 칭찬하고 싶을 정도이다.
The book has a double beat, like a heart: each chapter begins with a diastole, an admirably accessible section on its subject – consciousness, the point of life, the purpose of the universe (if any),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od – and closes with a systole, a more taxing “Digging Deeper” section.
각 장은 의식, 삶의 목적, 우주의 목적 (있다면), 신의 존재 (또는 비존재)와 같은 주제에 대해 감탄할 정도로 접근하기 쉬운 부분인 이완기로 시작하여 보다 부담스러운 “더 깊이 파고들기” 절인 수축기로 마무리된다.
Goff rules firmly against the traditional Christian God, omnipotent, omniscient and omnibenevolent – while backing the notorious “fine-tuning argument”, which goes roughly as follows: it’s so incredibly unlikely that a universe such as ours, containing life, consciousness and value, should have come into existence at all that we must suppose that some purpose has been at work, tuning things to come out as they have. It’s extremely hard to do this well, and Goff provides an intellectually aerobic primer on the logic of probability, and in particular the Bayes’ theorem, one of the core ideas of our day. His conclusion is as advertised in his title: nothing is certain, but the balance of evidence favours belief in cosmic purpose.
고프는 전능하고 전지전능하며 전지전능한 전통적인 기독교 신에 대해 확고하게 반대하면서, 생명, 의식, 가치를 포함하는 우리와 같은 우주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목적이 작용하여 사물이 지금처럼 나오도록 조정했다고 가정해야 한다는 악명 높은 “미세조정 논변”을 뒷받침한다. 고프는 확률의 논리, 특히 우리 시대의 핵심 아이디어 중 하나인 베이즈 정리에 대해 지적으로 유산소 운동적인 입문을 제공한다. 그의 결론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확실한 것은 없지만, 증거는 우주의 목적에 대한 믿음을 지지하는 쪽으로 기운다는 것이다.
The question is genuinely difficult. I’m bothered by the fact that many of the arguments for fine-tuning depend on varying the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eg the charge on electrons) while holding the existing laws of nature fixed. I can’t see why engaging in this curious activity could ever be thought to explain anything, or support any interesting conclusion. And if – as Einstein and I suspect – nothing could possibly have been different, the fine-tuning arguments collapse, as Goff acknowledges. But his discussion is ingenious and illuminating.
이 질문은 정말 어렵다. 나는 많은 미세조정 논변이 기존의 자연법칙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기본적 물리상수 (예를 들어, 전자의 전하) 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존한다는 사실에 신경이 쓰인다. 나는 왜 이 호기심을 자극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어떤 것을 설명하거나 흥미로운 결론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지 알 수 없다. 그리고 – 아인슈타인과 내가 의심하는 것처럼 – 아무것도 다를 수 없었다면, 고프가 인정한 것처럼, 미세조정 논변은 무너진다. 하지만 그의 논의는 기발하고 명쾌하다.
In the chapter on consciousness, Goff bring up the standard view that there’s a radical difficulty in explaining its existence. I think that those who believe this have gone wrong right at the start: they think – quite wrongly – that they know something about the nature of matter that makes it mysterious that consciousness exists. Wrong. There’s no good reason to think this, as Goff agrees. The solution is to suppose (along with a good number of winners of the Nobel prize for physics) that consciousness in some form is built into the nature of matter from the start. This view is known as panpsychism, and Goff ends his discussion with “a prediction: panpsychism will, over time, come to seem just obviously correct”.
의식에 관한 장에서 고프는 의식의 존재를 설명하는 데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표준 견해를 검토한다. 나는 이 견해를 믿는 사람들이 처음부터 틀렸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의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신비롭게 만드는 물질의 본성에 대해 무언가를 알고 있다고 – 아주 잘못 – 생각한다. 틀렸다. 고프도 동의하듯이, 그렇게 생각할 좋은 이유가 없다. 해결책은 (많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과 마찬가지로) 어떤 형태로든 의식이 처음부터 물질의 본성에 내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이 견해를 범심론이라고 하며, 고프는 “시간이 지나면 범심론이 명백히 옳은 것처럼 보이게 될 것”이라는 예측으로 논의를 마무리한다.
Why? is a rich book. It aims high and ends with some good political reflections. It’ll turn quite a few heads. It should get the discussion it deserves. I don’t for all that think the universe has a purpose. I think it just is.
<왜? 우줃의 목적>은 풍부한 책이다. 이 책은 높은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훌륭한 정치적 성찰로 끝맺는다. 꽤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끌 것이다. 마땅히 논의되어야 할 책이다. 나는 그래도 우주에 목적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냥 그런 것 같다.
It does, though, seem to have a taste for complication. The balance of evidence is a delicate thing, but it seems at present to favour the view that something is going on that isn’t fully accountable for by the laws of physics. It’s nothing to with “Nobodaddy” (William Blake’s name for the nonexistent Christian God), or any sort of goal, but Wittgenstein seems to be on the right track when he tries to express his sense of absolute or ethical value and finds it crystallised in one particular experience: “I wonder at the existence of the world”.
하지만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 같다. 증거의 균형은 미묘한 것이지만, 현재로서는 물리 법칙으로 완전히 설명되지 않는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견해가 우세한 것 같다. “노보대디” (존재하지 않는 기독교 신에 대한 윌리엄 블레이크의 이름) 나 어떤 종류의 목표와는 무관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이 절대적 또는 윤리적 가치에 대한 자신의 감각을 표현하려고 시도하고 그것이 하나의 특정한 경험에서 결정화되는 것을 발견했을 때 그는 올바른 길을 걷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나는 세계의 존재에 경탄한다.”
――
번역자의 요약
우주의 이렇게 있음은 절대 다르게 있을 수 없었다는 의미에서 결정된 것이라기보다는 다르게 있었을 가능성들이 차단된 미세조정의 결과인 것 같다. 따라서 우주의 있음도 절대 없을 수 없었다는 의미에서 결정된 것이라기보다는 우주가 없을 가능성이 차단된 미세조정의 결과인 것 같다. 이 미세조정은 우주에는 물리법칙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목적이 있음을, 우주가 모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있고 더 나아가 이렇게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런데 목적은 의식적 존재자만이 추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목적이 있는 우주는 의식적 존재자가 작용하고 있는 우주이다. 이 작용은 기독교적 신 같은 초월적인 전지전능한 신이 우주를 창조하고 우주에 개입한다는 의미로보다는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본성에 의식이 내장되어 있다는 범심론적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현대 물리학과 더 어울린다. 이 범심론은 일종의 가정인데, 의식의 존재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표준 견해보다는 이 가정이 더 낫다. 왜냐하면, 그 표준 견해는 “물질의 본성은 이러저러한데 의식의 존재는 그 본성에 비추어서 설명이 안 된다, 따라서 의식이 존재한다는 것은 신비롭다”는 것인데, 우리는 실제로는 물질의 본성을 다 알고 있지 못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런 근거 없는 신비화를 하는 것보다는 그냥 의식을 물질의 속성이라고 가정하고 물리학의 발전이 그 가정을 검증해주기를 기다리는 것이 더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