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idegger, the homesick philosopher

Samuel Earle

하이데거, 향수병을 앓은 철학자

사무엘 얼

출처: New Statesman / 2019년 9월 11일

원문 보기

번역: 정성철 cittaa@gmail.com

Once discredited by his association with Nazism, Martin Heidegger is enjoying a posthumous revival. So what is it about his ideas that resonate with so many?

나치즘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한때 신뢰를 잃었던 마르틴 하이데거는 사후에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렇다면 그의 사상 중 어떤 면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일까?

 

If every philosopher has a home that is not a house – the mountains, the sea, the city streets – for Martin Heidegger, it was the Black Forest. This sprawling woodland, situated by the French border in south-west Germany, imbued Heidegger’s language – his writings are filled with references to “forest paths”, “waymarks” and “clearing s” – and shaped his thought. There, in the solitude of his small wood cabin, he wrote his great work, Being and Time.

모든 철학자에게 산, 바다, 도시 거리와 같은 집이 아닌 고향이 있다면 마르틴 하이데거에게는 검은 숲이 있었다. 독일 남서부 프랑스 국경에 위치한 이 광활한 숲은 하이데거의 언어를 가득채우고 – 그의 저술은 “숲길”, “길표”, “숲 속의 빈터”에 대한 언급이 가득하다 – 그의 사상을 형성했다. 그곳에서 그는 작은 나무 오두막의 고독 속에서 위대한 저작인 <존재와 시간>을 집필했다.

 

The forest even infused Heidegger’s love life. During his affair with Hannah Arendt, which began in 1924 while she was his student, Heidegger referred to her as his “wood nymph”. Following Hitler’s ascent to power in 1933, Arendt, who was Jewish, was forced to flee. But their relationship resonated long after, in what the late scholar of comparative literature Svetlana Boym called a “lover’s discourse”. In language, if not in life, “the poetic landmarks of their interaction” – an exchange of concepts such as home, world and freedom; a shared aching for ancient Greece; and a small chest of classical quotes to call upon – stood until the end.

숲은 하이데거의 연애 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1924년 한나 아렌트와의 그녀가 학생 시절부터 시작된 연애관계에서 하이데거는 그녀를 “나무 요정”이라고 불렀다. 1933년 히틀러가 권력을 잡은 후 유대인이었던 아렌트는 피난을 떠나야 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관계는 그 후에도 오래도록 고인이 된 비교문학 학자 스베틀라나 보임이 “연인의 담론”이라고 불렀던 것에 공명을 남겼다. 고향, 세계, 자유와 같은 개념의 교환, 고대 그리스에 대한 공통의 아픔, 고전 명언을 불러내는 작은 나무상자 등, 삶에는 아니더라도 언어에는 “두 사람의 상호 작용의 시적 랜드마크”가 끝까지 남아있었다.

 

But today it’s another of Heidegger’s relationships that overshadows his life and legacy: his affiliation with the Nazi Party, which he joined in 1933 and never truly renounced. Heidegger and Hitler also shared a lover’s discourse of sorts: terms such as Heimat (homeland), Volk (people) and “historical destiny”, a fondness for the German forest, and contempt for cosmopolitanism and “humanism”. Since the posthumous publication of Heidegger’s private notebooks, their common foe is also beyond doubt, despite his feelings for Arendt: “World Jewry”.

그러나 오늘날 하이데거의 삶과 유산을 가리는 또 다른 관계는 1933년에 입당하고 결코 포기하지 않은 나치당과의 관계이다. 하이데거와 히틀러는 하이마트(고향), 폴크(민족), “역사적 운명”과 같은 용어, 독일 숲에 대한 애정, 코스모폴리타니즘과 “휴머니즘”에 대한 경멸 등 일종의 연인의 담론도 공유했다. 하이데거의 사적인 노트북들의 사후 출판 이후, 아렌트에 대한 그의 감정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공통의 적도 의심할 여지가 없는데, 바로 “세계 유대인”이다.

 

And yet, Heidegger still stands as one of the commanding figures of 20th-century philosophy. His heirs include Arendt and Emmanuel Levinas, Jean-Paul Sartre, Simone De Beauvoir and Jacques Derrida. His denial of mind-body dualism – his belief that we are rooted beings, inextricable from time and place – continues to influence fields as diverse as architecture, ecology and art history. Readers are left to discern whether the essence of his ideas leads inexorably to fascistic thinking or whether, in that aged refrain, the life can be separated from the work, so that we are free to forage as we please.

그런데도, 하이데거는 여전히 20세기 철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남아 있다. 그의 후계자로는 아렌트, 엠마누엘 레비나스, 장 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부아르, 자크 데리다 등이 있다. 심신 이원론에 대한 부정, 즉 우리는 시간과 장소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뿌리가 있는 존재라는 그의 믿음은 건축, 생태학, 미술사 등 다양한 분야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의 사상의 본질이 파시즘적 사고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지, 아니면, 늘 되풀이되는 말대로, 그의 저작을 그의 삶으로부터 분리시켜 우리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뒤적일 수 있는지는 독자가 판단할 몫으로 남아 있다.

 

Perhaps the most worrying sign of Heidegger’s relevance today lies in politics – where all manner of dangerous reactionaries delight in declaring their indebtedness to him. Martin Sellner, leader of the Austrian branch of the neo-fascist network Generation Identity – which allegedly has ties to Brenton Tarrant, who murdered 51 people in attacks on two mosques in Christchurch, New Zealand this year – attributes his “path of thinking to Heidegger”. For the ultra-conservative thinker and adviser to Vladimir Putin Aleksandr Dugin, mastering Heidegger “is the main strategic task of the Russian people”. When Steve Bannon, Donald Trump’s former chief strategist, was interviewed by Der Spiegel last year, he held up a biography of Heidegger. “That’s my guy,” he said.

아마도 오늘날 하이데거의 관련성의 가장 우려스러운 징후는 온갖 종류의 위험한 반동자들이 기뻐하면서 그에게 빚을 졌다고 선언하는 정치에 있을 것이다. 올해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이슬람 사원 두 곳을 공격해 51명을 살해한 브렌튼 태런트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신파시스트 네트워크 제너레이션 아이덴티티의 오스트리아 지부장 마틴 셀너는 자신의 “사고의 길이 하이데거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극보수주의 사상가이자 블라디미르 푸틴의 고문인 알렉산드르 두긴에게 하이데거를 마스터하는 것은 “러시아 국민의 주요 전략적 과제”이다. 도널드 트럼프의 전 수석 전략가였던 스티브 배넌은 작년에 <슈피겔>과의 인터뷰에서 하이데거의 전기를 들고 있었다. “바로 저 사람입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Heidegger’s thought cannot be confined to a single idea or interpretation. He pined for a lost harmony and simplicity, but left one of the most divisive and complex oeuvre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He was a nature lover and a Nazi philosopher; an anti-Semite and an almost rabbinical thinker (some Nazis were suspicious of his avid Jewish readers and wanted to ban his work because of a perceived “Talmudic-Kabbalist” quality). He was obsessed with the West and is adored by its self-appointed defenders. But he was also influenced by Eastern philosophy and, convinced that the West had lost its way, he became central to anti-Western thought, inspiring the 1979 Iranian Revolution’s idea of “Westoxification”. Meanwhile, his more spiritual musings circulate innocently on social media, as life advice for the lost at heart.

하이데거의 사상은 하나의 관념이나 해석으로 한정할 수 없다. 그는 잃어버린 조화와 단순성을 갈망했지만 철학 역사상 가장 분열적이고 복잡한 저작 중 하나를 남겼다. 그는 자연 애호가이자 나치 철학자였으며, 반유대주의자이자 거의 랍비적인 사상가였다(일부 나치는 그의 열렬한 유대인 독자들을 의심했고, “탈무드-카발리스트” 성향 때문에 그의 작품을 금지하려 했다). 그는 서구에 집착했고 자칭 서구의 옹호자로 추앙받았다. 그러나 그는 동양 철학의 영향을 받기도 했으며 서구가 길을 잃었다고 확신한 그는 반서구 사상의 중심이 되어 1979년 이란 혁명의 “웨스톡시피케이션” 관념에 영감을 불어넣었다. 한편, 그의 보다 영적인 사색은 소셜 미디어에서 길을 잃은 사람들을 위한 삶의 조언으로 순수하게 퍼져나갔다.

 

――

웨스톡시피케이션

서구적 가치들을 채택하지 않은 채 서구적 생활 스타일과 기술을 채택함

――

 

****

 

There is no clear political philosophy in Heidegger. Born in 1889, in the small village of Messkirch, he was a philosopher whose style was often willingly – some say comically – opaque. Many of his key terms are so difficult to define that translators simply opt to keep the original German. At the time of writing, “Martin Heidegger” is one of only 174 English Wikipedia pages –out of a total 29 million – officially flagged as “incomprehensible” by the site.

하이데거에게는 명확한 정치철학이 없다. 1889년 메스키르히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난 그는 종종 고의적으로 – 혹자는 코믹하게라고 말하기도 한다 – 스타일이 불투명한 철학자였습니다. 그의 주요 용어 중 상당수는 정의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번역가들은 독일어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마르틴 하이데거”는 전체 2900만 개에 달하는 영어 위키백과 문서 중 공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음”으로 표시된 174개 문서 중 하나이다.

 

This is also one of the reasons why Heidegger’s standing is so fraught, even when his Nazism and anti-Semitism are set aside. The way he wrote has especially irked Anglophile readers, who suspect a man without substance. So whereas for Arendt he was “the secret king of thought” and for Levinas “the greatest philosopher of the century”, Bertrand Russell, by contrast, thought Heidegger did not even warrant a place in his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1945). “Heidegger is the only world-famous philosopher of the 20th century about whom it can seriously be argued that he was a charlatan,” Bernard Williams wrote in 1981.

이것은, 그의 나치즘과 반유대주의를 제쳐두더라도, 하이데거의 입지가 위태로운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의 글쓰기 방식은 영미권 독자들을 짜증나게 했는데, 그들은 그를 실체가 없다고 의심했다. 아렌트에게 하이데거는 “사상의 비밀스러운 왕”이었고 레비나스에게는 “금세기 최고의 철학자”였던 반면, 버트런드 러셀은 하이데거가 자신의 <서양철학사> (1945)에서 한 자리를 차지할 만한 자격조차 없다고 생각했다. 버나드 윌리엄스는 1981년에 “하이데거는 사기꾼이었다고 진지하게 주장될 수 있는 20세기의 유일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철학자”라고 썼다.

 

But when, in 1927, the professor of philosophy – already known as “the magician of Messkirch” among his students – published Being and Time, the response was extraordinary. Heidegger acquired international renown, an even more fervent following and the coveted chair of phenomenology at Freiburg University, ideally located within the Black Forest.

그러나 1927년 학생들 사이에서 이미 “메스키르히의 마술사”로 알려진 이 철학 교수가 <존재와 시간>을 출간했을 때 반응은 놀라웠다. 하이데거는 국제적인 명성, 더욱 열렬한 추종자 그리고 이상적이게도 검은 숲에 위치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갈망하던 현상학 교수 자리를 얻게 되었다.

 

The book was a refut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body, and all the fallacies that follow. “I think, therefore I am” was, in Heidegger’s reckoning, a “naive supposition”, an anthropocentric conceit that went all the way back to Plato. Humans cannot be imagined either outside or prior to the world into which they are “thrown” – a bed of land, language, tradition, history and more. Heidegger believed that only once this embeddedness, this “Being-there” (Dasein) in the world, is recognised can it be restored to its fullest, most authentic form, and the “forgetfulness of Being”, “the homelessness of man” and “the Fallenness of the world” overcome.

이 책은 정신과 육체의 구분과 그에 따른 모든 오류에 대한 반박이었다. 하이데거가 보기에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는 말은 플라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간 중심적 자만심인 “순진한 가정”이었다. 인간은 자신이 “던져진” 세계, 즉 땅, 언어, 전통, 역사 등의 외부나 전에는 상상할 수 없다. 하이데거는 이 근속성, 즉 세계 내 “거기 있음”(다자인)이 인식될 때에만 그것이 가장 온전하고 본래적인 형태로 회복될 수 있으며, “존재의 망각”, “인간의 고향없음”, “세계의 전락”이 극복될 수 있다고 믿었다.

 

For Heidegger, the rise of Nazism seemed serendipitous. Here was a movement heaving with his ideas, affirming the sacred soil on which Germans stood, exalting an existential enemy and deriding the empty equality of liberalism. As the Nazis promised to fulfil the “historical destiny” of the German Volk, Heidegger saw an end to the spiritual void at the heart of modern existence. Every day, he witnessed rationalism and science rid the world of wonder, and the logic of the market subsume both society and mind, while machines, rather than liberating humans, simply made them more machine-like. All this sprang, in Heidegger’s eyes, from the mind-body dualism that first separated life from landscape thousands of years ago, and was then embodied by both Jews and cosmopolitan liberals. Heidegger thought that Nazism represented – at least initially – a reunion with nature, history and the sacred power of things. When the Nazis planned the autobahns, they wanted them to wind through Heidegger’s beloved forest as much as possible, similarly sensing that it would arouse a primordial, patriotic spirit.

하이데거에게, 나치즘의 등장은 뜻하지 않은 기회로 보였다. 그의 관념들로 가득 찬 이 운동은 독일인들이 서 있는 신성한 땅을 긍정하고, 실존적 적을 찬양하며 자유주의의 공허한 평등을 조롱했다. 나치들이 독일 민족의 “역사적 운명”을 실현하겠다고 약속하자, 하이데거는 현대적 실존의 중심에 있는 정신적 공허함이 끝날 것이라고 보았다. 매일 그는 합리주의와 과학이 세계에서 경이로움을 제거하고, 시장의 논리가 사회와 정신을 삼키며, 기계가 인간을 해방시키는 대신 그들을 더 기계처럼 만들었다는 것을 목격했다. 하이데거의 눈에는 모든 것이 먼저 수천 년 전 생명을 풍경으로부터 분리시켰고 그 다음 유대인과 세계주의적 자유주의자들에 의해 구현된 정신과 육체의 이원론에서 비롯되었다. 하이데거는 나치즘이 – 적어도 초기에는 – 자연, 역사, 사물의 신성한 힘과의 재결합을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나치들이 아우토반을 계획할 때, 그들은 하이데거가 사랑하는 숲을 가능한 한 많이 통과하도록 설계하려 했는데, 하이데거와 마찬가지로 그것이 원초적이고 애국적인 정신을 자극할 것이라고 느꼈기 때문이다.

 

****

 

The recognition of a spiritual homeland is at the heart of Heidegger’s appeal today. When large numbers of citizens describe no longer feeling at home in their country, or say they would rather live elsewhere, Heidegger’s belief that “homelessness is becoming the destiny of the world” seems to have been borne out. Amid our global crisis of unbelonging, Heidegger’s homesickness resonates with those who see themselves as strangers in their own land.

정신적 고향의 인식은 오늘날 하이데거의 호소력의 핵심이다. 많은 시민들이 자신들의 나라에서 더 이상 고향을 느끼지 못하거나 차라리 다른 곳에서 살고 싶다고 말할 때, “고향없음이 세계의 운명이 되고 있다”는 하이데거의 믿음이 실현된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적인 소속감 상실 위기 와중에서, 하이데거의 향수병은 자신들을 자신들의 나라에서 이방인으로 살고 있다고 여기는 이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Inadvertently or not, most of today’s far right speak in Heideggerian terms: lamenting the rootlessness of modern life and the ravishing of national character by the liberal world order; longing for a lost social harmony between land and people. So while, say, Nietzsche – another favourite philosopher among the far right – fulminates on the fate of man, Heidegger’s emphasis on home has made a compelling political philosophy easier to find. On this basis, Aleksandr Dugin – who has been described as “Putin’s brain” – finds in his thought a “Fourth Political Theory”, against fascism (ostensibly), Marxism and – above all – liberalism.

의도적이든 아니든, 오늘날 극우파의 대부분은 하이데거의 용어들로 현대 생활의 뿌리 없는 삶과 자유주의 세계 질서에 의한 민족적 성격의 황폐화를 한탄하고, 땅과 사람 사이의 잃어버린 사회적 조화를 갈망한다. 극우파가 좋아하는 또 다른 철학자 니체도 인간의 운명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하이데거는 고향을 강조함으로써 [하이데거로부터] 설득력 있는 정치철학을 더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푸틴의 두뇌”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두긴은 그의 사상에서 파시즘 반대(표면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 반대, 무엇보다도 자유주의 반대로 구성된 “제4의 정치 이론”을 발견한다.

 

Just as Heidegger argued that a Volk is not simply “placed in an arbitrary unrelated strip of land”, so does Dugin declare that a homeland is not one of those “artificial societies that have broken ties with their ethnic base”. Rather, Dugin says a true home is “a community of language, religious belief, daily life, and shared resources and goals” – a Heimat, filled with a feeling of belonging. “All philosophy is a form of homesickness,” Heidegger liked to say, quoting the 18th-century poet, Novalis.

하이데거가 민족은 단순히 “임의의 무관한 땅에 위치”하지 않는다라고 주장한 것처럼, 듀긴도 고향은 “민족적 기반과의 유대가 끊어진 인공적인 사회” 중 하나가 아니라고 선언한다. 오히려 듀긴은 진정한 고향은 “언어, 종교적 신념, 일상 생활, 공유 자원과 목표의 공동체”, 즉 소속감으로 가득 찬 하이마트라고 말한다. 하이데거는 18세기 시인 노발리스의 말을 인용하며 “모든 철학은 향수병의 한 형태”라고 말하곤 했다.

 

For Heidegger and his politically minded pupils, the cause behind our unsettled condition is clear: liberalism. His understanding of liberalism was expansive, encompassing all notions of abstract equality (including Marxism) and stemming from the misguided “metaphysics” of mind-body dualism.

하이데거와 그의 정치에 관심 많은 제자들에게, 우리의 불안정한 상태의 원인은 자유주의라는 것이 분명하다. 하이데거가 이해한 자유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한) 모든 추상적 평등 관념들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것이었으며, 심신 이원론의 잘못된 “형이상학”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Any notion of a “universal” human must deny the embeddedness of Being, he argued, leaving individuals to languish in a lifeless state. Long before our “age of globalisation”, Heidegger warned that by wanting to treat everyone the same, liberalism would make the entire world the same – robbing it of all the particularities that made life meaningful. Stripping humans of their differences in the name of equality led not to individual empowerment, but to collective impoverishment – a spiritual death.

그는 어떤 “보편적” 인간 관념도 개인들을 생명이 없는 상태로 시들게 하면서 존재의 근속성을 부인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하이데거는 “세계화 시대”가 도래하기 훨씬 전에, 모든 사람을 똑같이 대하기를 원함으로써 자유주의는 전 세계를 동일하게 만들어 [전 세계로부터] 삶을 의미 있게 하는 모든 특수성들을 빼앗아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평등이라는 미명하에 인간들의 차이를 없애는 것은 개인들의 역량 강화가 아니라 집단적 빈곤, 즉 영적 죽음으로 이어진다.

 

This reflects one of the key paradoxes of the far right today. What seems like an attack on difference – a desire for ethnically homogeneous peoples – is actually experienced as a desire for difference: for a unique national character not to be subsumed within a globalised whole. Marine Le Pen, the leader of France’s Rassemblement National, calls globalisation la mondialisation sauvage: it “was supposed to bring us prosperity and happiness”, she said recently, “and in reality it brought us social and environmental devastation”. Even small symbols such as blue passports or measuring with feet and pounds (as opposed to what Fox News host Tucker Carlson calls “the tyranny of the metric system”) become the signs of an authentic existence, totemic traditions that tie a “people” – an ethnos, a Volk – to the past.

이것은 오늘날 극우의 주요 역설 중 하나를 반영한다. 차이에 대한 공격으로 보이는 것 – 인종적으로 동질적인 사람들에 대한 열망 –은 실제로 차이에 대한 열망으로 경험된다: 세계화된 전체 속에 흡수되지 않는 독특한 민족적 특성에 대한 열망이다. 프랑스의 국민연합 지도자 마린 르펜은 세계화를 la mondialisation sauvage [야만적 세계화] 라고 부른다. 그녀는 최근에 “세계화는 우리에게 번영과 행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예상되었지만, 실제로는 사회적·환경적 파괴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파란 여권이나 (폭스 뉴스 진행자 터커 칼슨이 “메트릭 시스템의 압제”라고 부르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피트와 파운드로 측정하는 것과 같은 작은 상징들조차 본래적 실존의 표징이 되며, 한 “민족” – 한 에스노스, 한 폴크 – 을 과거와 연결하는 토템적 전통들이 된다.

 

As the West’s reactionaries take an environmental turn – seeing the potential for planetary fears to combine with patriotic pride – Heidegger becomes even more attractive. His beloved forest, with all its trees rooted firmly in the soil, is finding new defenders. In Germany, the Alternative für Deutschland declares that society is not “some abstract environment standing in opposite to Man, but concretely the forests, meadows, fields, animals and plants of our homeland”. In France, Jordan Bardella, the new face of France’s far right and Le Pen’s protégé, eulogises the forests of Brittany. “The only forest I knew for a long time was a dreary row of skyscrapers,” he said in the run-up to the European Parliament elections, referring to his upbringing in a Parisian banlieue. “But I have an image of Brittany carnally French, proud of its identity and the cycles of history.”

서구의 반동자들이 지구적 위기와 애국적 자부심이 결합될 가능성을 인식하면서 환경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함에 따라 하이데거는 더욱 매력적인 인물로 부상하고 있다. 그의 사랑하는 숲, 땅에 단단히 뿌리를 내린 모든 나무들은 새로운 옹호자들을 얻고 있다. 독일에서, 독일을 위한 대안은 사회는 “인간과 대립하는 추상적인 환경이 아니라, 우리 고향의 숲, 초원, 들판, 동물, 식물과 같은 구체적인 것”이라고 선언한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극우의 새로운 얼굴이자 르펜의 후계자인 조르당 바르델라가 브르타뉴의 숲을 찬양했다. “오랫동안 제가 알고 있던 유일한 숲은 우울한 고층 빌딩의 줄이었습니다”라고 그는 유럽 의회 선거를 앞두고 파리의 빈민가에서 자란 자신의 성장 환경을 언급하며 말했다. “하지만 저는 육체적으로 프랑스적인 브르타뉴의 모습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그곳의 정체성과 역사의 순환이 자랑스럽습니다.”

 

――

독일을 위한 대안

독일을 위한 대안은 독일의 극우, 우익 포퓰리즘, 국민보수주의 정당이며, 추가적으로 유럽회의주의, 친러시아, 독일로의 이민, 그 중에서도 특히 무슬림의 이민을 반대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

 

Heidegger’s hopes in Nazism didn’t last long. He soon saw how Hitler’s regime idolised efficiency and mythologised machines as much as nature. In the madness of crowds, he identified a dismal inversion of Descartes’s dictum: “I do not think, therefore I am.” He rued the way pseudo-scientific racism and anti-Semitism – as opposed to Heidegger’s more philosophical versions – reigned supreme. “The question of the role of world Jewry is not a racial question,” Heidegger wrote privately, “but the metaphysical question about the kind of humanity that, without any restraints, can take over the uprooting of all beings from Being as its world-historical ‘task.’” The problem wasn’t that Nazism was anti-Semitic – it’s that it was anti-Semitic in the wrong way. Disappointed with the Führer, Heidegger retreated to his hut in the forest, vowing to “remain at the invisible front of the secret spiritual Germany”.

나치즘에 대한 하이데거의 희망은 오래가지 않았다. 그는 곧 히틀러 정권이 효율성을 숭배하고 기계와 자연을 마찬가지로 신화화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군중의 광기 속에서 그는 데카르트의 명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의 어두운 역전을 발견했다. 그는 자신의 더 철학적인 판본과 반대되는 사이비 과학적 인종주의와 반유대주의가 횡행한 방식을 유감으로 여겼다. 하이데거는 사적으로 “세계 유대인의 역할에 대한 물음은 인종적 물음이 아니라, 어떤 제약도 없이 모든 존재자들을 존재로부터 뿌리 뽑는 것을 자신의 세계사적 ‘임무’로 삼을 수 있는 인간 유형에 대한 형이상학적 물음이다”라고 썼다. 문제는 나치즘이 반유대주의적이었다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방식으로 반유대주의적이었다는 것이다. 지도자에 실망한 하이데거는 숲 속에 있는 자신의 오두막으로 물러나 “비밀스러운 정신적 독일의 보이지 않는 전선에 머물겠다”고 맹세했다.

 

But despite his disillusionment, Heidegger was unrepentant to the end. The Holocaust forced many thinkers to reconsider the nature and purpose of philosophy. Yet for Heidegger, rather than lead him to reckon with his mistakes, it somehow showed him he was right all along. Nazism was recast as just another morbid symptom of liberal modernity.

그러나 그 환멸에도 불구하고, 하이데거는 끝까지 회개하지 않았다. 홀로코스트는 많은 사상가들로 하여금 철학의 본질과 목적을 재고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하이데거에게 홀로코스트는 자신의 실수를 반성하게 하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이 옳았다는 것을 보여줬다. 나치즘은 자유주의적 모더니티의 또 다른 병적 증상으로 재조명되었다.

 

“Agriculture is now a motorised food industry,” Heidegger said in 1949, “in essence,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of corpses in the gas chambers and the extermination camps.” He seemed betrayed by the Nazis, even quipping to a colleague that, rather than apologise for his Nazi past, he wished Hitler could be brought back to apologise to him.

하이데거는 1949년에 “농업은 이제 동력화된 식품 산업”이라며 “본질적으로 가스실과 강제수용소에서 시체를 제조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그는 나치에게 배신감을 느낀 듯 자신의 나치 과거에 대해 사과하기보다는 동료에게 히틀러를 다시 데려와서 사과를 받았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In 1949, Hannah Arendt returned to Germany on an official visit and arranged to see Heidegger. She was unimpressed with who she found, dismayed by his “childish dishonesty” and desire to “do nothing but philosophise”. Now it was Arendt looking down on Heidegger, “the secret king of thought” who had compromised his crown. In a letter to their friend, the philosopher Karl Jaspers, she lamented his retreat into the woods, where “the only people he’ll have to see are the pilgrims who come full of admiration for him. Nobody is likely to climb 1,200 metres to make a scene.”

1949년에, 한나 아렌트는 공식 방문차 독일로 돌아와 하이데거를 만날 준비를 했다.그녀는 자신이 발견한 이에게 감명을 받지 못 했는데, 그의 “유치한 부정직함”과 “철학 말고는 아무 것도 하지 않으려는” 욕망에 실망했다. 이제 아렌트는 자신의 왕관을 손상시킨 “사상의 비밀스러운 왕”인 하이데거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하이데거와 자신의 친구인 철학자 칼 야스퍼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녀는 그가 숲 속으로 물러난 것을 한탄하며, 그곳에서 “그가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은 그에 대한 존경심으로 가득 찬 순례자들뿐일 것입니다. 아무도 소란을 피우려고 1,200미터를 오르지는 않을 것입니다”라고 썼다.

 

****

 

Today, Heidegger’s hut still stands among the Black Forest hills. On a recent June afternoon, I took a train and a bus from Freiburg and walked up the 1,200 metres. It’s understated: barely bigger than a bedroom, very much a hut, with no more than a small wooden sign to identify it. Despite Heidegger’s busy afterlife, it remains oddly silent, apparently immune to the cycles of history. Since Heidegger’s death in 1976, it has become a minor pilgrimage site, with leaflets in local tourist information offices – each exonerating his Nazism – and a sparse number of visitors seeking insight into the philosopher’s “work-world”.

오늘날 하이데거의 오두막은 여전히 검은 숲 언덕들 사이에 서 있다. 최근 6월 어느 오후, 나는 프라이부르크에서 기차와 버스를 탔고 1,200미터를 걸어 올라갔다. 그곳은 소박하다: 침실보다 조금 큰 정도이며, 진정한 오두막으로, 그곳을 표시하는 것은 작은 목제 표지판뿐이다. 하이데거의 사후 명성에도 불구하고, 이 오두막은 이상하게도 조용하다. 역사의 흐름에 무감각한 듯하다. 하이데거가 1976년에 사망한 후, 이 오두막은 작은 순례지로 변모했다. 현지 관광 정보 사무소에는 그의 나치주의를 옹호하는 전단지가 있으며, 그 철학자의 “작업 세계”에 대한 통찰을 찾는 방문객들이 드물게 찾아온다.

 

The irony of all this attention – especially of Steve Bannon holding his biography in his hands – is that Heidegger had such little time for biography.

이 모든 주목, 특히 스티브 배넌이 그의 전기를 손에 들고 있었던 것의 아이러니는 하이데거는 전기를 쓸 시간이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As for the personality of a philosopher,” he said during a lecture on Aristotle in 1924, “our only interest is that he was born at a certain time, that he worked and that he died.” For a philosopher whose main idea was that we are rooted beings, forever tied to a particular place and time, living within and through a land and language, it was always a strange stance. Now it’s as if Martin Heidegger simply knew how damning his own biography would be.

1924년에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한 강연에서 그는 “철학자의 인격에 관해서는 그가 특정 시기에 태어났다는 것, 그가 활동했다는 것, 그리고 그가 죽었다는 것만이 우리의 유일한 관심사”라고 말했다. 그것은 인간은 특정 장소와 시간에 영원히 묶여 있는, 한 땅과 언어 안에서 한 땅과 언어를 통해 살아가는, 뿌리가 있는 존재라는 것이 주된 관념이었던 철학자의 태도치고는 기이했다. 마르틴 하이데거는 자신의 전기가 얼마나 저주받을지 알고 있기라도 했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