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Argue Against Identity Politics Without Turning Into a Reactionary

Yascha Mounk

어떻게 반동이 되지 않고도 정체성 정치에 반대해 논변할 수 있을까

야샤 뭉크

출처: The New York Times / 2023년 9월 22일

원문 보기

번역: 정성철 cittaa@gmail.com

In the spring of 2017, a senior administrator at Evergreen State College in Washington announced that she expected whit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to stay off campus for a day. The so-called Day of Absence, she explained, was intended to build community “around identity.”

2017년 봄, 워싱턴 주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의 한 고위 행정관은 백인 학생과 교수진이 하루 동안 캠퍼스 밖에 머물기를 기대한다고 발표했다. 그녀는 이른바 결석일은 “정체성을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One professor publicly pushed back against this idea. As he wrote to the administrator, “on a college campus, one’s right to speak — or to be — must never be based on skin color.” He would, he announced, remain on campus.

한 교수가 공개적으로 이 아이디어에 반대했다. 그는 행정관에게 이렇게 썼습니다. “대학 캠퍼스에서 발언할 권리 – 또는 있을 권리 – 는 피부색에 따라 결정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는 캠퍼스에 남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What followed was a bizarre gantlet. Though the Day of Absence was officially voluntary, the professor’s refusal to take part painted a target on his back. Protesters disrupted one of his classes, intimidating his students and accusing him of being a racist. The campus police, he said, encouraged him to keep away for his own safety. Within a few months, he quit his job, reinventing himself as a public intellectual for the internet age.

그 뒤를 이어 기괴한 곤틀릿이 나왔다. 결석일은 공식적으로는 자발적이었지만, 그 교수의 참여 거부는 그의 등에 과녁 표시가 그려지게 했다. 시위자들은 그의 수업 중 하나를 방해하고 그의 학생들을 위협하고 그가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비난했다. 캠퍼스 경찰은 그에게 자신의 안전을 위해 떨어져 있으라고 권유했다고 말했다. 몇 달 만에 그는 직장을 그만두고 인터넷 시대의 대중 지식인으로 재탄생했다.

 

――

곤틀릿 – 복선이 단선으로 합쳐지는 구간

――

 

In his early media appearances, the professor, Bret Weinstein, described himself as a leftist. But over time, he drifted away from his political roots, embracing ever more outlandish conspiracy theories. Of late, he has insinuated that the Sept. 11 attacks were an inside job and called for health officials who recommended that children be vaccinated against Covid to face prosecution modeled on the Nuremberg Trials.

그 교수, 브렛 웨인스타인은 초기 언론 출연에서 자신을 좌파라고 묘사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자신의 정치적 뿌리에서 벗어나 점점 더 기이한 음모론을 받아들였다. 최근 그는 9월 11일 공격이 내부 소행이었다는 사실을 암시하고 어린이들에게 코비드 백신 접종을 권고한 보건 당국자들을 뉘른베르크 재판을 모델로 해 기소하라고 촉구했다.

 

Mr. Weinstein, in short, has fallen into the reactionary trap.

요컨대, 와인스타인 씨는 반동적 함정에 빠졌다.

 

He is not alone. Other key members of what’s been called the “intellectual dark web” also started out opposing the real excesses of supposedly progressive ideas and practices, only to morph into cranks.

그는 혼자가 아니다. “지적 다크 웹”이라고 불려 왔던 것의 다른 주요 구성원들도 진보적 아이디어들과 관행들의 과잉에 반대하기 시작했지만 결국 괴짜로 바뀌었다.

 

These dynamics have left a lot of Americans, including many of my friends and colleagues, deeply torn. On the one hand, they have serious concerns regarding the new ideas and norms about race,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that have quickly been adopted by universitie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corporations and even some religious communities. Like Mr. Weinstein, they believe that practices like separating people int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race are deeply counterproductive.

이 역학관계는 나의 많은 친구들과 동료들을 포함하여 많은 미국인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한편으로 그들은 대학, 비영리 단체, 기업, 심지어 일부 종교 단체에서 빠르게 채택한 인종, 젠더, 성적 지향에 관한 새로운 아이디어들과 규범들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다. 웨인스타인 씨처럼 그들은 사람들을 인종에 따라 서로 다른 집단들로 분리하는 것과 같은 관행들이 대단히 반생산적이라고 믿는다.

 

On the other hand, these Americans are deeply conscious that real injustices against minority groups persist; are understandably fearful of making common cause with reactionaries like Mr. Weinstein; rightly oppose the legislative restrictions on the expression of progressive ideas in schools and universities that are now being adopted in many red states; and recognize that authoritarian populists like Donald Trump remain a very serious danger to our democratic institutions.

다른 한편, 이 미국인들은 소수 집단에 대한 실제적인 불의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 그들은 웨인스타인 씨와 같은 반동 세력과 공동의 대의를 추구하는 것을 당연히 두려워한다. 현재 많은 공화당 주들에서 채택되고 있는 학교와 대학에서의 진보적 아이디어들의 표현에 대한 입법적 제한에 정당하게 반대한다.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와 같은 권위주의적 포퓰리스트가 우리 민주주의 제도에 매우 심각한 위험으로 남아 있다는 점을 인식한다.

 

Mr. Trump and others on the right deride the new norms as “woke,” a term with strongly pejorative connotations. I prefer a more neutral phrase, which emphasizes that this ideology focuses on the role that groups play in society and draws on a variety of intellectual influences such as postmodernism, postcolonialism and critical race theory: the “identity synthesis.”

트럼프 씨와 우파의 다른 사람들은 새로운 규범들을 “워크”라고 조롱하는데, 매우 경멸적인 내포가 담긴 용어이다. 나는 이 이데올로기가 사회에서 집단들이 수행하는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포스트모더니즘, 탈식민주의, 비판적 인종 이론과 같은 다양한 지적 영향들을 이용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좀 더 중립적인 문구, 즉 “정체성 종합”을 선호한다.

 

Does it make sense to speak out against the well-intentioned, if wrongheaded, ideas that are circulating in progressive circles at a time when Mr. Trump retains a serious chance of winning back the White House? Is there a way to oppose such practices without turning a blind eye to genuine discrimination or falling for conspiracy theories? In short: Is it possible to argue against the identity synthesis without falling into the reactionary trap?

트럼프 씨가 백악관을 되찾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갖고 있는 이 시점에 비록 잘못되었다고 해도 선의에서 나온 진보계에 퍼지고 있는 아이디어들에 반대해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합리적인가? 진정한 차별을 외면하거나 음모론들에 빠지지 않고 그러한 관행들에 반대할 수 있는 방도가 있을까? 요컨대, 반동적 함정에 빠지지 않고 정체성 종합에 반대해 논변하는 것이 가능한가?

 

Yes, yes and yes.

절대적으로 가능하다.

 

There is a way to warn about these views on identity that is thoughtful yet firm, principled yet unapologetic. The first step is to recognize that they constitute a novel ideology — one that, though it has wide appeal for serious reasons, is profoundly misguided.

정체성에 대한 이 견해들에 대해 사려 깊지만 확고하고, 원칙에 입각해 있지만 변호론적이지 않게 경고할 수 있는 방도가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그것들이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구성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 이데올로기는 진지한 이유들로 폭넓게 호소력이 있지만 심각하게 오도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parts of the right have started to denounce any concern about racism as being “woke” or an example of “critical race theory.” This right-wing hyperbole has, in turn, persuaded many reasonable people that critical race theory amounts to little more than a commendable determination to teach children about the history of slavery or to recognize that contemporary America still suffers from serious forms of discrimination. Critical race theory, they think, is simply a commitment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terrible role that race continues to play in our society.

최근 몇 년 동안 우익 일부에서는 인종차별에 대한 우려를 “워크”라거나 “비판적 인종 이론”의 사례라고 비난하기 시작했다. 이 우익 과장법은 비판적 인종 이론이 어린이들에게 노예 제도의 역사를 가르치거나 현대 미국이 여전히 심각한 형태의 차별로 고통 받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려는 칭찬할 만한 결단에 불과하다는 점을 많은 합리적인 사람들에게 확신시켰다. 비판적 인종 이론은 단순히 인종이 우리 사회에서 계속해서 수행하는 끔찍한 역할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겠다는 약속일 뿐이라고 그들은 생각한다.

 

This soft-pedaled depiction of their ideas would come as a shock to the founders of critical race theory. Derrick Bell, widely seen as the father of the tradition, cut his teeth as a civil rights lawyer who helped to desegregate hundreds of schools. But when many integrated schools failed to provide Black students with a better education, he came to think of his previous efforts as a dead end. Arguing that American racism would never subside, he rejected the “defunct racial equality ideology”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그들의 아이디어들을 이렇게 부드럽게 묘사하는 것은 비판적 인종 이론의 창시자들에게 충격으로 다가올 것이다. 그 전통의 아버지로 널리 알려진 데릭 벨은 수백 개의 학교에서 인종 분리를 철폐하는 데 도움을 준 민권 변호사로서 경력을 쌓았다. 그러나 많은 통합 학교가 흑인 학생들에게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자 그는 이전의 노력이 막다른 골목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는 미국의 인종차별주의는 결코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민권운동의 “고장난 인종평등 이데올로기”를 거부했다.

 

According to Mr. Bell, the Constitution — and even key Supreme Court rulings like Brown v. Board of Education — cloaked the reality of racial discrimination. The only remedy, he claimed, is to create a society in which the way that the state treats citizens would, whether it comes to the benefits they can access or the school they might attend, explicitly turn on the identity groups to which they belong.

벨 씨에 따르면, 헌법은 물론이고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와 같은 주요 대법원 판결도 인종 차별의 현실을 은폐하고 있다. 그가 주장한 유일한 해결책은 국가가 시민들을 대하는 방식이 그들이 접근할 수 있는 혜택이나 다닐 수 있는 학교에 관계없이 그들이 속한 정체성 집단들에 명시적으로 달려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To take critical race theory — and the wider ideological tradition it helped to inspire — seriously is to recognize that it explicitly stands in conflict with the views of some of the country’s most storied historical figures. Political leaders from Frederick Douglass to Abraham Lincoln and Martin Luther King Jr. recognized that the Constitution was not enough to protect Black Americans from horrific injustices. But instead of rejecting those documents as irredeemable, they fought to turn their promises into reality.

비판적 인종 이론과 그것이 영감을 준 더 넓은 이데올로기적 전통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그것이 국가에서 가장 유명한 역사적 인물들의 견해와 명시적으로 충돌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프레더릭 더글러스에서 에이브러햄 링컨, 마틴 루터 킹 주니어에 이르기까지 정치 지도자들은 헌법이 흑인 미국인을 끔찍한 불의로부터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 문서들을 구제할 길 없다고 거부하는 대신, 약속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싸웠다.

 

Critical race theory is far more than a determination to think critically about race; similarly, the identity synthesis as a whole goes well beyond the recognition that many people will, for good reason, take pride in their identity. It claims that categories like race,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are the primary prism through which to understand everything about our society, from major historical events to trivial personal interactions. And it encourages us to see one another — and ourselves — as being defined, above anything else, by the identities into which we are born.

비판적 인종 이론은 인종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겠다는 결심 그 이상이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전체로서의 정체성 종합은 많은 사람들이 좋은 이유로 자신의 정체성에 자부심을 가질 것이라는 인식을 훨씬 뛰어 넘는다. 인종, 젠더, 성적 지향과 같은 범주들은 일종의 프리즘이며 그 프리즘을 통해서만 주요한 역사적 사건들에서 사소한 개인적 상호작용들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것은 무엇보다도 우리가 출생에 의해 속하게 된 정체성들에 의해 정의되는 존재로 서로를, 그리고 우리 자신을 보라고 우리를 부추긴다.

 

This helps to explain why it’s increasingly common these days to see schools seek to ensure that their students conceive of themselves as “racial beings,” as one advocate puts it. Some of them even split students into racially segregated affinity groups as early as the first grade. These kinds of practices encourage complex people to see themselves as defined by external characteristics whose combinations and permutations, however numerous, will never amount to a satisfactory depiction of their innermost selves; it is also a recipe for zero-sum conflict between different groups. For example, when teachers at a private school in Manhattan tell white middle schoolers to “own” their “European ancestry,” they are more likely to create racists than anti-racists.

이것은 한 옹호자가 말했듯이 요즘 학교들이 학생들이 자신을 “인종적 존재”로 인식하게 하려고 애쓰는 것이 점점 더 흔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학교들은 심지어 1학년부터 학생들을 인종적으로 분리된 친화 집단들로 나누기도 했다. 이러한 종류의 관행들은 실제로는 상당히 복합적인 사람들을 부추켜 자신들을 외부 특성들에 의해 정의된 상대적으로 단순한 사람들로 보게 한다. 그 특성들의 조합들과 순열들은 아무리 많아도 결코 그들의 가장 깊은 자아들을 만족스럽게 묘사하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또한 서로 다른 집단들 간의 제로섬 충돌을 위한 레시피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맨해튼의 한 사립학교 교사들이 백인 중학생들에게 자신들의 “유럽 혈통”을 “숨기거나 부끄러워하지 말고 자신들의 것으로 받아들이라”고 말할 때, 그들은 반인종차별주의자보다 인종차별주의자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더 높다.

 

There is even growing evidence that the rapid adoption of these progressive norms is strengthening the very extremists who pose the most serious threat to democratic institutions. According to a recent analysis by The New York Times, Mr. Trump has attracted a new group of supporters who are disproportionately nonwhite and comparatively progressive on cultural issues such as immigration reform and trans acceptance, but also perturbed by the influence that the identity synthesis has in mainstream institutions, like the corporate sector.

이 진보적 규범들의 급속한 채택이 민주주의 제도에 가장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극단주의자들을 강화시키고 있다는 증거도 늘어나고 있다. 뉴욕 타임스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씨는 불비례적으로 비백인이고 이민 개혁, 트랜스 수용과 같은 문화적 쟁점들에 대해 비교적 진보적이지만 또한 정체성 종합이 기업 부문과 같은 주류 제도들에서 갖고 있는 영향으로 인해 동요하고 있는 새로운 지지자 집단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였다.

 

It is naïve to think that we face a choice between speaking out against wrongheaded progressive ideas or fighting against the threat from the far right. To breathe new life into the values on which American democracy is founded and build the broad majorities that are needed to inflict a lasting defeat on dangerous demagogues, principled critics of the identity synthesis need to do both at the same time.

우리가 잘못된 진보적 아이디어들에 맞서 목소리를 낼 것인지, 아니면 극우의 위협에 맞서 싸울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다. 미국 민주주의의 기반이 되는 가치들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고 위험한 선동가들에게 지속적인 패배를 가하는 데 필요한 광범위한 다수당을 구축하려면, 정체성 종합에 대한 원칙적인 비판자들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Many people who were initially sympathetic to its goals have since recognized that the identity synthesis presents a real danger. They want to speak out against these ideas, but they are nervous about doing so. It’s not just that they don’t want to risk alienating their friends or sabotaging their careers. They fear that opposing the identity synthesis will, inevitably, force them to make common cause with people who don’t recognize the dangers of racism and bigotry, push them onto the “wrong side of history,” or even lead them down the same path as Mr. Weinstein.

처음에 그 목표에 공감했던 많은 사람들은 이후 정체성 종합이 실질적 위험을 가져온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들은 이 생각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싶어하지만 그렇게 하기에는 불안하다. 단지 친구와 멀어지거나 경력을 방해하는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정체성 종합에 반대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인종주의와 편협함의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과의 공동의 대의를 추구하게 하거나, 자신들을 “역사의 잘못된 편”으로 내몰거나, 심지어 와인스타인 씨와 같은 길로 이끌까 두려워한다.

 

I understand these apprehensions. But there is a way to argue against the misguided ideas and practices that are now taking over mainstream institutions without ignoring the more sobering realities of American life or embracing wild conspiracy theories. And the first part of that is to recognize that you can be a proud liberal — and an effective opponent of racism — while pushing back against the identity synthesis.

나는 이 우려들을 이해한다. 그러나 미국 생활의 냉정한 현실을 무시하거나 터무니없는 음모론을 수용하지 않고도 현재 주류 기관들을 장악하고 있는 잘못된 아이디어들과 관행들에 반대할 수 있는 방도가 있다. 그리고 그것의 첫 번째 부분은 정체성 종합에 맞서면서 자랑스러운 자유주의자이자 효과적인 인종차별 반대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Many people who argue against the identity synthesis are so fearful of the reactions they might elicit that, like the schoolchild who flunks a test on purpose because he’s scared of what it’ll say about him if he does badly, they preemptively play the part of the unlikable jerk. But doing so is a self-fulfilling prophecy: When you expect to upset people, it is easy to act so passive-aggressively that you do.

정체성 종합에 반대하는 많은 사람들은, 성적이 나쁠 때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할 말이 두려워 일부러 낙제하는 학생처럼, 자신들이 불러일으킬 반응들을 너무 두려워해서 선제적으로 호감 가지 않는 얼간이 행세를 한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것은 자기실현적 예언이다: 자신이 사람들을 화나게 할 것이라고 예상하면, 실제로 사람들을 화나게 할 만큼 수동적-공격적으로 행동하기가 쉽다.

 

But nor should you go all the way to the other extreme. Some who argue against the identity synthesis are so embarrassed to disagree with a progressive position that they go out of their way to offer endless concessions before expressing their own thoughts. When somebody does push back, they apologize profusely — whether or not they’ve done anything wrong. That kind of behavior succeeds only in making them look guilty.

그러나 다른 극단으로 치닫아서는 안 된다. 정체성 종합에 반대하는 일부 사람들은 진보적 입장에 반대하는 것이 너무 부끄러워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도 전에 끝없이 양보하려고 애쓰기도 한다. 누군가가 반발하면 자신이 잘못한 것이 있든 없든 엄청나게 사과한다. 그런 종류의 행동은 그들이 유죄인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데에만 성공한다.

 

Instead, critics of the identity synthesis should claim the moral high ground and recognize that their opposition to the identity synthesis is of a piece with a noble tradition that was passed down through the generations from Douglass to Lincoln to King — one that has helped America make enormous, if inevitably incomplete, progress toward becoming a more just society. This makes it a little easier to speak from a position of calm confidence.

대신, 정체성 종합에 대한 비판자들은 도덕적 우위를 주장해야 하며, 정체성 종합에 대한 그들의 반대가 더글러스에서 링컨, 킹까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온 고귀한 전통을 지닌 작품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 전통은 미국이 비록 불완전할지라도 더 정의로운 사회로 진보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이렇게 하면 차분한 자신감을 갖고 말하는 것이 조금 더 쉬워진다.

 

In the same vein, it is usually best to engage the reasonable middle rather than the loud extremes. Even at a time of deep political polarization, most Americans hold nuanced views about divisive subjects from how to honor historical figures like George Washington to whether we should avoid the forms of artistic exchange that have come to be condemned as “cultural appropriation.” Instead of trying to “own” the most intransigent loudmouths, critics of the identity synthesis should seek to sway the members of this reasonable majority.

같은 맥락에서, 목소리가 큰 극단보다는 합리적인 중간을 상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가장 좋다. 심각한 정치적 양극화 시대에도 대부분의 미국인은 조지 워싱턴과 같은 역사적 인물을 기리는 방법부터 “문화적 전유”로 비난받는 예술적 교류 형태를 피해야 하는지에 이르기까지 분열을 일으키는 주제들에 대해 섬세한 견해를 갖고 있다. 가장 비타협적이며 큰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점유”하려고 하는 대신, 정체성 종합에 대한 비판자들은 이 합리적인 다수의 구성원들을 장악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Even when you do find yourself debating somebody with more extreme view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oday’s adversaries can become tomorrow’s allies. Ideologues of all stripes like to claim that the people with whom they disagree suffer from some kind of moral or intellectual defect and conclude that they are a lost cause. But though few people acknowledge defeat in the middle of an argument, most do shift their worldview over time. Our job is to persuade, not to vilify, those who genuinely believe in the identity synthesis.

좀 더 극단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과 논쟁을 벌이더라도 오늘의 적이 내일의 동맹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종류의 이데올로그들은 자신들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이 일종의 도덕적 또는 지적 결함을 겪고 있다고 주장하고 그들의 대의가 실패할 것이 뻔하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나 논쟁 중에 패배를 인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계관을 바꾼다. 우리의 임무는 정체성 종합을 진정으로 믿는 사람들을 비방하는 것이 아니라 설득하는 것이다.

 

Sometimes, outspoken critics of the identity synthesis used to be its fervent proponents. Maurice Mitchell, a progressive activist who is now the national director of the Working Families Party, once believed that the core precepts of the identity synthesis could help him combat injustice. Today he worries about how its ideas are reshaping America, including some of the progressive organizations he knows intimately. As he writes in a recent article, “Identity is too broad a container to predict one’s politics or the validity of a particular position.”

때로는 정체성 종합에 대한 노골적인 비판자들이 열렬한 지지자이기도 했다. 진보적인 활동가이자 현재 노동가족당의 전국 이사인 모리스 미첼은 한때 정체성 종합의 핵심 원칙이 불의에 맞서 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오늘날 그는 그것의 아이디어들이 자신이 친밀하게 알고 있는 일부 진보적 조직들을 포함하여 미국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 그는 최근 기사에서 “정체성은 개인의 정치나 특정 입장의 타당성을 예측하기에는 너무 폭이 넓은 그릇”이라고 썼다.

 

To avoid following the path charted by Mr. Weinstein, opponents of the identity synthesis need to be guided by a clear moral compass of their own. In my case, this compass consists of liberal values like political equality, individual freedom and collective self-determination. For others, it could consist of socialist conviction or Christian faith, of conservative principles or the precepts of Buddhism. But what all of us must share is a determination to build a better world.

웨인스타인이 제시한 길을 따르지 않으려면 정체성 종합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명확한 도덕적 나침반을 따라야 한다. 나의 경우, 이 나침반은 정치적 평등, 개인의 자유, 집단적 자결과 같은 자유주의적 가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사회주의적 신념이나 기독교 신앙, 보수적 원칙이나 불교의 계율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공유해야 할 것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결심이다.

 

The identity synthesis is a trap. If we collectively fall into it, there will be more, not less, zero-sum competition between different groups. But it is possible to oppose the identity trap without becoming a reactionary.

정체성 종합은 함정이다. 우리가 집단적으로 여기에 빠지면 서로 다른 집단 간의 제로섬 경쟁이 더 커질 것이다. 그러나 반동적이 되지 않고도 정체성 함정에 반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To build a better society, we must overcome the prejudices and enmities that have for so much of human history boxed us into the roles seemingly foreordained by our gender, our sexual orientation, or the color of our skin. It is time to fight, without shame or hesitation, for a future in which what we have in common truly comes to be more important than what divides us.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류 역사의 오랜 기간 동안 우리를 젠더, 성적 지향, 피부색에 따라 미리 정해진 것처럼 보이는 역할에 가두었던 편견과 적대감을 극복해야 한다. 이제는 우리가 공유하는 것이 우리를 나누는 것보다 더 중요해지는 미래를 위해 부끄러움이나 망설임 없이 싸워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