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al Origin of Free Will

Herbert Harris

자유 의지의 사회적 기원

허버트 해리스

출처: 3 Quarks Daily / 2025년 8월 14일

원문 보기

번역: 정성철 cittaa@gmail.com

In 2023, Stanford neuroscientist Robert Sapolsky’s bestseller Determined declared free will to be a complete illusion. Sapolsky gathered a wealth of data from neuroscience to quantum mechanics in an effort to deliver a final knockout blow to our intuitive ideas of freedom. He then explores a wide range of ethical and social issues where our questionable notions of freedom have led to misguided and often inhumane policies and practices. Since its publication, the book continues to attract criticism for its deterministic stance. Experts from many fields have engaged in this lively discussion.

2023년, 스탠포드 대학교 신경과학자 로버트 사폴스키의 베스트셀러 <결정된>은 자유 의지가 완전한 환상이라고 선언했다. 사폴스키는 신경과학에서 양자역학에 이르는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해 우리 직관적인 자유 아이디어들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하려 시도했다. 그는 이어 자유에 대한 우리의 의심스러운 생각들이 잘못되고 종종 비인도적인 정책들과 관행들로 이어진 광범위한 윤리적 및 사회적 이슈들을 탐구한다. 출판 이래, 이 책은 결정론적 입장에 대한 비판을 계속 받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 활발한 논쟁에 참여해 왔다.

 

Watching the debate unfold shows that while we have strong ideas about what free will isn’t, we lack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freedom actually could be. We agree that whatever it is, it would be incompatible with both mechanical determinism and total randomness. We also think that free will is connected to that vaguely self-conscious feeling that we are the originators of our actions. If free will exists, it probably exists in a middle ground that isn’t too deterministic nor too random. But what exactly is it?

이 논쟁의 전개를 지켜보면, 우리가 자유 의지가 무엇이 아닌지에 대해 강한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가 실제로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자유가 무엇이든, 그것이 기계적 결정론과 완전한 무작위성 모두와 양립할 수 없다는 데에는 동의한다. 또한 우리는 자유 의지가 우리가 우리의 행동들의 창작자들이라는 모호한 자의식적 느낌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자유 의지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결정론적이지도 무작위적이지도 않은 중간 지점에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자유는 정확히 무엇인가가?

 

Neuroscience may not be as conclusive about the end of free will as Sapolsky suggests, but it has not been particularly effective in producing alternative explanations. Science generally depends on deterministic approaches — such as reproducible experiments — to test hypotheses that can be proven false. It might be, as critics like Jessica Riskin argue, that science is the wrong place to seek an understanding of free will. However, a potential way forward could come from an unexpected source.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philosopher G.W.F. Hegel developed a theory of freedom, defining it as a result of human social interactions.

신경과학은 사폴스키의 주장과는 달리 자유 의지가 종말을 고했다는 결론을 내리지 않았을 수도 있는데, 대안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데도 딱히 효과적이지 않았다. 과학은 일반적으로 거짓으로 입증될 수도 있는 가설들을 테스트하기 위해 — 재현 가능한 실험들과 같은 — 결정론적 접근 방식에 의존한다. 제시카 리스킨과 같은 비판자들이 논하는 대로, 과학은 자유 의지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는 적절한 장소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한 잠재적인 해결책이 예상치 못한 출처에서 나올 수도 있다. 19세기 초 철학자 G.W.F. 헤겔은 자유를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들의 결과로 정의하는 자유 이론을 개발했다.

 

Hegel famously argued that freedom isn’t innate but develops through social interaction. He starts with a depiction of humans caught in a Hobbesian struggle for power and survival, a dynamic he describes in his dialectic of the enslaver and the enslaved. Over time, and through often painful mutual engagement, individuals begin to see each other not just as obstacles or tools but as subjects with their own perspectives and intentions. From this social process, a new kind of self-awareness and agency emerges. Hegel believed that self-consciousness and freedom are interconnected and develop together. Without self-consciousness, freedom cannot exist, because we’d lack the reflective awareness needed to own our actions. Without freedom, self-consciousness remains incomplete, as we’d be trapped by external constraints or others’ perspectives.

헤겔은 자유가 본유적이지 않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한다는 유명한 주장을 했다. 그는 권력과 생존을 위한 홉스적 투쟁에, 그가 자신의 노예주와 노예의 변증법에서 기술하는 다이나믹에 갇혀 있는 인간들을 묘사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시간이 지나면, 그리고 종종 고통스러운 상호대적을 거쳐, 개인들은 서로를 단순히 장애물들이나 도구들로가 아니라 자신의 관점들과 의도들을 가진 주체들로 보기 시작한다. 이 사회적 과정으로부터, 새로운 종류의 자기 인식과 에이전시가 출현한다. 헤겔은 자의식과 자유가 서로 연결되어 함께 발전한다고 믿었다. 자의식이 없으면, 자유는 존재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 자신의 행동들의 주인이 되는 데 필요한 반성적 [자기] 인식이 부족할 것이기 때문이다. 자유가 없으면, 자의식은 불완전한 상태로 남아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외부 제약들이나 타인들의 관점들에 갇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Aspects of Hegel’s theory of the social nature of freedom might surprisingly align with modern neuroscience. In a previous post, I explained how Hegel’s idea of self-consciousness as a result of social interaction could be “naturalized” through neuroscience’s concept of active inference. Here, I outline how active inference could contribute to the emergence of freedom.

자유의 사회적 본성에 대한 헤겔의 이론의 일부는 놀랍게도 현대 신경과학과 일치할 수 있다. 이전 글에서, 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서의 자의식이라는 헤겔의 아이디어가 어떻게 신경과학의 적극적 추론 개념을 통해 “자연화”될 수 있을지 설명했다. 여기서, 나는 어떻게 적극적 추론이 자유의 출현에 기여할 수 있을지 설명한다.

 

――

이전 글

이 전 칼럼 중 하나였던 ‘팀 스포츠로서의 자의식: 헤겔로부터 예측적 신경과학으로’라는 글

――

 

Based on ideas developed by neuroscientist Karl Friston and colleagues, active inference explains how brains don’t just react to sensory input; they actively predict it. When reality differs from those predictions, we either update our internal models or act to change the world to match our expectations. These predictions are constantly revised and integrated into dynamic internal models that represent not only our experiences but also the people, contexts, and goals we encounter. These models include representations of desired outcomes or future states, and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desired states and the current reality that drives action. In this framework, agency is not a reaction to the world, but a generative process aimed at minimizing surprise and achieving expected outcomes.

신경과학자 칼 프리스턴과 동료들이 개발한 아이디어들을 기반으로 해서, 적극적 추론은 어떻게 뇌들이 그저 감각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지 설명한다; 그것들은 적극적으로 그것을 [감각 입력을] 예측한다. 현실이 그 예측들과 다를 때, 우리는 우리의 내부 모델들을 업데이트하거나 우리의 기대들에 부합하도록 세계를 변화시키기 위해 행동한다. 이 예측들은 항구적으로 개정되어 우리의 경험들뿐만 아니라 만나게 되는 사람들, 맥락들, 목표들도 표상하는 동적 내부 모델에 통합된다. 이 모델들은 소망되는 결과들이나 미래 상태들의 표상들을 포함하며, 행동을 추동하는 것은 이 소망되는 상태들과 현재 현실 사이의 차이이다. 이 프레임워크에서, 에이전시는 세계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놀라움을 최소화하고 기대되는 결과들을 달성하는 것을 겨냥하는 생성적 과정이다.

 

Active inference systems that initiate actions are similar to thermostats controlling room temperature. When the thermometer shows that the temperature is too low, the thermostat turns on the heat until the desired temperature is reached. This simple type of agency typically involves closed-loop control systems with fixed goals, like regulating blood pressure. It is termed first-order agency because it uses models that directly predict and control the system it manages. Second-order agency involves self-referential modeling of modeling processes (making models of models). In social interactions, this can mean several people modeling each other’s behavior and modeling themselves from the perspectives of others. The goals of interpersonal second-order agency are to influence how we are perceived and treated by others. We use feedback from others to update the predictive models we create of ourselves. Second-order agency is mainly mediated through language and behaviors that shape how others model us, leading us to develop representations of ourselves as seen through their eyes. Throughout our lives, other people act like psychological mirrors, providing us with information about ourselves that we can’t obtain through first-order modeling.

행동을 유발하는 적극적 추론 시스템은 방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와 유사하다. 온도계가 온도가 너무 낮다고 표시되면 온도조절기는 원하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난방을 켠다. 이 단순한 유형의 에이전시는 혈압 조절과 같은 고정된 목표들이 있는 폐쇄 루프 제어 시스템들과 유사하다. 그것은 자신이 관리하는 시스템을 직접적으로 예측하고 제어하는 모델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1차 에이전시라고 불린다. 2차 에이전시는 모델링 과정의 자기 참조적 모델링 (모델들의 모델들을 만들기) 을 포함한다. 사회적 상호작용들에서, 이것은 여러 사람이 서로의 행동을 모델링하고 타인들의 관점들에서 자신들을 모델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인간 간 2차 에이전시의 목표는 타인들이 우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우리는 타인들로부터의 피드백을 사용해 우리가 자신들에 대해 만든 예측 모델들을 업데이트한다. 2차적 에이전시는 주로 언어와 행동들을 통해 매개되며 타인들이 우리를 어떻게 모델링하는지에 영향을 미쳐, 우리로 하여금 타인들의 눈들을 통해 보이는 대로의 자신의 표상들을 형성하게 한다. 우리 삶 내내, 타인들은 심리적 거울들처럼 작용하여, 1차적 모델링으로는 획득할 수 없는 우리 자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following social interaction illustrates second-order agency. A person is at a job interview and wants to appear as a competent, ideal candidate. Their verbal and behavioral actions stem from second-order models they construct of themselves, influenced by ideals of what a successful applicant should look like to the interviewer. The aim is to shape the interviewer’s perception of the applicant. The interviewer’s responses reveal how her view of the applicant changes based on his actions. Her words, tone, and affect may show skepticism, enthusiasm, or boredom. The applicant perceives this feedback and incorporates it into his second-order self-modeling. Discrepancies between the applicant’s self-view, as reflected in the interviewer’s behavior, and the applicant’s predicted self (getting the job) generate error signals that drive his next actions.

다음 사회적 상호작용은 2차적 에이전시를 보여준다. 한 사람이 취업 면접에 참석해 유능하고 이상적인 후보자로 보이기 원한다. 그의 언어적 및 행태적 행동은 면접관이 성공적인 지원자로 여겨야 할 이상에 영향을 받은 자신에 대한 2차적 모델에서 비롯된다. 목표는 지원자에 대한 면접관의 지각을 형성하는 것이다. 면접관의 반응은 지원자의 행동에 따라 지원자에 대한 면접관의 견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준다. 면접관의 말투, 톤, 감정 표현은 회의감, 열정, 또는 지루함을 나타낼 수 있다. 지원자는 이 피드백을 지각하고 그것을 자신의 2차 자기 모델링에 통합한다. 면접관의 행동에 반영된 대로의 지원자의 자기-견해와 지원자가 예측한 자기 (취업 성공) 사이의 불일치는 지원자의 다음 행동을 추동하는 오류 신호를 생성한다.

 

The process repeats itself. The applicant models the interviewer, the interviewer models the applicant, and this cycle continues. Where does freedom fit into this? The circuitry of active inference is intricate, but there is no ghost in this machine. The social aspect of the interaction adds significant complexity. Having two minds interacting is a major step toward unpredictability, but an even more crucial factor is the social embeddedness of the interview.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troduce intentionality, meanings, and beliefs into the process. From the first handshake to the final moments, job interviews are filled with symbols and rituals that neither participant may fully understand. This web of hidden variables makes social interactions very hard to analyze or predict. Many opponents of Sapolsky-style determinism might accept this “practical indeterminacy” that influences human interactions. However, there is one more factor to consider.

이 과정은 반복된다. 지원자는 면접관을 모델링하고, 면접관은 지원자를 모델링하며, 이 사이클은 계속된다. 자유는 이 과정에서 어디에 위치할까? 능동적 추론의 회로는 복잡하지만, 이 기계에는 유령이 없다. 상호작용의 사회적 측면은 상당한 복잡성을 추가한다. 두 개의 마음이 상호작용하는 것은 예측 불가능성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것이지만, 훨씬 더 중요한 요소는 면접의 사회적 내재성이다. 사회적 및 문화적맥락들은 그 과정에 지향성, 의미들, 신념들을 도입한다. 첫 악수부터 마지막 순간까지, 취업 면접은 두 참가자 모두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수 있는 상징들과 의식들로 가득 차 있다. 숨겨져 있는 변수들의 이 거미줄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거나 예측하기 매우 어렵게 만든다. 사폴스키식 결정론에 반대하는 많은 이들은 인간 상호작용들에 영향을 미치는 이 “실천적 불확정성”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려해야 할 요소가 하나 더 있다.

 

The distinction between first- and second-order agency is important because it relates to similarities with formal languages like propositional logic. A first-order language usually includes a set of objects, some qualities and relationships that can be applied to those objects, and logical rules for building statements about the objects. Imagine a world filled only with balls, baseballs, footballs, soccer balls, and a set of procedures you can perform on them: throwing, catching, kicking. In a first-order language, you can discuss how these procedures directly apply to objects. You can say, “I can throw a baseball,” or “You can kick a soccer ball.” Each sentence describes an action applied to a specific thing.

1차 에이전시와 2차 에이전시의 구분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명제 논리와 같은 형식 언어들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1차 언어는 일반적으로 대상들의 한 집합, 그 대상들에 적용될 수 있는 몇몇 속성들과 관계들, 그 대상들에 대해 진술할 때 준수해야 하는 논리적 규칙들을 포함한다. 공, 야구공, 축구공, 축구공으로 가득 찬 세계, 그리고 그것들을 상대로 수행할 수 있는 절차들의 한 집합 – 던지기, 잡기, 차기 – 을 상상해 보라. 1차 언어에서, 당신은 어떻게 이 절차들이 대상들에 직접 적용되는지 논의할 수 있다. 당신은 “나는 야구공을 던질 수 있다”거나 “당신은 축구공을 찰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각 문장은 특정 대상에 적용된 행동을 기술한다.

 

In a second-order language, you gain the ability to talk about the procedures themselves. You can combine them, compare them, and generalize across them. Now you can say, “It’s harder to catch than to throw,” or “Everything you can do with a football, you can do with a baseball.” You can even define complex conditions: “In soccer, the only player who can always catch and kick the ball is the goalie.” Most importantly, you can talk about yourself. As in formal logic or computer science, introducing self-reference creates qualitatively new capacities. In human cognition, it allows us to reflect on our thoughts, to imagine others reflecting on us. This is the foundation of self-consciousness, but it is also the source of freedom.

2차 논리 언어에서, 당신은 그 절차 자체에 대해 얘기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한다. 당신은 절차들을 결합하고 비교하며 일반화할 수 있다. 이제 당신은 “잡는 것이 던지는 것보다 어렵다”거나 “축구공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야구공으로도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당신은 복잡한 조건들을 정의할 수 조차 있다: “축구에서, 공을 잡아 찰 수 있는 유일한 선수는 골키퍼이다.” 가장 중요한데, 당신은 자신에 대해 얘기할 수 있다. 형식 논리학이나 컴퓨터 과학에서처럼 자기 참조를 도입하면 질적으로 새로운 능력이 생긴다. 인간 인지에서, 그것은 우리의 생각을 반성할 수 있게, 타인들이 우리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자의식의 기반이지만, 또한 자유의 원천이다.

 

Second-order agency opens up possibilities for creative, generative behaviors that are not limited to pre-set responses. The self-reference enabled by social feedback loops gives us the perspective to go beyond fixed goals and consider larger purposes. This model of socially embedded agency offers a naturalistic alternative to both metaphysical free will and strict determinism. It also has ethical implications. If agency is not confined to isolated brains but exists in relationships, then moral responsibility is also relational.

2차 에이전시는 사전 설정된 반응들에 국한되지 않는 창의적이고 생성적인 행동들의 가능성들을 열어준다. 사회적 피드백 루프들을 통해 가능해진 자기 참조는 우리에게 고정된 목표들을 넘어 더 큰 목적들을 고려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이 사회 내재적 에이전시 모델은 형이상학적 자유 의지와 엄격한 결정론 모두에 대한 자연주의적 대안을 제시한다. 그것은 또한 윤리적 함의를 지닌다. 에이전시가 고립된 뇌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관계들 속에 존재한다면, 도덕적 책임 또한 관계적이다.

 

The process of mutual recursive self-modeling is a distant descendant of what Hegel called recognition. His famous dialectic of the enslaver and the enslaved describes how second-order capacities like freedom and self-consciousness can develop through social interactions from a primary struggle for power. Hegel viewed freedom and self-consciousness as historically arising rather than evolving, but they are fundamentally social in origin.

상호 재귀적 자기 모델링 과정은 헤겔이 인정이라고 부른 것의 먼 후예이다. 그의 유명한 노예주와 노예의 변증법은 어떻게 자유와 자의식 같은 이차 능력들이 권력을 위한 일차 투쟁 중의 사회적 상호작용들을 통해 발전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헤겔은 자유와 자의식을 진화하지 않고 역사적으로 발생한다고 보았지만, 그것들은 근본적으로 사회적 기원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