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deological Refusal to Acknowledge Evolved Sex Differences

David C. Geary

진화의 결과인 성차의 이데올로기적 인정 거부

데이비드 C. 기어리

출처: Quillette / 2022년 9월 1일

원문 보기

번역: 정성철 cittaa@gmail.com

Boys and girls are not infinitely malleable, socially constructed products of the patriarchy.

남성과 여성은 무한히 가소적인, 가부장제의 사회적으로 구성된 산물들이 아니다.

 

――

David C. Geary is a Curators’ Distinguished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ical Sciences and the Interdisciplinary Neuroscience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

데이비드 C. 기어리는 미주리 대학교 심리과학학과 및 다학제 신경과학 프로그램의 큐레이터스 특별 교수이다.

――

 

Much remains to be learned about the nature and origins of various sex differences, but more is known than most people realize. Much of the current confusion is generated by activists who suppress, attack, and distort information on sex differences in order to reinforce their preferred ideological narratives. These ideology-driven distortions are helpfully illustrated by a recent New York Times essay by Chelsea Conaboy, which announces that the maternal instinct is a “myth”—a social construct generated and upheld by the patriarchy to impel women to raise children and keep them out of the workforce.

다양한 성차의 본성과 기원에 대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이 알려져 있다. 현재 혼란의 대부분은 자신이 선호하는 이데올로기적 내러티브를 강화하기 위해 성차에 대한 정보를 억압하고 공격하며 왜곡하는 활동가들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이데올로기에 의해 추동되는 이 왜곡은 최근 <뉴욕 타임스>에 실린 첼시 코나보이의 에세이에 의해 잘 예시되는데, 그 에세이는 모성 본능이 “신화” — 여성에게 자녀 양육을 강제하고 여성을 노동 인구에서 배제하기 위해 가부장제에 의해 생성되고 유지되는 사회적 구성물 — 라고 선언한다.

 

Maternal instinct and the patriarchy

Conaboy’s goal, apparently, is to undo 200 million years of mammalian evolution, which produced maternal investment in offspring. She correctly points out that, in the past, Western societies discouraged and often excluded women from entering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jobs. But while this continues to occur in many parts of the world, in highly developed Western societies women now outnumber men in higher education. Jerry Coyne has provided a valuable rejoinder on this point and several others in Conaboy’s essay, to which I will add a few more here.

모성 본능과 가부장제

코나보이의 목표는 자식에 대한 모성 투자를 낳은 2억 년의 포유류 진화를 되돌리는 것인것 같다. 그녀는 과거 서구 사회에서 여성이 고등 교육과 전문직에 진출하는 것을 막고 종종 배제했다는 점을 정확하게 지적한다. 그러나 이것은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계속되고 있지만, 고도로 발달한 서구 사회에서는 이제 고등 교육을 받는 여성의 수가 남성보다 많다. 제리 코인은 이 점과 몇 가지 다른 점들에서 코나보이의 에세이에 대한 귀중한 반론을 제시했는데, 여기에 몇 가지를 더 추가하겠다.

 

The firs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of the parental brain, about which Conaboy writes:

첫 번째는 코나보이가 다음과 같이 쓴 부모 뇌의 구성과 관련된 것이다:

 

New research on the parental brain makes clear that the idea of maternal instinct as something innate, automatic and distinctly female is a myth, one that has stuck despite the best efforts of feminists to debunk it from the moment it entered public discourse.

부모 뇌에 대한 새로운 연구는 모성 본능이 본유적이고 자동적이며 여성 특유의 것이라는 생각이 페미니스트들이 공적 담론에 진입한 순간부터 반박하려고 최선의 노력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고착화된 신화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According to this view, the parental brain is essentially a blank slate filled with experiences chiefly dictated by social expectations for women and men. In other words, women’s and men’s parental brains and associated behaviors would be the same with the right social mores and behavioral expectations. But this claim fails to consider that males do very little parenting in the vast majority of mammals, especially those (including humans) in which males compete intensely for status.

이 견해에 따르면, 부모 뇌는 본질적으로 여성과 남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들에 의해 주로 지시된 경험들로 가득 찬 백지이다. 달리 말해, 여성과 남성의 부모 뇌 및 [그 뇌와] 결부된 행동들은 사회적 관습과 행동 기대가 올바르다면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은 포유류, 특히 (인간을 포함해) 수컷이 지위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포유류의 대다수에서 수컷이 육아를 거의 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는다.

 

As it happens, humans are among the exceptions to this pattern. Men invest considerably more in their children than do the males of our closest relatives—chimpanzees and bonobos—who are uniformly deadbeats. Nevertheless, the sex difference in the direct care of human children is found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in infancy. Fathers among the Aka—a nomadic people indigenous to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provide more direct care to their infants and children than fathers in any other society hitherto studied. Yet Barry Hewlett’s observations indicate that when in camp, “the father would on average hold his infant for a total of 57 minutes while the mother would hold the infant [for] 490 minutes.”

공교롭게도, 인간은 이 패턴의 예외에 속한다. 인간 남성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척인 침팬지나 보노보의 수컷보다 자식에게 훨씬 더 많은 투자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 자녀를 직접 돌보는 데 있어 성차는 전 세계에서 발견되며, 특히 유아기에는 더욱 두드러진다. 콩고민주공화국 토착 유목민인 아카족의 아버지는 지금까지 연구된 다른 어떤 사회의 아버지보다 영유아를 더 많이 직접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배리 휴렛의 관찰에 따르면, 캠프에 있을 때 “아버지는 평균적으로 총 57분 동안 아기를 안고 있는 반면, 어머니는 490분 동안 아기를 안고 있었다”고 한다.

 

The sex difference here and elsewhere is related in part to maternal suckling of infants that can last for several years. But it persists past infancy, and follows more general patterns. Female primates not only gestate and suckle young but are consistently more sensitive to and behaviorally attentive to offspring than are males. This is not to say that these differences are all hormonally or genetically determined—experiences do matter, as Conaboy argues. But nature has not left engagement in the associated behaviors to chance. Nor has it made maternal and paternal brains equally responsive to the associated experiences. In a review of brain imaging studies conducted while parents look at images or film clips of their children, Feldman noted that there is:

여기 저기에서의 이 성차는 부분적으로는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는 모성 수유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유아기 이후에도 지속되며 보다 일반적인 패턴들을 따른다. 암컷 영장류는 새끼를 임신하고 젖을 먹일 뿐만 아니라 수컷보다 새끼에 대해 지속적으로 더 민감하고 행동적으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이 차이들이 모두 호르몬이나 유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은 아니며, 코나보이의 주장처럼, 경험도 중요하다. 그러나 자연은 관련 행동들의 수행을 우연에 맡기지 않았다. 또한 모성 뇌와 부성 뇌가 관련 경험들에 똑같이 반응하도록 만들지도 않았다. 부모가 자녀의 사진이나 영상 클립을 보는 동안 수행된 뇌 영상 연구를 검토한 결과, 펠드먼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greater amygdala activation [associated with emotions] in mothers and greater cortical activation in fathers, suggesting that the hormones of pregnancy may chart a unique limbic path to parenting in mothers, which in fathers is constructed via cortical networks and active caregiving behavior.

어머니는 [감정과 관련된] 편도체 활성화가 더 크고 아버지는 대뇌 피질 활성화가 더 컸는데, 이것은 어머니에게서는 임신 호르몬이 양육에 이르는 독특한 대뇌 변연계 경로를 수립하는 반면 아버지에게서는 양육이 대뇌 피질 네트워크들과 적극적인 돌봄 행동을 통해 구성됨을 시사한다.

 

The tendency to see results like these as categorical reflections of women’s and men’s responses to their children only adds to the confusion. These are general trends that are not applicable to each and every mother or father. Within-sex variation in parental behavior is found in both sexes, and in this case, more in men than in women. The variation in maternal and paternal attentiveness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 is partly heritable, but it is also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individual children, to their past experiences, and to wider social mores (for instance, marriage rules). This is why, as Conaboy points out, some women describe parenthood as a fabulous and happy experience, while others find it physically and emotionally draining. There is nothing exceptional or unexpected about this variation. Biology will produce female-typical and male-typical biases and behaviors, including in parenting, as well as within-sex variation and cross-sex overlap.

이것들 같은 결과들을 자식에 대한 여성과 남성의 반응을 범주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보는 경향은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다. 이것들은 일반적인 경향들일뿐 모든 어머니나 아버지에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성 내에서의 부모 행동의 차이는 남녀 모두에서 발견되며, 이 경우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 자녀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세심함과 반응성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개별 자식들의 특성, 과거 경험, 더 넓은 사회적 관습 (예를 들어, 결혼 규칙) 과도 관련이 있다. 코나보이가 지적했듯이, 이것이 어떤 여성들은 부모가 되는 것을 멋지고 행복한 경험이라고 표현하는 반면, 다른 여성들은 육체적, 정서적으로 지친다고 느끼는 이유이다. 이 편차에 예외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것은 없다. 생물학은 양육을 포함하여 여성과 남성의 전형적인 편향들과 행동들, 그리고 동일한 성 내에서의 편차와 성간 중첩을 설명해 줄 것이다.

 

But the argument that social forces in highly developed Western nations are directing women to maternal activities and restricting their opportunities in the workforce does not survive scrutiny. Sex differences associated with being career-focused versus family-focused are well-documented and show that women are more variable than men when it comes to these trade-off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of adults in the United Kingdom found that 14 percent of women were work-focused (most men are work-focused), 16 percent were home-focused, and the remainder had a mixed home- and work-preference.

그러나 고도로 발달한 서구 국가들의 사회 세력들이 여성들을 모성 활동으로 내몰고 직장 내 여성들의 기회를 제한하고 있다는 주장은 면밀한 조사를 통해 입증되지 않았다. 경력 중심 대 가족 중심과 관련된 성차들은 잘 문서화되어 있으며 이 트레이드-오프들이 문제가 될 때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더 가변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영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성들의 14%는 일 중심적 (대다수의 남성들은 일 중심적), 16%는 가정 중심적, 나머지는 가정과 일의 선호도가 혼합된 것으로 나타났다.

 

Importantly, most women were able to achieve these preferences. Four out of five (or 82 percent of) well-educated and work-focused women had full-time careers, whether or not they had children: “[P]atriarchal values have very little impact, and child care responsibilities have no impact at all on work rates among work-centered women.” If anything, the home-focused women were less able to realize their preferences, as many of them had to work to contribute to family finances. This type of variation among women (and men) follows from sexual reproduction and is a natural part of life.

중요한 점은 대다수의 여성들이 이 선호들을 달성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교육 수준이 높고 일 중심적인 여성 5명 중 4명 (또는 82%)은 자녀 유무와 관계없이 풀타임으로 직업을 갖고 있었다: “가부장적 가치들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육아 책임은 일 중심 여성들의 취업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오히려 가정을 중시하는 여성들은 가족 경제에 기여하기 위해 일을 해야 했기 때문에 자신의 선호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다. 여성들 (및 남성들) 사이에서의 이 유형의 편차는 유성 생식에 따른 것으로 삶의 자연적 일부이다.

 

There are two sexes

Sexual reproduction is a milestone in the evolution of planetary life and it is found in one form or another in nearly all eukaryotes (organisms whose cells contain a nucleus). The most fundamental mechanisms that support sexual reproduction are evolutionarily conserved (found across species) and emerged at least 1.5 billion years ago. Early eukaryotes were unicellular organisms, typically with two mating types that produced gametes of about the same size. Competition to merge with the gametes of the other mating type set the stage for the evolution of smaller (sperm) and larger (egg) gametes. These emerged under what biologists call disruptive selection, which favors large or small gametes rather than those in between.

성은 두개이다

유성 생식은 지구 생명체 진화의 이정표이며 거의 모든 진핵 생물 (세포에 핵이 있는 유기체) 에서 어떤 형태로든 발견된다. 유성 생식을 지원하는 가장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여러 종에서 발견됨) 최소 15억 년 전에 출현했다. 초기 진핵 생물은 단세포 생물로, 전형적으로 거의 같은 크기의 생식세포를 생산했던 두 교배형으로 이뤄져 있다. 다른 교배형의 생식세포와 합쳐지기 위한 경쟁은 더 작은 (정자) 생식세포와 더 큰 (난자) 생식세포의 진화를 위한 발판이 되었다. 이것들은 생물학자들이 분단 선택이라고 부르는 것 하에서 출현했는데, 크지도 작지도 않은 생식세포보다는 크거나 작은 생식세포를 선호한다.

 

With sperm, you’re buying thousands of lottery tickets—most will be losers but there’s a good chance of hitting a few jackpots. The sperm are built for movement and speed and so don’t carry large caloric or nutritional reserves. If two of them combine there are insufficient reserves to support post-fertilization growth. The larger eggs generally stay put and have the cache of reserves needed to support this growth. Their size means they are more costly to make than sperm and so there are fewer of them. Moderate-sized gametes, meanwhile, are outgunned on both sides. They have some reserves but are not as mobile as sperm and there aren’t as many of them. Even if they were fertilized, they cannot support the same level of post-fertilization growth as larger eggs. No doubt they were around following the evolution of sexual reproduction but they were evolutionary dead ends. The result was the evolutionary emergence of individuals who either produced small gametes (sperm, males) or large ones (eggs, females).

정자의 경우는 수천 장의 복권을 구입하는 것과 같다. 대다수는 패자가 되겠지만 몇 장의 잭팟을 터뜨릴 확률도 높다. 정자는 운동과 속도를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칼로리나 영양분을 많이 저장하지 않는다. 그것들 둘이 [운동과 속도가] 결합되면 수정 후 성장을 지원하기에는 비축량이 충분하지 않다. 더 큰 난자는 일반적으로 가만히 있고 이 성장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비축량을 가지고 있다. 난자의 크기가 크다는 것은 정자보다 만드는 데 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그 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중간 크기의 생식세포는 양쪽 모두에서 열세이다. 그것들은 어느 정도의 비축량을 가지고 있지만 정자만큼 운동성이 뛰어나지 않고 그 수가 많지 않다. 수정이 되더라도 수정 후 성장이 더 큰 난자와 같은 수준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유성 생식의 진화와 함께 존재한 것은 틀림없지만 진화적으로 막다른 골목이었다. 그 결과 작은 생식세포 (정자, 수컷) 나 큰 생식세포 (난자, 암컷) 를 생산하는 개체가 진화적으로 출현하게 되었다.

 

In other words, sexual reproduction has independently evolved in different groups of plants and animals and has always arrived at the same solution—two sexes distinguished by the size of the respective gametes they produce. In some species, sex can change depending on ecological or social conditions, changes that typically improve their reproductive success. Some reef fish, for example, might transition from female to male as they grow larger, if large males can monopolize breeding territories and thus reproduce with lots of females. But this type of sex change does not occur in mammals (or birds). Sex is therefore a categorical binary.

달리 말해, 유성 생식은 여러 동식물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해 왔으며 항상 동일한 해결책, 즉 각 생식세포의 크기에 따라 구별되는 두 개의 성에 도달했다. 일부 종의 경우 생태적 또는 사회적 조건에 따라 성이 바뀔 수 있으며, 이 변화는 전형적으로 번식 성공률을 높인다. 예를 들어, 일부 산호초 물고기는, 큰 수컷이 번식 지역을 독점하여 많은 암컷과 생식할 수 있는 경우, 몸집이 커지면서 암컷에서 수컷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하지만 포유류 (또는 조류)에서는 이 유형의 성전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성은 범주적 이분법이다.

 

The existence of two sexes does not mean that males always behave in evolved male-typical ways and females in female-typical ways. The picture is complicated by human self-awareness and by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that can arise from engaging in sex-atypical behaviors. Engagement in these activities (such as doll play for boys) can undermine acceptance by peers and result in a higher risk of psychological issues like depression, especially for boys. Engagement in behaviors that are more typical of the other sex might result in preferring the other sex as playmates or friends, at least at times, but this is not the same as wanting to physically become the other sex.

성이 둘이라는 것은 수컷이 항상 진화한 수컷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고 암컷이 진화한 암컷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인간적 자기 인식과 비정형적인 성 행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심리적 및 사회적 이슈들에 의해 사정은 복잡해진다. (남자아이의 인형 놀이와 같은) 이 활동들에 참여하면 또래 친구들의 수용성을 저해하고 특히 남자아이의 경우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다른 성에게 더 전형적인 행동들에 참여하면 적어도 때때로 다른 성을 놀이 친구나 친구로 선호하게 될 수 있지만, 이것은 신체적으로 다른 성이 되고 싶어하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다.

 

Most people (more than 99 percent, in fact), including those with interests more common to the opposite sex, psychologically identify as the sex of their birth. A tiny minority of people with gender dysphoria desire to be seen as the opposite sex and will medically transition, but this is not as common as implied by activists (or the attention currently devoted to the issue), nor would we expect it to be common from a biological perspective.

동성보다는 이성과 더 많은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포함한 대다수의 사람들 (사실상, 99%가 넘는 사람들) 은 심리적으로 자신을 자신의 출생 성과 동일시한다. 성별 위화감이 있는 극소수의 사람들은 이성으로 보이기를 원하고 의학적으로 성전환을 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활동가들 (또는 현재 이 이슈에 바쳐진 주목)이 암시하는 만큼 흔하지 않으며, 생물학적 관점에서 볼 때도 흔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The origins of sex differences

There are, of course, many similarities in the behaviors and other traits of males and females in most species, but there are also well-understood differences that are common across species. Differences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different approaches to reproduction, as detailed by Charles Darwin more than 150 years ago. These approaches generally turn on relative contributions to parenting, with the higher investing sex being choosier when it comes to mates and the other sex competing for access to mates. This typically manifests as male-male competition and female choice, although there are species in which females are more competitive and males invest more in parenting. Female parenting and higher investment in offspring are built into the biology of reproduction for mammals, with internal gestation and postpartum suckling. Males provide considerable care in some mammals, but it’s not the norm. Instead, males generally attack one another or compete in other ways to gain social status with which to attract females.

성차의 기원

물론 대다수의 종에서 수컷과 암컷의 행동과 기타 특성에는 많은 유사점들이 있지만, 종에 따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잘 알려진 차이점들도 있다. 차이점들은, 150여 년 전 찰스 다윈이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번식에 대한 서로 다른 접근 방식들과 관련이 있다. 이 접근 방식들은 일반적으로 양육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에 따라 달라지며, 투자를 많이 하는 성은 짝을 고를때 더 까다롭고 다른 성은 짝에 대한 접근권을 놓고 경쟁한다. 이것은 전형적으로는 수컷-수컷 경쟁과 암컷의 선택으로 나타나지만, 암컷이 더 경쟁적이고 수컷이 양육에 더 많이 투자하는 종도 있다. 양육과 새끼에 암컷이 더 많이 투자한다는 사실은 포유류의 번식 생물학에 내재되어 있으며, 임신과 산후 수유는 포유류의 번식 생물학에 내장되어 있다. 일부 포유류에서는 수컷이 상당한 보살핌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다. 대신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을 끌기 위해 서로 공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한다.

 

For primates, a sex difference in physical size is a good indicator of the extent to which males focus on competing for mates rather than investing in offspring. If males are on average larger than females, this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a polygynous mating system, whereby dominant males have offspring with many females and many low-status males never reproduce at all. Sometimes, these males provide protection to offspring (for example, gorillas) but females provide most of the direct parental care. When males provide social protection or other resources, females compete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them, as is found in several species of Savanah baboon. In these cases, we see female-female competition and male choice, along with male-male competition and female choice.

영장류의 경우, 신체적 크기의 성차는 수컷이 새끼에게 투자하기보다는 짝을 찾기 위한 경쟁에 집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가 된다. 수컷이 암컷보다 평균적으로 큰 경우, 이것은 일반적으로 우성 수컷이 많은 암컷과 자손을 낳고 지위가 낮은 수컷은 전혀 번식하지 않는 일부다처제 짝짓기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때로는 수컷이 새끼를 보호하는 경우도 있지만 (예를 들어, 고릴라), 대다수의 직접적인 양육은 암컷이 담당한다. 여러 종의 사바나 개코원숭이에서 볼 수 있듯이, 수컷들이 사회적 보호나 기타 자원들을 제공하면 암컷들은 그들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 이 경우들에서, 수컷-수컷 경쟁과 암컷의 선택과 나란히 암컷-암컷 경쟁과 수컷의 선택을 볼 수 있다.

 

Human sex differences in physical size and many associated traits related to intense physical competition fit nicely with this general pattern. In fact, larger males than females date back at least four million years in our ancestry. Some have argued that these patterns are the result of a sexual division of labor and monogamy, whereby males provisioned females and offspring. But this is unlikely, given the general pattern in primates and that intense male-male competition and polygyny are the norm in traditional societies. In any event, the fact that human sex differences are real and have a strong biological basis does not imply genetic determinism. Sex differences are not socially constructed from whole cloth, but their expression can be exaggerated, suppressed, or deflected to be expressed in different ways by local conditions and social rules such as marriage laws or customs.

신체 크기 및 격렬한 신체적 경쟁과 관련된 많은 연계 특성들에서 볼 수 있는 인간 성차들은 이 일반적인 패턴과 잘 맞아떨어진다. 실제로 여성보다 남성이 더 큰 것은 최소 400만 년 전 이상의 인류의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부에서는 이 패턴이 남성이 여성과 자식을 부양하는 성적 분업과 일부일처제의 결과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영장류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패턴과 전통 사회들에서 남성 간의 치열한 경쟁과 일부다처제가 일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그럴 가능성은 낮다. 여하튼, 인간 성차들이 실재하고 강력한 생물학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유전적 결정론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성차들은 완전히 사회적으로 구성되지는 않아도, 지역적 조건들 및 결혼법이나 관습과 같은 사회적 규칙들에 따라 과장되거나 억압되거나 왜곡되어 여러 가지 다른 방식들로 표현될 수 있다.

 

Still, sex differences in physical traits are well-documented and cannot simply be argued away. Hyde acknowledges some large differences, such as throwing distance, but argues that these are exceptions and that most differences are small. Archer later pointed out that there are quite a few individual traits with large sex differences, including very large differences in homicide rates, which can be 30 to 40 times more common among males (typically killing male rivals) than females, as well as large differences in fearfulness in real-world contexts (85–90 percent of girls and women are more fearful than the average boy or man) or pain tolerance (almost 90 percent of boys and men have a higher pain threshold than the average girl or woman). As Del Giudice and colleagues have argued, the real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pattern of related traits.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특성들의 성차들은 잘 문서화되어 있으며 단순하게 얼버무릴 수 없다. 하이드는 던지는 거리와 같은 몇 가지 큰 차이들을 인정하지만, 이것들은 예외들이며 대다수의 차이들은 작다고 주장한다. 아처는 나중에 많은 성차들에는 상당히 많은 개인적 특성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남성이 여성보다 30~40배 더 높은 살인율의 매우 큰 차이 (일반적으로 남성 라이벌들을 살해), 현실 세계 맥락들에서 무서움을 타는 정도의 큰 차이 (소녀들과 성인 여성들의 85~90%가 평균적 소년들이나 성인 남성들보다 더 무서움을 탄다), 통증 내성의 차이 (소년들과 성인 남성들의 거의 90%가 평균적인 소녀들이나 성인 여성들보다 통증 역치가 높음) 를 포함해서 말이다. 델 지우디체와 동료들이 주장했듯이, 그 실재적 차이점들은 관련된 특성들의 패턴에서 확인된다.

 

It’s not that male-male fighting produced the evolution of taller men; it selected for a suite of correlated and co-evolving traits, including height, cardiovascular capacity, skeletal structure, bone density, lean muscle mass, as well as some less obvious traits. As with other primates with a history of physical competition, these include sex differences in brain areas involved in sensorimotor integration and aggression that support deft behavioral and emotional reactions to physical attacks. In traditional contexts and historically, male-male competition included the use of blunt force and projectile weapons. The latter favors strong throwing accuracy and velocity, as well as enhancement of the brain and cognitive systems that support the tracking of objects moving through space and integration of these systems with those that support throwing accuracy and the ability to dodge projectiles. Boys and men have advantages in all these individual areas. The sex difference for each individual trait ranges from small to quite large. The critical point is that their combination is integrated into a uniquely male suite of correlated traits.

남성-남성 싸움이 키가 큰 남성의 진화를 산출하지는 않았다; 그것은 키, 심혈관 능력, 골격 구조, 골밀도, 근육량, 그리고 덜 분명한 특성들 등 상호 연관되고 함께 진화하는 일련의 특성들을 선택했다. 신체적 경쟁의 역사를 가진 다른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여기에는 신체적 공격에 대한 능숙한 행동적 및 감정적 반응들을 지원하는 감각 운동 통합과 공격성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성차가 포함된다. 전통적인 맥락들에서나 역사적으로나 남성-남성 경쟁에는 둔기와 발사체 무기의 사용이 포함되었다. 발사체 무기는 강력한 던지기 정확도와 속도, 공간을 통해 움직이는 물체의 추적을 지원하는 뇌 및 인지 시스템들의 강화, 그리고 던지기 정확도와 발사체를 피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시스템들과의 그 시스템들의 통합을 선호한다. 소년들과 성인 남성들은 이 모든 개별 영역들에서 장점이 있다. 각 개별 특성의 성차는 작은 것부터 상당히 큰 것까지 다양하다. 중요한 점은 그것들의 조합이 일단의 남성 특유의 상호 연관된 특성들로 통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The same is true for girls and women, who typically don’t physically fight but do engage in relational aggression that includes manipulating social information in ways that undermine the reputation of competitors and disrupt their social-support networks and access to would-be mates. Among other things, competence at relational aggression and skill at detecting and avoiding it is supported by a host of social-cognitive competencies (sometimes called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skills are also used to build cooperative friendships and include (among others) aspects of language, reading facial expressions, body posture, and gestures, and drawing inferences about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others (called theory of mind).

동일한 것이 소녀들과 여성들에도 해당되는데, 그들은 일반적으로 물리적으로 싸우지는 않지만 경쟁자의 평판을 훼손하고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와 잠재적 배우자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소셜 정보를 조작하는 등 관계적 공격에 관여한다. 무엇보다도 관계적 공격 역량과 관계적 공격을 탐지하고 피하는 기술은 다양한 사회인지적 역량 (감정 지능이라고도 함)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 기술들은 협력적인 우정을 쌓는 데도 사용되며, 언어, 얼굴 표정, 몸 자세 및 제스처 읽기, 타인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추론 (마음 이론이라고 함) 등의 측면을 포함한다.

 

Girls’ and women’s advantages in these individual areas are generally small to moderate, but in the real world, they work in combination. Here the differences are large; almost nine out of 10 women outperform the average man on tasks that involve their integration. In traditional contexts, female-female relational aggression is common, especially among women in polygynous marriages, and women who are skilled at navigating these relationships generally have more and healthier children.

이 개별 영역들에서 소녀들과 여성들의 이점들은 일반적으로 작거나 중간 정도이지만, 현실 세계에서 그 이점들은 결합되어 작용한다. 여기서 차이들은 크다. 여성 10명 중 거의 9명이 그 이점들의 통합이 필요한 과제들에서 평균적인 남성보다 뛰어난 성과를 보인다. 전통적인 맥락에서, 여성-여성 관계적 공격성은 특히 일부다처제 결혼을 한 여성들에게 흔하며, 이 관계들에 능숙한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더 많고 더 건강한 자녀들을 낳는다.

 

Sex differences in the brain

The extent of sex differences in the brain, cognition (for example, spatial abilities), and behavior (for example, personality) continue to be vigorously debated. But minimalists tend to focus on individual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traits when making their case. Hyde, for instance, argues that most of these differences (such as self-esteem) are small or close to zero. But while single psychological traits are interesting and useful to study, they do not stand alone in the real world. Like physical traits, they are components of more complicated and integrated systems, and sex differences in these suites of traits are much larger than those found for the individual components.

뇌의 성차

두뇌, 인지 (예를 들어, 공간 능력), 행동 (예를 들어, 성격)의 성차에 대한 논의는 계속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미니멀리스트들은 자신의 주장을 펼칠 때 개별적 행동 및 심리적 특성들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는 (자존감 같은) 이 차이들의 대다수는 작거나 0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단일 심리적 특성들은 흥미롭고 연구하기에 유용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신체적 특성들과 마찬가지로 그것들은 더 복잡하고 통합된 시스템들의 구성 요소이며, 특성들의 이 집합들의 성차들은 개별 구성 요소에서 발견되는 차이들보다 훨씬 더 크다.

 

Brains are a mosaic of integrated regions that in most areas are more similar than different across boys and girls and men and women. At the same time, we would expect sex differences in the brain to be distributed across regions that are integrated into functional systems (areas that work in concert), such as those that support physical fighting or simultaneously processing and responding to different forms of social information (language, gesture, and so on). The result would be small to moderate differences in some areas, but potentially large differences in whole-brain patterns.

두뇌는 대다수의 부분들에서 소년과 소녀, 남성과 여성이 서로 다르기보다는 비슷한 통합되어 있는 영역들의 모자이크이다. 동시에, 우리는 뇌의 성차들은 신체적 싸움을 지원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정보들 (언어, 제스처 등) 을 처리하고 그 정보들에 반응하는 것을 동시에 하는 것들 같은, 기능적 시스템들 (협동적으로 작동하는 영역들) 에 통합되어 있는 영역들에 분산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 결과 일부 부분들에서는 작거나 중간 정도들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전체 뇌 패턴들에서는 큰 차이들이 있을 수 있다.

 

These patterns are the key to fully understanding sex differences. For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about seven out of 10 men are more stable than the average woman) or social agreeableness (about three out of five women are more agreeable than the average man), there are small to moderate differences. These are interesting and important, but if we look at the entire structure of personality, including things like risk-taking, openness to new ideas and experiences, conscientiousness, and so forth, the differences are now two to five times larger than they are for these individual traits.

이 패턴들은 성차들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한 열쇠이다. 정서적 안정성 (남성 10명 중 약 7명이 평균적 여성보다 더 안정적임) 또는 사회적 우호성 (여성 5명 중 약 3명이 평균적 남성보다 더 우호적임)과 같은 개별 성격 특성들의 경우, 작거나 중간 정도의 차이가 있다. 이것들은 흥미롭고 중요하지만, 위험 감수성, 새로운 아이디어와 경험에 대한 개방성, 성실성 등을 포함한 성격의 전체 구조를 살펴보면, 이 개별 특성들보다 차이가 2~5배 더 크다.

 

One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grey and white matter in the brains of nearly 10,000 boys and girls and asked whether the sex of the child could be determined by these patterns. They can. The sex of 93 percent of the children was correctly identified. Histograms of the numbers of boys and girls with male-typical and female-typical brain patterns are shown in the figure below.

한 연구에서는 약 10,000명의 소년과 소녀의 뇌에서 회백질과 백질의 패턴들을 조사하고 이 패턴들로 아이의 성을 결정할 수 있는지 질문했다. 가능하다. 93%의 아이의 성이 정확하게 식별되었다. 남성형 뇌 패턴과 여성형 뇌 패턴을 가진 남아와 여아의 수의 히스토그램이 아래 그림에 나와 있다.

남아(왼쪽)와 여아(오른쪽)의 뇌 기반 성별 점수 히스토그램
출처: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hbm.25888

남아(왼쪽)와 여아(오른쪽)의 뇌 기반 성별 점수 히스토그램

출처: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hbm.25888

 

As can be seen, most boys (left side of figure) and girls (right side) have grey and white matter patterns that are sex-typical (highly like other members of the same sex) and substantively different than those of the opposite sex. There are boys and girls with brain patterns that are in between male- and female-typical patterns and some with patterns found in the opposite sex, in keeping with natural within-sex variation.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대다수의 소년 (그림 왼쪽) 과 소녀 (그림 오른쪽) 는 성에 따른 전형적인 (동성의 다른 성원들과 매우 유사한) 회백질과 백질 패턴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성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패턴들을 가지고 있다. 소년과 소녀의 뇌 패턴은 남성과 여성의 전형적인 패턴 사이에 있고 일부는 이성에서 발견되는 패턴을 가지고 있는데, 자연스러운 동성 내 변이에 따른 것이다.

 

We don’t know if brain patterns that are more like those of the opposite sex are associated with behaviors and interests that are more common in the opposite sex, but it seems likely that they are. Girls with prenatal exposure to male hormones engage in more male-typical behavior than other girls and are less interested in infants and more likely to be work-focused. Men with a cellular insensitivity to testosterone have female-typical brain activity patterns during spatial tasks, suggesting a more feminine brain.

이성의 뇌 패턴들과 더 유사한 뇌 패턴들이 이성에게 더 흔한 행동 및 관심사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태아기에 남성 호르몬에 노출된 소녀들은 다른 소녀들보다 남성 특유의 행동을 더 많이 하고 영유아들에 대한 관심이 적고 일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테스토스테론에 둔감한 세포를 가진 남성은 공간과 관련된 작업을 하는 동안 여성 특유의 뇌 활동 패턴들을 보이는데, 이것은 보다 여성적인 뇌를 시사한다.

 

This is not an anomalous finding. Brain patterns can be used to correctly identify whether the owner is a man or a woman with 93 to 96 percent accuracy. By analogy, the human face is also a suite of traits with overlap across females and males in the size of core features (for example, the area of the eyes) but the sex of the individual is easily determined by most people. At the same time, studies like these ignore areas where boys and girls and men and women are similar and use crude computer algorithms to identify areas that best discriminate one sex from the other, without considering whether these differences are components of integrated systems.

이것은 이례적인 발견이 아니다. 뇌 패턴들은 93~96%의 정확도로 해당 뇌 패턴들을 보이는 사람이 남성인지 여성인지 정확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유비하자면, 사람의 얼굴도 이목구비의 크기 (예를 들어, 눈 부위의 넓이) 에서 여성과 남성이 겹치는 특징들의 집합이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개인의 성을 쉽게 구분한다. 동시에, 이것들 같은 연구들은 한 성을 다른 성과 가장 잘 구분시켜주는 부분들을 식별하기 위해 소년과 소녀, 남성과 여성의 비슷한 부분들을 무시하고 조잡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 차이들이 통합된 시스템들의 구성 요소들인지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말이다.

 

One way to assess the latter is to examine patterns of spontaneous activity that often reflect the synchronized activation of integrated and distributed brain networks that support functional systems, such as languag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hese types of studies can now be conducted prenatally and reveal distinct brain networks in four- to six-month-old fetuses. Synchronized activity across different brain areas helps to build and strengthen these systems, and there are sex differences even at this age. At least some later sex differences in brain organization appear to have their roots in prenatal development. A recent study found that the sex of 83 percent of eight- to 23-year-olds could be correctly identified based on differences in the spontaneous activity patterns of different brain networks that in turn were associated with sex differences in patterns of gene expression. Some of these functional brain-network differences have been linked to sex differences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lthough much remains to be learned.

후자를 [그 차이들이 통합된 시스템들의 구성 요소들인지 여부를] 가늠하는 한 가지 방법은 언어 이해 및 생산과 같은 기능적 시스템들을 지원하는 통합 및 분산 뇌 네트워크의 동기화된 활성화를 반영하는 자발적 활동의 패턴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유형의 연구들은 이제 태아기에도 수행할 수 있으며 4~6개월 된 태아의 뚜렷한 뇌 네트워크를 밝혀낼 수 있다. 여러 뇌 영역에서 동기화된 활동은 이 시스템들을 구축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이 시기에도 성차가 있다. 적어도 나중에 나타나는 일부 뇌 조직 성차들은 태아기 발달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최근 연구는 8~23세의 83%는 다양한 뇌 네트워크들의 자발적 활동의 패턴들의 차이에 따라 성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는데, 그 차이는 유전자 발현 패턴들의 성차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능적 뇌 네트워크의 차이 중 일부는 사회적 정보 처리의 성차들과 관련이 있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Sex differences in anatomical and functional brain networks have not yet been fully integrated with what we know about sex differences in behavior and cognition, nor fully integrated with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But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rogress. Despite these current gaps in our knowledge, the findings noted here and in many other neuroscience studies are not consistent with 52 genders, nor are they consistent with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or gender/sex differences. To be sure, there ar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the expression of these differences, as noted, but the argument that they are purely (or mostly) the product of social forces is simply untrue, and that includes Chelsea Conaboy’s claims about parenting.

해부학적 및 기능적 뇌 네트워크들의 성차들은 아직 행동과 인지의 성차들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으며 진화론적 관점에서도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다. 하지만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우리의 지식상에서의 이 현재의 격차들에도 불구하고, 여기와 다른 많은 신경과학 연구에서 언급된 연구 결과들은 52개의 젠더들과 일치하지 않으며, 젠더의 사회적 구성 또는 젠더/성 차이들의 사회적 구성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차이들의 표현에는 확실히 사회적 및 문화적 영향들이 있지만, 그것들이 순전히 (또는 대부분) 사회적 힘들의 산물이라는 주장은 전혀 참이 아닌데, 그 주장에는 육아에 대한 첼시 코나보이의 주장도 포함된다.

 

The bottom line

The claims made in a virtual world of internet algorithms populated by ideological social media pundits, journalists, and gender studies professors contradicts common sense and rational analysis of real-world phenomena. This is a world of words and ideas fraught with wishes and desires that are not always tethered to reality, including many far-fetched beliefs about the number of sexes and the origins and malleability of any associated sex or gender differences. Much remains to be learned about these differences which leaves plenty of room for legitimate debate. But there is no scientific room for the nonsensical idea that boys and girls and men and women are infinitely malleable and merely socially constructed products of the patriarchy or some other social system.

요점

이데올로기적인 소셜 미디어 전문가들, 언론인들, 젠더 연구 교수들이 채운 인터넷 알고리즘의 가상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주장들은 현실세계 현상들에 대한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분석과 모순된다. 그 가상 세계는 성의 수, 성 또는 젠더 차이들의 기원과 가소성에 대한 많은 억지스러운 믿음을 포함하여 현실과 항상 일치하지 않는 소망과 욕망으로 가득 찬 말들과 아이디어들의 세계이다. 이 차이들에 대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기 때문에 정당한 논쟁의 여지는 많다. 그러나 소년과 소녀, 남성과 여성이 무한히 가소적이며 가부장제나 모종의 다른 사회 시스템의 사회적으로 구성된 산물들일 뿐이라는 터무니없는 생각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